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출(白朮, 흰삽주)

조회 수 2092 추천 수 2 2006.05.13 08:55:40
제목 : 백출(白朮, 흰삽주)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이 쓰며[苦] 달고[甘] 독이 없다. 비위를 든든하게 하고 설사를 멎게 하고 습을 없앤다. 또한 소화를 시키고 땀을 걷우며 명치 밑이 몹시 그득한 것과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멎지 않은 것을 치료한다. 허리와 배꼽 사이의 혈을 잘 돌게 하며 위(胃)가 허랭(虛冷)하여 생긴 이질을 낫게 한다.

○ 산에서 자라는데 어느 곳에나 다 있다. 그 뿌리의 겉모양이 거칠며 둥근 마디로 되어 있다. 빛은 연한 갈색이다. 맛은 맵고 쓰나[辛苦] 심하지 않다. 일명 걸력가(乞力伽)라고 하는 것이 즉 흰삽주이다[본초].

○ 『신농본초경』에는 삽주와 흰삽주의 이름이 없었는데 근래 와서 흰삽주를 많이 쓴다. 흰삽주는 피부 속에 있는 풍을 없애며 땀을 걷우고 트직한 것을 없애며 위(胃)를 보하고 중초를 고르게 한다. 허리와 배꼽 사

이의 혈을 잘 돌게 하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위[上]로는 피모(皮毛), 중간으로는 심과 위, 아래로는 허리와 배꼽의 병을 치료한다. 기병(氣病)이 있으면 기를 치료하고 혈병(血病)이 있으면 혈을 치료한다[탕액].

○ 수태양과 수소음, 족양명과 족태음의 4경에 들어간다. 비(脾)를 완화시키며[緩] 진액을 생기게 하고 습을 말리며 갈증을 멎게 한다. <font color=red>쌀 씻은 물에 한나절 담갔다가 노두를 버리고 빛이 희고 기름기가 없는 것을 쓴다[입문]. </font>

○ 위화(胃火)를 사하는 데는 생것으로 쓰고 위허를 보할 때에는 누른 흙과 같이 닦아 쓴다[입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가입인사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06-11-07 11406
45 약누룩을 만드는 방법[造神麴法] 2005-09-27 2975
44 직미(稷米, 피쌀) 2005-09-27 2556
43 패자미(稗子米, 돌피쌀) 2005-09-27 2349
42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2005-09-27 2240
41 대맥면(大麥麵, 보리쌀가루) [1] 2005-09-27 2238
40 청과맥(靑顆麥, 쌀보리) 2005-09-27 1958
39 출미( 米, 찰기장쌀) [1] 2005-09-27 2291
38 단서미(丹黍米, 붉은 기장쌀) 2005-09-27 2362
37 서미(黍米, 기장쌀) 2005-09-27 2752
36 청량미(靑梁米, 생동쌀) 2005-09-27 2402
35 나미( 米, 찹쌀) 2005-09-27 1981
34 진름미(陳 米, 묵은 쌀) [1] 2005-09-27 2041
33 갱미(粳米, 멥쌀) 2005-09-27 2150
32 속미감즙(粟米 汁, 좁쌀 씻은 물) 2005-09-27 2043
31 속미분구(粟米粉 , 좁쌀미싯가루) 2005-09-27 2954
30 속미분(粟米粉, 좁쌀가루) 2005-09-27 2134
29 진속미(陳粟米, 묵은 좁쌀) 2005-09-27 2016
28 속미(粟米, 좁쌀) 2005-09-27 2563
27 영실근(營實根, 찔레나무뿌리) 2005-09-16 2990
26 총근( 根, 파뿌리) 2005-09-16 229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