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초(通草)

조회 수 2336 추천 수 2 2006.05.15 08:33:03
제목 : 통초(通草)  



성질은 평(平)하고(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은 맵고 달며[辛甘] 독이 없다. 다섯 가지 임병을 낫게 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관격(關格)된 것을 풀어 주고 수종(水腫)을 낫게 하며 번열(煩熱)을 멎게 하고 9규(九竅)를 잘 통하게 한다. 말소리를 잘 나오게 하고 비달(脾疸)로 늘 자려고만 하는 것을 낫게 한다. 유산시키고 3충(三蟲)도 죽인다.

○ 산에서 자라는데 덩굴로 뻗으며 굵기가 손가락과 같고 마디마다 2-3개의 가지가 붙었다. 가지 끝에 5개의 잎이 달렸고 열매가 맺히는데 작은 모과 비슷하다. 씨는 검고 속은 흰데 먹으면 단맛이 있기 때문에 이것을 연복자( 覆子)라고 한다. 음력 정월, 2월에 가지를 베어 그늘에서 말린다.

○ 줄기에 가는 구멍이 있어 양쪽 끝이 다 통한다. 한쪽 끝을 입에 물고 불 때 공기가 저쪽으로 나가는 것이 좋다[본초].

○ 통초는 즉 으름덩굴이다. 속이 비고 결이 있어 가볍고 색이 희며 아주 곱다. 껍질과 마디를 버리고 생것으로 쓴다. 12경맥을 통하게 하기 때문에 통초라고 했다[입문].

○ 으름덩굴의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달며 슴슴하다[甘淡]. 오줌이 잘 나가지 않는 데 쓴다. 소장의 열을 내리며 경맥을 통하게 하고 9규(竅)를 잘 통하게 한다[탕액].

○ 으름덩굴과 통초는 한 가지 식물이다. 곳곳에 있다. 강원도에서 나는 한 종류의 덩굴을 으름덩굴이라고 한다. 빛은 누르고 맛은 쓰며[苦] 습열을 사하고 오줌을 잘 누게 하는 효과가 있다. 헌데를 아물게 하는 데도 역시 효과가 있다. 이것은 다른 식물이다. 혹은 목방기(木防己)라고도 한다. 습(濕)을 사하는 데 가장 좋다[속방].  




제목 : 통초자(通草子, 통초열매)  



연복자( 覆子)라고 하는데 으름덩굴의 열매이다. 줄기는 으름덩굴 또는 통초라고 한다. 음력 7-8월에 따는데 성질은 차고[寒] 맛은 달다[甘]. 위열(胃熱)과 반위증(反胃證)을 낫게 하며 3초(三焦)의 열을 내리고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하며 속을 시원하게 하고 갈증을 멎게 한다[본초].  




제목 : 통초근(通草根, 통초뿌리)  



즉 으름덩굴의 뿌리다. 목 아래의 영류( 瘤)를 치료한다.  



박정철

2006.06.23 14:47:30
211.104

안녕하세요/기왕이면 다홍치마라고 사진과 함께라면 더 좋을텐데..

酒人

2006.06.23 15:38:36
124.61.

^^ 앞으로 사진과 함께 올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가입인사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06-11-07 11263
145 동규엽(冬葵葉, 돌아욱잎) [1] 2006-02-11 2135
144 백호(白蒿, 다북떡쑥) 2005-09-27 2139
143 약을 말리는 방법[乾藥法] [1] 2005-11-19 2140
142 갱미(粳米, 멥쌀) 2005-09-27 2143
141 적소두화(赤小豆花, 팥꽃) [1] 2005-10-31 2155
140 괴실(槐實, 홰나무열매) 2005-08-29 2156
139 석류화(石榴花, 석류꽃) 2005-10-31 2157
138 불이초(佛耳草, 떡쑥) 2005-09-27 2161
137 소자주(蘇子酒)에 대하여 2006-04-01 2161
136 모과지엽(木瓜枝葉, 모과나무의 가지와 잎) 2006-01-25 2175
135 현경엽( 莖葉, 비름의 줄기와 잎) [1] 2006-02-11 2175
134 구기자(枸杞子) 2006-01-12 2176
133 벽해수(碧海水, 짠 바닷물) [1] 2007-02-11 2180
132 도실(桃實, 복숭아열매) 2007-02-11 2190
131 도엽(桃葉, 복숭아나무잎) 2006-02-11 2198
130 호과근(胡瓜根, 오이뿌리) [1] 2005-09-16 2199
129 목근화(木槿花, 무궁화꽃) 2005-10-31 2203
128 앵자속(罌子粟, 아편꽃씨) 2005-10-31 2208
127 교맥엽(蕎麥葉, 메밀잎) [1] 2006-01-25 2210
126 앵도엽(櫻桃葉, 앵두나무잎) 2006-01-25 221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