물의 품질에 대하여[論水品]

조회 수 2368 추천 수 0 2006.10.24 21:39:23
제목 : 물의 품질에 대하여[論水品]  



물은 일상적으로 쓰는 것이라고 하여 사람들이 흔히 홀시하는데 그것은 물이 하늘에서 생겼다는 것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사람은 물과 음식에 의해서 영양된다. 그러니 물이 사람에게 중요한 것이 아니겠는가. 사람은 살찐 사람도 있고 여윈 사람도 있으며 오래 사는 사람도 있고 오래 살지 못하는 사람도 있다. 이런 차이가 생기는 원인은 흔히 수토(水土)가 같지 않기 때문이다. 그것은 남쪽지방과 북쪽지방을 비교해보면 알 수 있다[식물].

○ 대체로 우물물(井水)은 땅속 깊이 있는 물줄기에서 나오는 것이라야 제일 좋다. 얕은 곳에서 나오는 것은 강물이 스며들어간 것이기 때문에 좋지 않다. 그리고 사람이 많이 사는 도시의 우물물은 개울의 더러운 물이 스며들어간 것이기 때문에 맛이 쩝절하다. 그러므로 끓여서 한참동안 놓아두어 가라앉혀서 쩝절한 맛이 없어진 다음 그 윗물을 써야 한다. 이와 같이 하지 않으면 냄새와 맛이 다 좋지 않다. 그러니 차를 달이거나 술을 빚거나 두부를 만드는 데는 더욱 쓸 수 없다. 비가 온 뒤의 흐려진 우물물은 반드시 살구씨나 복숭아씨를 짓찧어 즙을 내서 넣고 휘저어서 잠깐동안 놓아두었다가 흐려진 것이 가라앉은 다음에 써야 한다[식물].

○ 병을 치료하는데 쓰는 물은 다 맑은 샘물(淸泉)을 새로 길어다가 써야 한다. 한 곳에 고여 있어서 더러워지고 흐리며 미지근한 물을 쓰면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사람에게 해롭다. 그러므로 쓰지 않는 것이 좋다[본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가입인사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06-11-07 11273
165 동행근(東行根, 동쪽으로 뻗은 능금나무뿌리) 2005-09-16 2223
164 동규근(冬葵根, 돌아욱뿌리) 2005-09-16 1947
163 호과근(胡瓜根, 오이뿌리) [1] 2005-09-16 2203
162 고거근(苦 根, 고거뿌리) 2005-09-16 2055
161 제채근(薺菜根, 냉이뿌리) 2005-09-16 2022
160 총근( 根, 파뿌리) 2005-09-16 2272
159 영실근(營實根, 찔레나무뿌리) 2005-09-16 2965
158 속미(粟米, 좁쌀) 2005-09-27 2551
157 진속미(陳粟米, 묵은 좁쌀) 2005-09-27 1974
156 속미분(粟米粉, 좁쌀가루) 2005-09-27 2126
155 속미분구(粟米粉 , 좁쌀미싯가루) 2005-09-27 2938
154 속미감즙(粟米 汁, 좁쌀 씻은 물) 2005-09-27 2023
153 갱미(粳米, 멥쌀) 2005-09-27 2144
152 진름미(陳 米, 묵은 쌀) [1] 2005-09-27 2025
151 나미( 米, 찹쌀) 2005-09-27 1955
150 청량미(靑梁米, 생동쌀) 2005-09-27 2389
149 서미(黍米, 기장쌀) 2005-09-27 2741
148 단서미(丹黍米, 붉은 기장쌀) 2005-09-27 2357
147 출미( 米, 찰기장쌀) [1] 2005-09-27 2282
146 청과맥(靑顆麥, 쌀보리) 2005-09-27 195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