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출(白朮, 흰삽주)

조회 수 2069 추천 수 2 2006.05.13 08:55:40
제목 : 백출(白朮, 흰삽주)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이 쓰며[苦] 달고[甘] 독이 없다. 비위를 든든하게 하고 설사를 멎게 하고 습을 없앤다. 또한 소화를 시키고 땀을 걷우며 명치 밑이 몹시 그득한 것과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멎지 않은 것을 치료한다. 허리와 배꼽 사이의 혈을 잘 돌게 하며 위(胃)가 허랭(虛冷)하여 생긴 이질을 낫게 한다.

○ 산에서 자라는데 어느 곳에나 다 있다. 그 뿌리의 겉모양이 거칠며 둥근 마디로 되어 있다. 빛은 연한 갈색이다. 맛은 맵고 쓰나[辛苦] 심하지 않다. 일명 걸력가(乞力伽)라고 하는 것이 즉 흰삽주이다[본초].

○ 『신농본초경』에는 삽주와 흰삽주의 이름이 없었는데 근래 와서 흰삽주를 많이 쓴다. 흰삽주는 피부 속에 있는 풍을 없애며 땀을 걷우고 트직한 것을 없애며 위(胃)를 보하고 중초를 고르게 한다. 허리와 배꼽 사

이의 혈을 잘 돌게 하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위[上]로는 피모(皮毛), 중간으로는 심과 위, 아래로는 허리와 배꼽의 병을 치료한다. 기병(氣病)이 있으면 기를 치료하고 혈병(血病)이 있으면 혈을 치료한다[탕액].

○ 수태양과 수소음, 족양명과 족태음의 4경에 들어간다. 비(脾)를 완화시키며[緩] 진액을 생기게 하고 습을 말리며 갈증을 멎게 한다. <font color=red>쌀 씻은 물에 한나절 담갔다가 노두를 버리고 빛이 희고 기름기가 없는 것을 쓴다[입문]. </font>

○ 위화(胃火)를 사하는 데는 생것으로 쓰고 위허를 보할 때에는 누른 흙과 같이 닦아 쓴다[입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가입인사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06-11-07 11221
145 대맥면(大麥麵, 보리쌀가루) [1] 2005-09-27 2219
144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2005-09-27 2229
143 패자미(稗子米, 돌피쌀) 2005-09-27 2296
142 직미(稷米, 피쌀) 2005-09-27 2536
141 약누룩을 만드는 방법[造神麴法] 2005-09-27 2963
140 국(麴, 누룩) 2005-09-27 2117
139 신국(神麴, 약누룩) 2005-09-27 2882
138 누호(蔞蒿, 물쑥) 2005-09-27 2492
137 인진호(茵陳蒿, 생당쑥) [1] 2005-09-27 2837
136 백호(白蒿, 다북떡쑥) 2005-09-27 2133
135 애실(艾實, 약쑥씨) 2005-09-27 2105
134 초호(草蒿, 제비쑥) 2005-09-27 2211
133 불이초(佛耳草, 떡쑥) 2005-09-27 2156
132 뜸쑥을 만드는 법[製艾法] [1] 2005-09-27 2590
131 눈 앞에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眼花] 2005-10-31 2624
130 마분(麻 , 삼꽃가루) 2005-10-31 2277
129 적소두화(赤小豆花, 팥꽃) [1] 2005-10-31 2152
128 앵자속(罌子粟, 아편꽃씨) 2005-10-31 2203
127 연화(蓮花, 연꽃) [1] 2005-10-31 2262
126 도화(桃花, 복숭아꽃) 2005-10-31 290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