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단향(白檀香)

조회 수 2012 추천 수 0 2006.03.13 21:13:53
제목 : 백단향(白檀香)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은 맵고[辛] 독이 없다. 열로 부은 것을 삭이고 신기로 오는 복통을 낫게 한다. 명치 아래가 아픈 것, 곽란, 중악, 헛것에 들린 것을 낫게 하며 벌레를 죽인다[본초].

○ 나무는 박달나무 비슷한데 노란 것, 흰 것, 자줏빛 나는 것 등 3가지가 있다. 수태음경, 족소음경에 들어가며 양명경에 들어가서 위기(胃氣)를 끌고 올라간다. 모든 향은 다 화(火)를 발동시키고 기를 소모하므로 냉기가 퍼지지 않는 증이 아니면 경솔히 먹지 말아야 한다. 더구나 용뇌와 사향은 향기롭고 뚫고 들어가는 힘이 세므로 특히 삼가해야 한다[입문].

○ 기를 고르게 하여서 맑게 하며 향기로워서 방향성 약을 끌고[引] 아주 높은 곳까지 가게도 한다. 등피와 귤껍질(橙橘) 같은 것과 함께 쓰는 것이 가장 좋다. 생강, 대추, 칡뿌리(갈근), 육두구, 사인, 익지인을 좌약으로 쓰면 양명경으로 잘 돌아간다[탕액].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가입인사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06-11-07 11230
185 물의 품질에 대하여[論水品] 2006-02-17 1831
184 마엽(麻葉, 삼잎) 2006-01-21 1837
183 온천물[溫泉] 2007-02-11 1909
182 대두(大豆, 콩) 2006-11-22 1917
181 오미자(五味子) 2005-12-31 1923
180 동규근(冬葵根, 돌아욱뿌리) 2005-09-16 1937
179 청과맥(靑顆麥, 쌀보리) 2005-09-27 1940
178 홍촉규엽(葉, 홍촉규잎) 2006-02-11 1943
177 나미( 米, 찹쌀) 2005-09-27 1946
176 갱미(粳米, 멥쌀) 2006-03-08 1950
175 계피(桂皮) 2005-12-31 1960
174 마근(麻根, 삼뿌리) 2005-09-16 1971
173 진속미(陳粟米, 묵은 좁쌀) 2005-09-27 1971
172 학슬(鶴蝨, 담배풀열매) 2005-08-29 1996
171 금설(金屑, 금가루) 2006-11-22 2004
170 상실(橡實, 도토리) 2006-10-24 2008
169 나미( 米, 찹쌀) 2006-03-08 2009
» 백단향(白檀香) 2006-03-13 2012
167 제채근(薺菜根, 냉이뿌리) 2005-09-16 2016
166 진름미(陳 米, 묵은 쌀) [1] 2005-09-27 201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