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조선의 그 많던 누룩은 다 어디로 갔나?

조회 수 1176 추천 수 0 2021.06.29 21:49:01

전통주에 있어 막걸리나 약주를 만드는 재료를 간략히 하면 쌀, 누룩, 물을 꼽을 수 있다.

모든 재료가 각각 중요한 역할이 있지만 발효에 있어서는 누룩의 역할이 크다. 일반적으로 누룩은 밀기울(밀 껍질)에 물을 넣고 일정한 형태(사각, 원형 등)로 모양을 만든 후 적당한 온도에서 곰팡이와 함께 다양한 효모와 미생물을 성장 시킨 것을 이야기 한다.

이런 누룩은 술 제조 시 전분질 원료인 쌀 등을 분해해서 당을 만드는 역할과 누룩에 있는 효모로 하여금 분해된 당을 사용해서 알코올 생산을 하게 한다. 누룩 품질에 따라 알코올 생산량이나 맛, 향 등 전통주의 품질이 결정 된다고 이야기 할 정도로 중요도가 높다.


이렇듯 술 제조에 있어 중요한 일을 하는 누룩이지만 현재 술 제조에서 누룩의 지위는 높지 않은 듯하다. 현재 100% 전통 누룩을 이용해서 술을 만드는 양조장들은 많지 않다. 이러한 현상은 대규모 양조장으로 갈수록 확연하게 나타난다. 그렇다면 양조장의 누룩 사용량이 줄어들게 된 이유는 뭘까?


우리나라 누룩의 역사는 술의 역사와 같다. <고려도경(高麗圖經)>에 누룩에 관한 기록이 있다. 그보다 더 오래된 책인 <삼국사기>, <삼국유사> 등의 문헌에도 술에 대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술을 만드는데 필수 재료인 누룩도 삼국시대부터 있었을 것으로 추측한다.

이러한 누룩은 술 종류의 다양화, 고급화, 산업화가 되면서 같이 발달을 했다. 특히, 우리 술 종류의 체계가 완성된 조선시대에는 누룩을 파는 상점인 은국전(銀麯廛)이 종로의 시전 거리에 매우 많았다.


조선 후기 시전 풍경 다양한 시전들이 몰려있던 운종가의 모습
▲ 조선 후기 시전 풍경 다양한 시전들이 몰려있던 운종가의 모습

은국전은 조정에 세금을 내는 시전의 하나로 술을 빚는 사람들에게 누룩을 공급하는 일종의 상점이었다. 얼마나 많은 누룩들이 술을 만드는데 사용되었는지 중종대에는 도성의 각 시장에 누룩을 파는 데가 7, 8곳이 있어 하루에 거래량이 7백~8백 문이 되며, 그 누룩으로 술을 빚어 쌀 소비가 천 여석에 이르렀다고 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세금을 내지 않는 난전도 많았기에 실제 누룩생산량은 더 많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누룩의 사용은 근대화 시기까지 계속적으로 증가한다.

일제 강점기 때 조선의 양조 현황을 정리한 조선주조사에 따르면, 1924년 전국에 28,206개의 누룩 제조장이 있었고 면허 인원은 37,759명, 그 공장들이 만들던 누룩 양은 45,103톤이었다. 당시에는 각 지역에 소규모의 특색 있는 누룩 제조장이 있었다. 누룩 제조장이 많은 것은 다양한 술들이 생산된다는 의미일 것이다.

하지만 일본 식민지 시기에 세금을 걷기 위한 일본 입장에서 조선의 자가제조 및 판매용 누룩의 품질이 고르지 못해서 술 품질개선이 어렵다고 판단했다. 또한, 자가제조가 많다 보니 밀주의 원료로 제공될 수 있다는 정부의 판단으로 각 도에서는 누룩 제조장을 통합하기로 방침을 수립한다.

1923년경부터 경북을 시작으로 충북, 경기, 전북, 전남 등의 각 지방 별로 집약 시킴과 동시에 새로운 개량 곡자의 제조를 권장하였다. 경상남도의 경우 1927년 2,466곳의 누룩 생산 공장이 1929년에는 786곳으로 감소하였다. 이때부터 전국적으로 누룩 생산 공장의 감소가 일어났으며 우리 누룩의 다양성이 사라졌다고 볼 수 있다.

독립 이후에도 입국이라는 새로운 단일균을 이용한 흩임 누룩 제조방식이 우리나라에 널리 퍼지기 시작하면서 자연스럽게 전통 누룩으로 만든 술들은 설자리를 잃어 버렸다. 누룩의 소비가 줄어들면서 2,000개 이상 되던 누룩 제조회사가 현재 3곳 정도로 줄어들었다. 몇몇 작은 업체도 있지만 소량 생산에 그치고 있다.
 

다양한 누룩들 다양한 원료로 만들어진 전통누룩들
▲ 다양한 누룩들 다양한 원료로 만들어진 전통누룩들

업체들은 자신들의 술에 있어 특징을 가지기를 원한다. 이러한 특징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 다양한 미생물을 가진 전통 누룩일 것이다. 모든 양조장이 100% 누룩만 사용해서 술을 만들 필요는 없다.

소량의 누룩과 다른 발효제들을 사용해도 업체들마다 특색 있고 다양한 맛과 향을 가진 전통주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누룩은 전통주의 차별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좋은 재료라는 것을 양조장들이 알았으면 하고, 소비자들 역시 누룩을 사용한 전통주의 가치를 알았으면 한다.


출처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754881&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세계일보] 대장·우량·테마·급등주(酒)가 눈길을 끄는 주식(酒食) 시장 [조인선의 K트렌드] file

입력 : 2021-07-09 09:00:00 수정 : 2021-07-07 11:20:15 전통주가 이끄는 주식(酒食) 시장은 자본주의의 핵심임 주식회사에 대한 투자·거래가 진행되는 주식(株式) 시장과 비슷하다. 시장을 이끄는 ‘대장’이 있으며, 급격한 성장은 불가능하...

  • 누룩
  • 2021-07-15
  • 조회 수 1380

[중앙일보] 이래도 막걸리가 재활용 적? 곰표 막걸리의 '반전 포장법' file

입력 2021.06.28 11:30 수정 2021.06.28 17:49 한강주조가 만든 표문막걸리와 재활용이 잘되는 소재를 활용한 포장재. 한강주조 ‘MZ세대'(90년대생 밀레니얼 세대+2000년대생 Z세대) 사이에서 '힙'한 막걸리가 있다. 지난 4월 양조장 한강주조가 곰표와 협...

  • 누룩
  • 2021-07-05
  • 조회 수 1557

조선의 그 많던 누룩은 다 어디로 갔나?

전통주에 있어 막걸리나 약주를 만드는 재료를 간략히 하면 쌀, 누룩, 물을 꼽을 수 있다. 모든 재료가 각각 중요한 역할이 있지만 발효에 있어서는 누룩의 역할이 크다. 일반적으로 누룩은 밀기울(밀 껍질)에 물을 넣고 일정한 형태(사각, 원형 등)로 모양을 ...

  • 누룩
  • 2021-06-29
  • 조회 수 1176

춘천 술 페스타 앞두고 '붐업'…10월까지 전통주 알리기

10월 개최 전 사전 체험·시음·판매 '풍성' (춘천=연합뉴스) 이상학 기자 = 강원 춘천시가 전통주를 주제로 한 축제 '술 페스타'를 앞두고 사전 행사를 다채롭게 펼친다. 전통주[연합뉴스TV 제공] 술 페스타는 제조, 시음, 전시, 판매 등의 프로...

  • 누룩
  • 2021-06-17
  • 조회 수 941

[농촌여성신문] “밥해서 맛있는 쌀은 술로 빚어도 맛있어요” file

□여성 CEO열전···경기 여주 술아원 강진희 대표 이명애 기자 | love8798a@naver.com ▲ 술도 빚고 술도 즐긴다는 술아원의 강진희 대표 여주쌀로 빚은 과하주로 전통주의 대중화 꾀해 긴 원목 테이블에 감각적인 빨간 냉장고, 노출 콘...

  • 누룩
  • 2021-06-11
  • 조회 수 1948

[CEO Interview] 화요, K-주류 확산에 앞장서다

문세희 화요 대표 대한민국 전통주 시장은 화요 탄생 이전과 이후로 나눌 수 있다. 화요가 증류식 소주 부활의 신호탄이 됐기 때문이다. 국내를 넘어 세계로 뻗어 나가는 화요의 문세희 대표를 만났다. 한국 주류 업계의 베테랑 중 한 명이다. 증류주와 처음...

  • 누룩
  • 2021-06-10
  • 조회 수 1104

GS25에 술 자판기…유통이 '酒도권' 쥔다

편의점 GS25가 성인 인증 시스템을 갖춘 무인 주류 자판기를 도입한다. 서울지역 직영점 중 야간 무인점포에 우선 배치한 뒤 내년께 전국 매장에 도입할 예정이다. ‘점유율 1%를 올리려면 마케팅 비용만 100억원이 든다’고 할 정도로 영업력이 중시되던 ‘술판(...

  • 누룩
  • 2021-06-09
  • 조회 수 1106

[더술] OH~소리나는 5월 신상 전통주 file

달콤한 공휴일들이 가득했던 5월도 막바지에 접어 들었습니다. 행복한 가정의 달 5월을 다들 어떻게 보내셨나요? 우리술 양조장에서는 톡톡 튀는 개성으로 오~ 소리가 절로 나오는 신상 우리술들이 등장했습니다! 5월을 핫하게 달군 신상...

  • 누룩
  • 2021-06-08
  • 조회 수 1431

코로나 시대 편의점 양주, 2배 이상 팔렸다

고객이 GS리테일 주류 스마트오더 플랫폼 ‘와인25플러스’를 통해 GS25 편의점에서 상품을 구입하고 있다. [GS리테일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지난 1년간 편의점 이용객의 소비 패턴이 눈에 띄게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술시...

  • 누룩
  • 2021-06-07
  • 조회 수 1155

전통주 갤러리, ‘5년 이하 신생 양조장 대표들과의 만남’ 행사 진행

전통주갤러리에서 진행한 양조인과의 만남 행사 자료.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센터)가 설립한 전통주 홍보공간인 전통주갤러리는 지난 4월 개최한 ‘젊은 양조인과의 만남’에 이어 6월 5일 오전 11시부터 한 시간 동안 ‘창업 5...

  • 누룩
  • 2021-06-04
  • 조회 수 898

[아시아경제] 강진 ‘병영 소주’ 남도 전통주 품평회 최우수상 수상 file

최종수정 2021.06.02 10:40 기사입력 2021.06.02 10:40 병영양조장 김견식 식품명인의 원칙과 소신으로 전통 방식 그대로 생산 병영양조장 김견식 대표 (사진=강진군 제공) 병영양조장이 위치한 강진군 병영면...

  • 누룩
  • 2021-06-03
  • 조회 수 1218

[스포츠조선] 행주산성주가 '냥이탁주9', 힙한 프리미엄 막걸리로 주목 file

기사입력 2021-05-30 12:47:57 행주산성주가의 '냥이탁주9'가 힙한 프리미엄 막걸리로 주목받고 있다. 알콜도수가 9%인 냥이탁주9은 경기도 고양시 지역특산주로서,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을 주재료로 사용하여 만들어졌다. ...

  • 누룩
  • 2021-06-01
  • 조회 수 1542

[세계일보] 서민들과 함께 울고 웃었던 막걸리… 제2 전성시대 맞는다 [이슈 속으로] file

입력 : 2021-05-22 19:00:00 수정 : 2021-05-22 19:32:04 ‘막걸리 빚기’ 무형문화재 지정 예고 ‘거칠고 빠르게 걸러진 술’… 전통주의 기초 쌀·누룩·물만 있으면 누구나 만들수 있어 ‘쌀 문화권’ 대표주… 대중화 진행 한국 유일 전문가 “한국문화 재인식 ...

  • 누룩
  • 2021-05-26
  • 조회 수 1322

유럽 포트 와인보다 먼저 만들어진 조선 과하주

갑작스러운 더위다. 올 여름은 시작도 빠르고 기온도 높을 거라 예상을 하고 있다. 전통주에게 여름은 반갑지 않은 계절이다. 더워질수록 청량감 있는 맥주를 많이 찾기 때문이다. 또한, 발효주가 많은 전통주는 여름 유통 과정에서 변질되기가 쉽다. 물론 현...

  • 누룩
  • 2021-05-25
  • 조회 수 1110

“전통주 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체계 마련 절실”

한국가양주연구소 류인수 소장 “막걸리를 비롯한 전통주도 전 세계 사람들에게 충분히 매력적입니다. 다만 전통주를 제대로 알릴 수 있는 체계가 아직 안 잡혀 있다는 점이 아쉽죠.” 전통주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한국가양주연구소 류인수(사진) 소장...

  • 누룩
  • 2021-05-24
  • 조회 수 97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