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령(茯 , 솔풍령)

조회 수 2391 추천 수 2 2006.05.13 08:55:04
제목 : 복령(茯 , 솔풍령)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달고[甘] 독이 없다. 입맛을 돋구고 구역을 멈추며 마음과 정신을 안정하게 한다. 폐위(肺 )로 담이 막힌 것을 낫게 하며 신(腎)에 있는 사기를 몰아내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수종(水腫)과 임병(淋病)으로 오줌이 막힌 것을 잘 나가게 하며 소갈을 멈추고 건망증[健忘]을 낫게 한다.

○ 『선경(仙經)』에서는 음식 대신 먹어도 좋다고 하였다. 이 약은 정신을 맑게 하고 혼백을 안정시키며 9규를 잘 통하게 하며 살을 찌게 하고 대소장을 좋게 하며 가슴을 시원하게 한다. 또 영기(榮氣)를 고르게 하고 위(胃)를 좋게 하므로[理] 제일 좋은 약이며 곡식을 안 먹어도 배고프지 않다고 하였다.

○ 산 속의 곳곳에 있다. 송진이 땅에 들어가 천년 지나서 솔풍령이 된다. 소나무뿌리를 싸고 있으면서 가볍고 퍼석퍼석한 것은 복신(茯神)이다. 음력 2월과 8월에 캐서 다 그늘에서 말린다. 크기가 3-4되가 되며 껍질이 검고 가는 주름이 있으며 속은 굳고 희며 생김새가 새, 짐승, 거북, 자라 같은 것이 좋다[본초].

○ 흰 것, 벌건 것 등 두 종류가 있는데 흰 것은 수태음경, 족태양경, 족소양경에 들어가고 벌건 것은 족태음경, 수태양경, 소음경에 들어간다. 또한 빛이 흰 것은 신수[壬癸]로 들어가고 빛이 벌건 것은 심화[丙丁]로 들어간다[탕액].

○ 빛이 흰 것은 보하고 빛이 벌건 것은 사한다[본초].

○ 쓸 때에 껍질을 벗기고 가루내서 수비(水飛)하여 물 위에 뜨는 잡질을 버리고 햇볕에 말려 쓴다. 이렇게 해서 써야 눈이 상하지 않는다. 음이 허한 사람은 쓰지 말아야 한다[입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가입인사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06-11-07 11266
145 대맥면(大麥麵, 보리쌀가루) [1] 2005-09-27 2228
144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2005-09-27 2234
143 패자미(稗子米, 돌피쌀) 2005-09-27 2312
142 직미(稷米, 피쌀) 2005-09-27 2544
141 약누룩을 만드는 방법[造神麴法] 2005-09-27 2971
140 국(麴, 누룩) 2005-09-27 2126
139 신국(神麴, 약누룩) 2005-09-27 2897
138 누호(蔞蒿, 물쑥) 2005-09-27 2498
137 인진호(茵陳蒿, 생당쑥) [1] 2005-09-27 2845
136 백호(白蒿, 다북떡쑥) 2005-09-27 2141
135 애실(艾實, 약쑥씨) 2005-09-27 2111
134 초호(草蒿, 제비쑥) 2005-09-27 2220
133 불이초(佛耳草, 떡쑥) 2005-09-27 2162
132 뜸쑥을 만드는 법[製艾法] [1] 2005-09-27 2597
131 눈 앞에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眼花] 2005-10-31 2633
130 마분(麻 , 삼꽃가루) 2005-10-31 2287
129 적소두화(赤小豆花, 팥꽃) [1] 2005-10-31 2155
128 앵자속(罌子粟, 아편꽃씨) 2005-10-31 2208
127 연화(蓮花, 연꽃) [1] 2005-10-31 2267
126 도화(桃花, 복숭아꽃) 2005-10-31 291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