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한겨레] [ESC] 핫 칵테일, 한국식 뱅쇼…겨울밤, 한잔 합시다

조회 수 1117 추천 수 0 2022.12.12 14:37:24

등록 :2022-12-09 07:00수정 :2022-12-09 18:11
체온 높이는 핫 칵테일부터
대추·꿀 넣은 한국식 뱅쇼까지


20221207503895.jpg

왼쪽부터 서울 논현동 칵테일바 ‘이더웨이’의 임지혜 바텐더가 만든 위스키 아인슈페너, 핫 버터드 럼, 코냑 애플 핫 토디. 윤동길 스튜디오어댑터 실장

코끝까지 추워지는 날씨라고 해도, 술 마시는 일을 게을리할 수는 없다. 차가운 계절에 마시는 차디찬 술도 좋지만, 아무래도 몸을 따끈하게 데워주는 따뜻한 술이 생각날 때다. 술을 데우면서 대부분의 알코올은 공기 중으로 날아가기 때문에, 술을 마시지 못하는 이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다는 점은 따뜻한 술의 매력이다.

_______
연말 분위기에 제격, 따뜻한 칵테일

“따뜻한 칵테일을 서양에서는 참 많이 마시는데, 아직까지 한국에서는 따뜻한 칵테일의 존재 자체를 모르는 분들이 많아요.” 서울 논현동에 있는 칵테일바 ‘이더웨이’ 임지혜 오너 바텐더의 말이다. 바 문화가 꽤나 익숙해졌지만 따뜻한 칵테일은 낯설다. 임 바텐더는 해마다 따뜻한 칵테일을 찾는 손님들이 늘어 현재 여러 종류를 개발해 판매하고 있다.
겨울에 어울리는 따뜻한 칵테일은 어떤 것이 있을까? 임 바텐더는 ‘코냑 애플 핫 토디’와 ‘핫 버터드 럼’, ‘위스키 아인슈페너’를 추천했다. “서양에서는 위스키를 베이스로 한 핫 토디를 겨울에 즐겨 먹어요. 하지만 이더웨이에서는 코냑을 넣고 직접 만든 사과잼과 상큼한 레몬즙을 넣어 코냑 애플 핫 토디를 만들었어요. 살짝 밋밋할 수도 있는 기존의 핫 토디에 비해 상쾌하고 달콤한 사과 향이 돋보입니다.”
핫 버터드 럼도 겨울철에만 맛볼 수 있는 별미다. 숙성된 럼에 버터를 넣어 만드는 이색적인 레시피다. 40℃ 이상으로 데운 따뜻한 잔의 입가에 꿀과 흑설탕, 시나몬 가루를 묻힌 뒤 럼, 버터, 설탕과 물을 넣고 잘 섞어주면 완성되는 간단한 칵테일이다. “집에서 연말 분위기를 즐기기에 정말 좋은 술이자, 간단하게 겨울 분위기를 내기에도 좋은 칵테일”이라고 임 바텐더는 덧붙였다.

위스키 아인슈페너는 겨울이 길고 춥기로 정평이 난 아일랜드의 겨울 음료에서 착안했다. 아일랜드 사람들은 뜨거운 커피에 위스키를 타 먹는 아이리시커피로 추위를 견디곤 한다. 위스키 아인슈페너는 흔히 카페에서 맛볼 수 있는 아인슈페너에 아이리시위스키를 넣은 칵테일인데, 맛의 스펙트럼은 남다르다. 커피의 쌉쌀한 맛에 피트(이탄) 향이 진한 아이리시위스키의 풍미, 그리고 폭신한 생크림의 조화가 무척 훌륭하다. 이는 마셔봐야만 느낄 수 있는 즐거움이다. 연유를 살짝 넣어 달콤하게 즐기기도 한다. 디저트처럼 즐길 수 있는 칵테일이라 ‘마지막 딱 한잔’으로도 적절하다.

바 투어 마니아이자 위스키 수집가를 자처하는 직장인 남정교(34)씨는 이런 따뜻한 칵테일의 매력을 ‘한잔의 위로’라고 표현했다. “매서운 칼바람을 뚫고 바 안으로 입장할 때만의 포근함이 있어요. 바에서 한기를 녹이면서 기다리다 마시는 한잔의 따뜻한 칵테일 때문에 겨울을 기다리게 됩니다. 이 계절에만 느낄 수 있는 위로죠.”

온도에 따라 다양한 맛과 향을 보여주는 청주. 게티이미지뱅크
온도에 따라 다양한 맛과 향을 보여주는 청주. 게티이미지뱅크

_______
청주에 어묵 육수, 막걸리에 약재 넣고

가까운 이웃나라 일본에서는 일본 술 사케를 따뜻하게 먹는 것이 아주 일반적이다. 일식 선술집 ‘오반자이 시젠’의 임정서 셰프는 “복 지느러미를 넣어 마시는 히레자케는 한국인에게 아주 익숙한 술일 것”이라고 말하며 “최근에는 청주에 어묵 육수를 부어 마시는 ‘다시와리’도 손님들이 많이 찾는 추세”라고 덧붙였다. 술마다 따뜻하게 데우는 적정 온도가 있는데, 30℃에서 55℃를 벗어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포인트다. 청주가 가진 특유의 쌀 풍미를 가장 풍부하게 느낄 수 있는 온도는 35℃ 정도로, 잔에 손을 가져다 댔을 때 살짝 따뜻하다는 느낌이면 충분하다고 덧붙였다. 깔끔한 끝맛과 똑떨어지는 날카로운 풍미를 느끼고 싶다면 50℃ 정도로 온도를 맞추는 것이 좋다. 맑은 술일수록 온도에 따라 맛과 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정확하게 온도를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따뜻한 물을 섞어 마시면 향이 활짝 피어오르는 감홍로. 이지민 제공
따뜻한 물을 섞어 마시면 향이 활짝 피어오르는 감홍로. 이지민 제공

우리 술도 따뜻하게 데워 먹으면 색다른 맛을 느낄 수 있다. 전통주 콘텐츠 플랫폼 ‘대동여주도’의 이지민 대표는 추운 겨울에 마시기 좋은 우리 술로 ‘감홍로’를 꼽았다. 겨울 기온이 차갑기로 유명한 평양의 대표적인 독주인 감홍로야말로 차가운 날씨에 가장 잘 어울린다는 것. 정향, 진피, 방풍, 계피, 생강, 감초 같은 겨울철 몸보신에 가장 좋은 약재가 듬뿍 들어 있어 한 모금만으로도 온몸에 따뜻한 기운이 돈다. “따뜻한 물에 감홍로를 3:1 비율로 섞어 차처럼 마시면 약재의 은은한 향이 활짝 피어오릅니다. 자기 전 한잔 마시고 자기에도 제격이지요. 위스키 핫 토디의 레시피를 따라 해봐도 좋습니다. 감홍로에 뜨거운 물을 섞고 꿀 한스푼과 레몬즙 약간을 넣으면 근사한 감홍로 핫 토디가 완성됩니다.”

모주에 들어가는 재료. 백문영 객원기자
모주에 들어가는 재료. 백문영 객원기자

막걸리를 따뜻하게 데워 먹는 방법도 있다. 흔히 ‘모주’로 알려졌고, 페트병 형태로도 시판될 정도로 이미 인기가 높다. 류인수 한국가양주연구소 소장은 “예로부터 추운 겨울을 나기 위해 남은 막걸리나 술지게미를 각종 약재와 끓여 만든 술”이라고 설명하며, “대추, 생강, 갈근, 통계피, 꿀 등 몸에도 좋고 향도 좋은 약재가 듬뿍 들어가 부담 없이 마시기에 좋다”고 덧붙였다. 시판 모주가 아니더라도 막걸리에 각종 재료를 넣고 30분가량 팔팔 끓이기만 하면 돼 가정에서도 어려움 없이 만들 수 있는 것도 모주만의 매력. 막걸리가 끓으면서 대부분의 알코올은 휘발되고 1%가량만 남기 때문에 술을 못 마시는 이도 편하게 즐길 수 있다.

시드르쇼를 끓이는 모습. 신이현 제공
시드르쇼를 끓이는 모습. 신이현 제공

_______
과일향 달큼한 뱅쇼·시드르쇼

한국에 모주가 있다면, 프랑스에는 그 유명한 ‘뱅쇼’(vin chaud)가 있다. 배혜정 요리연구가는 “프랑스에서는 어디서든 추울 때면 뱅쇼를 마실 정도로 일반적인 음료”라고 말하며 “등산을 하거나 썰매를 탈 때 보온병에 싸서 들고 다닐 정도로 프랑스의 온 국민이 사랑하는 국민 음료”라고 덧붙였다.

뱅쇼보다 좀 더 특별한 술을 찾는다면 프랑스 노르망디와 브르타뉴 지방에서 즐겨 마시는 ‘시드르쇼’를 추천한다. 충북 충주 ‘작은 알자스’ 양조장 신이현 대표는 “포도로 만든 와인을 끓여 만드는 뱅쇼와 달리 사과로 만든 애플 사이다를 끓여 만드는 것이 시드르쇼의 포인트”라고 설명했다. 시드르(사이다) 한병에 오렌지, 레몬 껍질, 설탕과 통계피, 정향 등을 넣고 팔팔 끓이기만 하면 되는 아주 간단한 레시피라 겨울마다 즐겨 먹기 좋다. “한국식으로 응용해서 레몬이나 오렌지 대신 유자나 말린 귤 껍질을 넣고 만들어도 풍미가 좋다”는 것도 신 대표의 추천 팁.

마음도 몸도 추운 겨울, 한잔의 따끈한 술이 꽤나 근사한 위안이 될지 모른다. 칵테일이든, 와인이든, 우리 술이든 한 모금으로 발끝까지 따뜻해질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따뜻한 술의 가치는 충분하다.

위스키 아인슈페너. 윤동길 스튜디오어댑터 실장
위스키 아인슈페너. 윤동길 스튜디오어댑터 실장

언 몸 사르르 녹이는 뜨끈한 ‘홈술’레시피

추운 겨울, 외출 뒤 집으로 돌아와 바깥에서 꽁꽁 언 몸과 마음을 녹이는 따뜻한 술 한잔 어떨까. 왁자지껄한 연말 모임에 필살기로 내세워도 좋겠다. 집에서 만들 수 있는 따뜻한 술 레시피를 전문가들에게 물었다.

배혜정 요리연구가의 화이트 뱅쇼

와인을 끓여 만드는 뱅쇼라고 하면 흔히 레드와인을 끓여 만드는 ‘레드 뱅쇼’를 떠올리는 경우가 많지만, 프랑스에서는 화이트와인을 끓여 만든 ‘화이트 뱅쇼’도 즐겨 마신다. 화이트와인만 있으면 가정에서도 쉽게 만들 수 있다.

준비 재료
드라이 화이트와인 1ℓ, 물 300㎖, 흰 설탕 70g, 오렌지 2개, 레몬 1개, 팔각 2개, 정향 3개, 계피 스틱 2개

만드는 방법
① 오렌지와 레몬을 깨끗이 씻어 물기를 제거한다. 오렌지 1개의 껍질을 흰 부분 없이 벗겨놓고, 과육은 모두 즙을 낸다.
② 레몬을 얇게 썬다.
③ 냄비에 화이트와인과 물, 설탕을 넣고 중불에서 끓이다 썰어둔 레몬 조각을 넣고 2~3분 끓인다.
④ 냄비의 불을 끄고 오렌지 껍질, 팔각, 정향, 계피를 넣고 30분가량 우린다.

⑤ 약불에 냄비를 올리고 다시 2~3분 끓인다.
⑥ 따뜻하게 먹는 것이 포인트. 잘 데운 머그잔에 레몬 조각을 넣고 마실 것.

임지혜 바텐더의 위스키 아인슈페너

준비 재료
아이리시위스키, 설탕, 따뜻한 커피 1잔, 생크림, 우유, 연유

만드는 방법
① 아이리시위스키 적당량을 커다란 컵에 붓는다.
② 위스키에 설탕, 따뜻한 커피를 넣고 충분히 섞이도록 잘 젓는다.
③ 우유와 연유를 취향껏 넣고 생크림을 듬뿍 올린다. 갓 거품을 올린 신선한 생크림이면 더욱 좋다.
④ 생크림과 위스키, 커피의 조화로운 풍미를 즐긴다.

신이현 대표의 시드르쇼

준비 재료
시드르 1병(750㎖), 오렌지 1개, 레몬 1개 분량의 껍질, 설탕 2티스푼, 통계피 1개, 정향 2개, 팔각 1개

만드는 방법
① 시드르 1병을 냄비에 넣고 끓인다. 끓기 시작하면 오렌지, 레몬 껍질, 설탕과 통계피, 정향, 팔각을 모두 넣고 팔팔 끓인다.
② 10분 정도 약한 불에 둔다.
③ 오래 두면 쓴맛이 우러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부재료를 건진다.
④ 불에서 내린 뒤 꿀 1스푼을 섞어서 마신다. 기호에 따라 오렌지나 사과 한조각을 곁들여도 좋다.

류인수 한국가양주연구소 소장의 모주

준비 재료
대추 200g, 생강 50g, 갈근 50g, 통계피 50g, 헛개나무 50g, 꿀 100g, 배 1개, 감초 30g, 막걸리 500㎖, 물 5ℓ

만드는 방법
① 대추는 씨를 발라 과육만 남기고, 배는 껍질을 벗겨 적당한 크기로 자른다. 껍질 벗긴 생강은 잘 찧어 체망에 넣는다.
② 갈근, 통계피, 헛개나무, 감초는 끓는 물에 한번 데친 뒤 국물팩에 넣는다.
③ 물 5ℓ를 넣고 끓으면 술과 꿀을 제외한 모든 재료를 넣고 30분간 달인다.
④ 달인 용기에 막걸리를 넣고 한번 끓어오르면 불을 끈다.
⑤ 국물팩을 건져낸 뒤 꿀로 당도를 맞춘다. 남은 재료는 모두 믹서로 갈아 마실 것.

백문영 객원기자 moonyoungbaik@gmail.com출처 : [ESC] 핫 칵테일, 한국식 뱅쇼…겨울밤, 한잔 합시다 : ESC : 특화섹션 : 뉴스 : 한겨레 (hani.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한국일보 [따뜻한 차처럼… 향긋하게 감미롭게 ‘뜨거운 술’] file

따뜻한 차처럼… 향긋하게 감미롭게 ‘뜨거운 술’뱅쇼부터 아이리시 커피까지 '온주의 모든 것' 알코올은 기름인 동시에 물이며, 그 자체로는 별 맛이 없지만 강력하게 다른 재료의 향을 쥐고 있다. 음식에 들어간 술은 자체로 풍부한 향을 내는 향신료가 되며...

  • 누룩
  • 2017-01-18
  • 조회 수 1066

일주일에 한 번, 와인 마시면 노안 늦출 수 있어

가끔 와인을 마시는 것이 노안이 오는 것을 늦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위스콘신 대학 연구팀은 43~84세 성인 5,000명을 대상으로 26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흡연, 음주, 운동 등 시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를 고려해...

  • 누룩
  • 2014-06-23
  • 조회 수 1066

향긋한 전통주 빚으며 성숙해진 기도의 삶

장인정신 이진태 대표 수습기자 시절 한 선배가 해준 말이 기억난다. 평소 술을 잘 먹지 않았던 그 선배는 기자와 동기에게 술을 따라주면서 말했다. “술은 좋은 사람과 마시면 약이 ...

  • 누룩
  • 2021-04-23
  • 조회 수 1068

경남농업기술원 '고로쇠 수액 이용 전통주 제조방법 특허'

기사내용 요약 고로쇠 수액 활용 전통주 고급화, 차별화로 새로운 소비시장 확대 [진주=뉴시스] 고로쇠 수액을 이용한 청주. *재판매 및 DB 금지 [진주=뉴시스] 정경규 기자 = 경남도농업기술원은 ‘고로쇠 수액을 이용한 전통주 제조방법’ 을 특...

  • 누룩
  • 2021-08-27
  • 조회 수 1068

[조선일보] 맥주·막걸리 값 오른다... 세금 역대 최대폭 인상

맥주 L당 30.5원, 탁주는 1.5원 인상 정석우 기자 황지윤 기자 입력 2023.01.18 16:24 작년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직원이 주류를 진열하고 있다. /뉴시스 맥주에 붙는 주세(酒稅)가 L당 855.2원에서 올해 4월부터 L당 885.7원으로 30...

  • 누룩
  • 2023-01-20
  • 조회 수 1069

먹거나 바르면 신통한 효과... ‘자연의 약’ 9

소금, 꿀, 레몬 등 치료 효과 병원에 빨리 가야 할 정도로 심각한 질병이 아니라면 대개 집에서 적당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우선 상비약을 떠올리지만 일상에서 쓰는 식품 중에서도 찾을 수 있다. 미국의 건강정보 잡지 프리벤션이 ‘자연의 약’으로 불리는 ...

  • 누룩
  • 2015-03-16
  • 조회 수 1071

전자신문 국순당, 취준생 위한 '내고장-내일터 프로그램' 참여

우리 술 전문기업 국순당은 강원도 횡성에 본사를 둔 기업으로 지역 인재의 취업 지원을 위해 다양한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국순당은 최근 원주지방환경청이 주관한 청년일자리 창출을 위한 '내고장-내일터' 프로그램에 참여해 20일 프로그...

  • 누룩
  • 2018-07-23
  • 조회 수 1072

[한겨레][ESC] 아마 세종대왕도 즐겨 마시지 않았을까? file

'2019 우리술 품평회’ 대통령상 받은 ‘세종대왕 어주’ <산가요록> 주방문에 저온숙성 기법 더해 깊고 단정한 맛에 고급스러운 향 올라와 미쉐린 가이드 레스토랑에도 잇달아 납품 ▶ 2019 대한민국 우리술 품평회에서 약·청주 부문 대상과 함께 최고상인 대통...

  • 누룩
  • 2020-01-29
  • 조회 수 1072

[조선비즈] “많이 팔면 손해” … 전통주 ‘피터팬 증후군’ 유도하는 酒稅 file

전통주 세제 혜택, 기업 규모 커지면 사라져 “소규모 맥주제조사와 세제 형평성 어긋나” 기재부 “세법개정안에 전통주 세금 감면 확대 포함 않을 것” “전통주에 온라인 판매 허용...통상 마찰 문제 발생 가능성도” 강원 평창에서 증류주를 제조해 판매...

  • 누룩
  • 2023-07-26
  • 조회 수 1072

[주류안전관리 방향은] 식약처, 주류업무 총괄 '주류안전정책과' 신설 file

[주류안전관리 방향은] 식약처, 주류업무 총괄 '주류안전정책과' 신설 정덕화 식품안전정책위원회장과 박희옥 주류안전관리기획단장에게 듣는다 • 푸드투데이 푸드투데이 기자 001@foodtoday.or.kr • 등록 2016.11.03 18:35:41 국세청에서 담담해온 주류에...

  • 누룩
  • 2016-11-15
  • 조회 수 1073

[비즈워치] 'K-팝'처럼 'K-술'? 전통주 브랜드화 한다

이상원 기자 lsw@bizwatch.co.kr 2023.04.11(화) 15:00 국세청-주류업계와 손잡고 전통주 수출 지원 제 1회 K-리큐르 수출지원협의회 모습 /사진=국세청 국세청이 민간 전문가들과 손잡고 전통주 해외수출지원에 나선다.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주의 브랜드를 만...

  • 누룩
  • 2023-04-11
  • 조회 수 1073

경상북도, 전통주 특별 홍보관운영

경상북도, 전통주 특별 홍보관운영 우리술 45개업체, 70여점 한 자리에 (경북=국제뉴스) 김용구 기자 = 경상북도는 11일부터 14일까지 4일간 대구 EXCO에서 열리는 ‘2015 DAFOOD’ 행사에 '경북 전통주 특별 홍보관'을 운영한다. 이번 홍보관은 신라 천년왕국의...

  • 누룩
  • 2015-06-12
  • 조회 수 1074

[대한금융신문] [응답하라,우리술 280] 안동소주, 칠백년 음식 유산 file

입력 2023.01.07 09:00 740년 안동소주 역사와 8개 안동소주 기록 안동의 미래 볼 수 있는 종택 가양주도 소개 직접 밀 농사를 지으면서 그 밀로 소주를 내리는 농부이자 양조인 박성호 씨가 자신이 뿌리를 내리고 있는 안동지역의 소주에 관한 책을 펴...

  • 누룩
  • 2023-01-09
  • 조회 수 1074

[세계일보] 새 문화로 탄생한 막걸리 양조장 추억[명욱의 술 인문학] file

입력 : 2023-02-25 19:00:00 수정 2023-02-24 18:44:13 30대 이상의 대한민국 성인이라면 아마 막걸리에 대한 기억을 하나씩 가지고 있을 것이다. 기름에 바짝 구운 해물 파전과 즐기는 것부터 시작으로 더운 여름날에 시원하게 즐기는 막걸리에 대한 추...

  • 누룩
  • 2023-03-08
  • 조회 수 1075

[‘한숨 커지는’ 전통주업계] 설자리 좁아지고 일률적 규제 강화…위기감 고조

[‘한숨 커지는’ 전통주업계] 설자리 좁아지고 일률적 규제 강화…위기감 고조 당장 7월부터 전통주업체에 대한 시설기준이 강화될 방침이다. 시설 투자 여력이 없어 아직 대비를 하지 못한 영세 업체들이 많은 것으로 전해져 존폐 여부에 따른 우려도 나오고 있...

  • 누룩
  • 2015-06-18
  • 조회 수 107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