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의 품질에 대하여[論水品]

조회 수 2352 추천 수 0 2006.10.24 21:39:23
제목 : 물의 품질에 대하여[論水品]  



물은 일상적으로 쓰는 것이라고 하여 사람들이 흔히 홀시하는데 그것은 물이 하늘에서 생겼다는 것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사람은 물과 음식에 의해서 영양된다. 그러니 물이 사람에게 중요한 것이 아니겠는가. 사람은 살찐 사람도 있고 여윈 사람도 있으며 오래 사는 사람도 있고 오래 살지 못하는 사람도 있다. 이런 차이가 생기는 원인은 흔히 수토(水土)가 같지 않기 때문이다. 그것은 남쪽지방과 북쪽지방을 비교해보면 알 수 있다[식물].

○ 대체로 우물물(井水)은 땅속 깊이 있는 물줄기에서 나오는 것이라야 제일 좋다. 얕은 곳에서 나오는 것은 강물이 스며들어간 것이기 때문에 좋지 않다. 그리고 사람이 많이 사는 도시의 우물물은 개울의 더러운 물이 스며들어간 것이기 때문에 맛이 쩝절하다. 그러므로 끓여서 한참동안 놓아두어 가라앉혀서 쩝절한 맛이 없어진 다음 그 윗물을 써야 한다. 이와 같이 하지 않으면 냄새와 맛이 다 좋지 않다. 그러니 차를 달이거나 술을 빚거나 두부를 만드는 데는 더욱 쓸 수 없다. 비가 온 뒤의 흐려진 우물물은 반드시 살구씨나 복숭아씨를 짓찧어 즙을 내서 넣고 휘저어서 잠깐동안 놓아두었다가 흐려진 것이 가라앉은 다음에 써야 한다[식물].

○ 병을 치료하는데 쓰는 물은 다 맑은 샘물(淸泉)을 새로 길어다가 써야 한다. 한 곳에 고여 있어서 더러워지고 흐리며 미지근한 물을 쓰면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사람에게 해롭다. 그러므로 쓰지 않는 것이 좋다[본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가입인사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06-11-07 11192
165 속미감즙(粟米 汁, 좁쌀 씻은 물) 2005-09-27 2017
164 사상자(蛇床子, 뱀도랏열매) 2005-08-29 2020
163 노화(蘆花, 갈대꽃) 2005-10-31 2033
162 고거근(苦 根, 고거뿌리) 2005-09-16 2049
161 모화(茅花, 띠꽃) 2005-10-31 2052
160 옥유수(屋 水, 볏짚 지붕에서 흘러 내린 물) [1] 2006-02-27 2055
159 국화수(菊花水, 국화 밑에서 나는 물) 2006-02-17 2067
158 백출(白朮, 흰삽주) 2006-05-13 2067
157 정화수(井華水, 새벽에 처음 길은 우물물) 2006-02-17 2068
156 납설수(臘雪水, 섣달 납향에 온 눈 녹은 물) 2006-12-03 2075
155 선화(旋花, 메꽃) 2005-10-31 2077
154 호초(胡椒, 후추) 2006-03-13 2084
153 납설수(臘雪水, 섣달 납향에 온 눈 녹은 물) 2006-02-20 2092
152 양척촉(羊 , 철쭉꽃) [1] 2005-10-31 2098
151 애실(艾實, 약쑥씨) 2005-09-27 2100
150 정력자( 子, 꽃다지씨) 2005-10-31 2103
149 이엽(梨葉, 배나무잎) [1] 2006-02-11 2106
148 대황(大黃) 2006-03-12 2112
147 국(麴, 누룩) 2005-09-27 2115
146 동규엽(冬葵葉, 돌아욱잎) [1] 2006-02-11 211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