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대구일보] 전통주의 적정음주량은 어느 정도였을까

조회 수 662 추천 수 0 2023.10.12 21:53:23
발행일 2023-10-09 14:09:54 
박운석의 우리술 이야기<19>

한국발효술교육연구원장
‘약방의 감초’라는 말이 있다. 감초는 한약을 달일 때 탕약의 쓴 맛을 줄여주는 꼭 필요한 약재이다. 중요한 약재는 아니지만 어디에나 빠지지 않는 필수 재료인 셈이다.

당연히 동양 최고의 의학 백과사전인 허준의 동의보감에서도 감초는 중요하게 다뤄진다. 그런데 동의보감에서 감초보다 더 많이 언급된 단어가 있다. 바로 ‘술’이다.

당시 술의 역할은 주내백약지장(酒乃百藥之長)이라는 말로 설명할 수 있다. 술은 백가지 약 중에서도 최고라는 말이다. 술은 몸을 따뜻하게 하기도 하고 한약재의 약효를 빨리 흡수해서 확산시키게끔 도와주는 역할을 했다. 약으로 술을 마셨고, 약도 술과 함께 마셨다.

민가에서는 구기자나 인삼 등 한약재를 사용해서 빚은 술이 많았다. 궁중에서는 임금이 마시는 술을 진상하는 일을 담당하는 관청이 따로 있을 정도였다. 고려의 양온서나 조선의 사온서가 바로 그 관청이었다. 조선시대 왕의 약을 조제하는 일을 관장하는 내의원에서도 술을 관리했다. 당시엔 술이 곧 의약품이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렇게 약으로 마시는 술의 적정량은 어느 정도였을까? 동의보감에서는 술은 석 잔 이상 마시지 말 것을 주문한다. 술병이 심해지면 소갈(消渴, 당뇨), 황달, 폐위(폐 질환), 내치(치질) 등 다양한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며 주의를 준다.

석 잔 이상 마시지 말라는 경고는 현대과학으로도 증명된다. 먼저, 한 잔은 어느 정도의 술 양을 의미할까?

현대적 의미에서 한 잔의 양은 알코올의 함유량으로 따진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순수 알코올 양 10g을 1표준잔으로 본다. 표준잔이란 술의 종류나 잔의 크기에 관계없이 알코올의 함유량을 알려주는 단위다. 세계보건기구가 권고하는 적정 음주량은 남성의 경우 하루 4표준잔 이하, 여성의 경우 하루 2표준잔 이하다.

알콜의 양(g)은 술의 양(ml) &times; 알콜 도수(%) &times; 0.8(비중 변환)로 계산한다. 따라서 알코올도수 4.5%인 맥주 한 캔(500㎖)의 알코올 양은 18g, 알코올도수 17%로 계산한 소주 한 병(360㎖)의 알코올 양은 약 49g이다. 소주 한 병에 7잔이 나온다면 한 잔에 포함된 순수 알코올 양은 7g으로 한국의 1표준잔=소준 한 잔의 알코올 양=7g이다.

다음 질문. “맥주 한 잔 하자”할 때 맥주 한 잔의 정확한 양은 얼마나 될까? 국가기술표준원은 유리컵에 대한 표준(표준번호 KSL 2408)을 정해뒀다. 소비자에게 정확한 알코올 섭취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다(권장사항). 맥주잔은 바닥지름 5.5cm, 윗면지름 6.5cm, 높이 11cm가 표준으로 용량은 225㎖이다. 도수 4.5%인 맥주 한 잔의 알코올 양은 8g 정도다.

소주 한 잔의 알코올 양은 7g, 맥주 한 잔의 알코올 양이 8g이라면 전통주는 어떨까. 일반적인 막걸리의 알코올도수는 6%이다. 반면 요즘 젊은층으로부터 인기를 얻고 있는 프리미엄 전통주의 경우는 비교적 알코올도수가 높다. 약주(주세법상 약주, 맑은술을 의미한다)의 경우 12~18%에 달하기도 해서 한 잔의 알코올함유량은 적지 않다.

아직 소주잔이나 맥주잔처럼 대략적으로 인정하는 전통주 한 잔의 용량은 없다. 다만, 전통주가 고급화되고 알코올도수가 높아지면서 벌컥벌컥 마시는 술은 더 이상 아니라는 데는 공감하는 편이다.

국립청주박물관에는 조선 선조 대의 정치가이자 문인이었던 송강 정철(1536년 ~ 1593년)이 선조에게 하사받은 은술잔이 있다. 사실여부를 떠나 이 은술잔은 재미있는 이야기를 품고 있다. 그는 술을 너무나 좋아했고 술 때문에 구설이 잦아 반대 세력으로부터 공격을 많이 받았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선조는 그에게 은술잔을 내리며 하루 석 잔만 마시라고 명했다. 그러나 어찌 하루 석 잔에 만족하랴. 어명을 어길 수 없었던 그는 술잔을 두드려 크기를 늘린 술잔으로 술을 마셨다고 한다.

당시 식사 때 반주로 마시는 술도 한 두 잔이었다. 대게 단맛이 나는 술이어서 아무리 많아도 석 잔 이상 넘어가지 않았다. 동의보감에 전하는 적정음주량 석 잔, 선조의 어명인 하루 석 잔, 반주로 마셨던 한 두 잔도 정확한 측정치는 없지만 아마도 세계보건기구가 권장하는 하루 적정음주량 이내였지 않을까 추측해본다.

박운석(한국발효술교육연구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이데일리] 증류주 종량세 도입 추진… 바빠진 위스키 업계

증류주 종량세 도입 추진… 바빠진 위스키 업계 고용진 의원 13일 증류주 종량세 도입 골자 '주세법 개정안' 발의 증류주 수량·도수 기준 과세 추진…"주류산업 활성화 기대" 위스키, 증류주 업체 개정안 따른 가격 예측 속도 "알코올 폐해 억제 강조해야"…개정...

  • 누룩
  • 2023-10-18
  • 조회 수 661

[조선비즈] [박순욱의 술기행]증류주 주세, 종량세로 바뀜에 따라 주류업계 논의 활발

현행 종가세는 72% 고세율, 종량세 전환되면 주세 4분의 1까지 떨어져 세금 인하는 소비자가격 인하로 이어질 듯…전통주 고급화에도 큰 도움 원료의 국적’ 언급없는 개정안 신설조항은 문제…지역특산주 사문화 우려 박순욱 선임기자 입력 2023.10.20...

  • 누룩
  • 2023-10-20
  • 조회 수 926

[경기일보] 제3회 여주 오곡으로 빚은 '가양주 품평회' 성료

승인 2023-10-22 18:10 유진동 기자 제3회 여주 오곡으로 빚은 가양주 품평회에서 금,은 동,특별상을 받은 수상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여주세종문화관광재단 여주세종문화관광재단이 ‘제3회 여주 오곡으로 빚은 가양주 품평회’ 시상식을 2023 여주 오곡...

  • 누룩
  • 2023-10-25
  • 조회 수 844

[아시아 경제] 국내 최대 전통주 행사 ‘대한민국 우리술 대축제’ 24일부터 개최

정진기자 입력2023.11.20 10:00 국내 최대 전통주 행사 ‘대한민국 우리술 대축제’ 24일부터 개최 오는 24일부터 26일까지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주최하는 국내 최대 전통주 행사인 ‘대한민국 우리술 대축제'가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 누룩
  • 2023-11-20
  • 조회 수 694

[매일신문][박운석의 전통주 인문학] <5> 작은 양조장 붐 file

택가·시장·지하철역 근처 직접 술 빚는 2030 늘었다 초기 부담 적어 창업 아이템 인기…젊은 사장님들 3평 소규모 마케팅 주 소비층도 MZ…정보·취향 공유 주룩주룩 공동대표들. 왼쪽부터 김항욱, 한빛찬, 박영건 공동대표 전통주를 만드는 소규모 ...

  • 누룩
  • 2023-11-24
  • 조회 수 603

[경기일보] 강진희 여주 술아원 대표, 천년 전통주 부활을 꿈꾸다 file

승인 2023-11-28 16:11 유진동 기자 jdyu@kyeonggi.com 여주 술아원 강진희 대표(우측에서 3번째)와 직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경기콘텐츠진흥원 제공 여주 남한강 맑은 물과 진상미 여주쌀로 우리 술(전통주)을 빚고 있는 ‘술아원’...

  • 누룩
  • 2023-12-04
  • 조회 수 607

[농민신문] [우리 술 답사기] 술 빚어 마을 살리기…못해낼 줄 알았다면 ‘오산’입니다

입력 : 2023-12-04 18:22 수정 : 2023-12-06 05:00 경기 오산 ‘오산양조’ 지역쌀 비중 큰 ‘순곡주’ 위주 상품 출시 체험·문화행사로 골목상권 활성화 기여 대중적 막걸리·애주가 겨냥 증류주 다양 경기 오산의 오산양조장에서 만든 막걸리 ‘하얀까마귀(왼쪽부...

  • 누룩
  • 2023-12-06
  • 조회 수 694

[매일 경제] 대 이은 집안의 맛이 보물됐네…전통주 지켜낸 명인들 [푸디인]

안병준 기자 anbuju@mk.co.kr 입력 : 2023-12-08 09:00:00 수정 : 2023-12-10 11:53:27 [푸디人-5] 전통주 명인들(feat. 주봉석 전통민속주협회 사무국장) https://tv.naver.com/v/43903903 일제침탈과 전쟁, 금주령에도 술 만들더니…전통주 지켜낸 명인들 [푸...

  • 누룩
  • 2023-12-11
  • 조회 수 533

[뉴스1] K-주류에 세계가 취한다…해외로 뻗는 '맥주·소주·전통주'

해외로 뻗는 '맥주·소주·전통주'어메이징, 수제맥주 美수출…원소주, 미국·유럽 등 영토 확장 롯데칠성, 미국 공략 강화…순하리·새로·처음처럼 수출 확대 (서울=뉴스1) 이상학 기자 | 2023-12-06 06:20 송고 | 2023-12-06 08:35 최종수정 (어메이징브루잉컴퍼니...

  • 누룩
  • 2023-12-15
  • 조회 수 723

[스포츠경향] 한국 전통주를 알린다 ‘막걸리 유네스코 등재 추진단’ 출범 file

손재철 기자 입력 : 2023.12.15 11:00 세계에 한국의 전통주 막걸리를 알리기 위해 ‘막걸리 유네스코 등재 추진단’이 공식 출범했다. 이번 출범한 추진단은 막걸리 빚기의 역사, 양조법 등 문화적 의미를 국제 공존 가치로 확산하고 막걸...

  • 누룩
  • 2024-01-09
  • 조회 수 487

[한국농어민신문] “전통주 종합지원기관 신설…지속 성장·발전 뒷받침해야” file

안형준 기자 승인 2024.01.09 16:23 신문 3552호(2024.01.12) 8면 입법조사처 '전통주 보고서' [한국농어민신문 안형준 기자] 국내 전통주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해선 전통주 관련 제도와 정책을 지원하는 종합지원기관...

  • 누룩
  • 2024-01-15
  • 조회 수 595

[연합뉴스] 막걸리는 최대 160일…36개 식품 소비기한 참고값 추가 공개 file

송고시간 2023-12-27 10:53 조현영 기자 소비기한 참고값 검색 서비스 [식약처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조현영 기자 =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막걸리, 커피 등 36개 식품 유형, 148개 품목에 대한 소비기한 참고값을 ...

  • 누룩
  • 2024-01-19
  • 조회 수 672

[ㅍㅍㅅㅅ] 위스키의 역사: 그런데, Whiskey랑 Whisky의 차이는 뭘까? file

2024년 1월 25일 by 사소한 것들의 역사 "위스키 보리, 밀, 수수 따위의 맥아에 효모를 넣어 발효시킨 후 이를 증류하여 만든 술. 알코올 함유량은 41~61%이며 영국산 스카치위스키가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시작하며최근...

  • 누룩
  • 2024-02-02
  • 조회 수 509

[KBS] 전통주 시장 양극화…소규모 업체 고전 file

입력 2024.02.12 (21:39)수정 2024.02.12 (22:19) 앵커 그동안 발효주 위주였던 우리 전통술이 증류를 거쳐 오크통에서 숙성하는 새로운 도전에 나섰습니다, 짧게는 몇 달, 길게는 몇 년까지 긴 기다임이 필요하다는데요. 기대와 우려...

  • 누룩
  • 2024-02-13
  • 조회 수 588

[국제신문] [영상] 한국인이 즐겨찾는 고량주, 정작 중국에서 잘 안먹는다? file

김진철 기자 dia1445@kookje.co.kr 입력 : 2024-02-19 17:58:13 한국과 중국에서 술은 오랜 세월 삶의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져 왔다. 사회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생활 곳곳에 술이 ‘적셔’ 있다시피 하다. 두 나라 사람이 각기 술에 부여한 상징성 또...

  • 누룩
  • 2024-02-20
  • 조회 수 57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