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유럽 포트 와인보다 먼저 만들어진 조선 과하주

조회 수 1131 추천 수 0 2021.05.25 11:22:43

갑작스러운 더위다. 올 여름은 시작도 빠르고 기온도 높을 거라 예상을 하고 있다. 전통주에게 여름은 반갑지 않은 계절이다. 더워질수록 청량감 있는 맥주를 많이 찾기 때문이다. 또한, 발효주가 많은 전통주는 여름 유통 과정에서 변질되기가 쉽다.

물론 현대에 있어서는 냉장 시설의 발달로 술이 쉬어서 버려지는 경우는 없다. 하지만 과거 냉장 시설이 없던 여름에 바로 만든 술을 제외하고 보관을 하면서 술을 마시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 중에 하나였다.

하지만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여름에 마시는 술을 만들기에 이르렀다. 과하주(過夏酒)가 그것이다. 지날 과(過), 여름 하(夏), 술 주(酒). 이름 그대로 온도와 습도가 높은 여름철에 술이 상하는 것을 극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만든 술이다. 과하주는 탁주와 청주의 발효 중간에 도수가 높은 증류식 소주를 넣어 저장성을 높였다.

과하주는 탁주나 청주보다 도수가 높고, 달다. 단맛은 탁주나 청주의 발효 과정 중에 독한 소주로 인해 미생물들의 활동이 중단되면서 술 속 당 성분이 소비되지 않고 남아서다. 결과적으로 술의 단맛은 유지되고 술맛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과하주 과하주가 완성된 모습
▲ 과하주 과하주가 완성된 모습


과하주가 언제부터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졌는지는 정확하지 않다. 첫 기록이 1670년 <음식디미방>이라는 문헌에서 언급되어 있는 것을 보면 실제 술을 빚는 것은 그 이전부터 였음을 추측할 수 있다. 물론 과하주라는 술이 소주를 넣어서 만들어지는 술이기에 소주가 만들어진 이후에 가능했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소주 제조법이 우리나라에 퍼지기 전에 이미 만들어진 다른 술들을 빚고 있던 술에 부어서 알코올을 높이고 보존기간을 연장한 제조법들은 존재하고 있었다. 결국 증류주가 발달하면서 발효주 첨가 제조법에 소주를 넣는 방법이 추가 되었고, 그에 따라 과거에는 없던 형태의 술인 과하주가 탄생하게 된 것이다.


술 제조법의 보면 세상에 비슷한 제조법을 가진 술이 존재하는 데는 우연보단 필연이 작동한다는 생각이 든다. 비슷한 제조법으로 만든 술이 외국에도 있다. 포르투갈의 포트(Port), 마데이라(Madeira) 와인과 스페인의 셰리(Sherry), 프랑스의 뱅 두 나투렐(Vin Doux Naturel), 이탈리아의 마르살라(Marsala)가 같은 술이다.

모두 과실주를 증류해 만든 브랜디를 발효하는 과정에서 첨가시켜 달콤한 맛을 내는 주정강화 와인들이다. 와인에 증류주를 추가해 저장성을 높인 것이다. 포트 와인도 과하주와 마찬가지로 저장성이 높다. 유럽은 16세기 이후 대항해시대를 통해 발효주(와인)를 변패시키지 않고 먼 곳까지 옮겨야 하는 필요성이 커졌다.

특히, 17세기 영국과 프랑스가 주축이 되어 벌린 스페인 왕위 계승전쟁으로 영국의 와인 수입상들이 프랑스 대신 포르투갈에서 와인을 수입하게 되었다. 이때 수송거리가 길어지면서 와인이 상하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와인에 증류주를 넣은 것이 포트 와인의 시작이다.

오크통 포트와인이 숙성되는 오크통
▲ 오크통 포트와인이 숙성되는 오크통

          

 이러한 문헌상의 기록이나 사실들을 종합해 보면 과하주가 외국의 포트 와인 제조법보다 100년 정도 앞선 제조법이라 이야기 할 수 있을 듯하다. 조상들은 증류주 제조법을 외국으로부터 받았지만 그 제조법을 우리 제조법과 결합시켜 새로운 술을 외국보다 빠르게 발전시킨 셈이다.

과하주는 개화기에도 많은 사람들이 마셨다. 최남선은 '조선상식문답'에서 조선의 유명한 술을 언급하면서 전국적 유명한 술로 감홍로, 이강고, 죽력고를 이야기했다. 하지만 여기에 덧붙여 특정 시기(봄, 여름)에 마시기 좋은 술로는 경성 과하주(여름)와 금천 두견주(봄)를 꼽았다.

일제강점기 우리 술을 조사한 '조선주조사'를 살펴보아도 개화기 때 많이 만들어지고 소비된 술로 조선탁주, 조선약주 외에도 과하주, 감홍로 등을 소개하고 있다. 과하주를 조선 고급 음료로 소개를 하는 것으로 보아 많은 사람들이 마셨고 대중화되어 있었던 술로 보인다.

구매력이 상승하면서 외국의 다양하고 좋은 술들이 수입이 되고 있다. 과거에 견줘 전통주의 맛과 품질이 좋아졌다. 하지만 많은 사람이 외국 술의 가치는 높게 평가하면서도 전통주는 낮게 본다.

과하주가 포트 와인이나 셰리와인과 견주어서 결코 맛이 떨어지지 않는 데도 사람들은 과하주를 알지 못한다. 조상들이 많이 마셨던 좋은 술들이 현대인의 입맛에 맞춰 새롭게 생산되고 있다. 이제 맥주나 와인, 위스키의 관심처럼 핫 하게 떠오르는 전통주에 관심을 가져도 될 때이다.
 

다양한 전통주들 박람회에 진열되어 있는 많은 종류의 전통주
▲ 다양한 전통주들 박람회에 진열되어 있는 많은 종류의 전통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한국경제][집코노미] 산속 집에서는 술이 익고…산마을에 양조장 차리고 귀농한 부부

산속에 있는 1층 양조장과 2층 주택의 모습. 집 앞 논에 농사를 지은 쌀로 누룩을 빚는다. 김경래 대표 제공 “커피를 드릴까요? 술을 드릴까요?” 겹으로 쌓인 깊은 산 너머 마을로 귀농한 부부는, 구불구불한 산길을 몇 번이고 뒤척이며 찾아간 손님에게 해가...

  • 누룩
  • 2019-03-14
  • 조회 수 1389

[조선일보][2019 주류 트렌드]① 희석 소주 안 마셔요, ‘증류식 소주’ 주세요

"온더락으로… 적게 마시는 대신, 좋은 술 먹겠다" ‘일품진로 18년산’ 품절… 온라인서 20만원에 거래 증류식 소주, 주류시장에서 ‘나홀로 고공 성장’ 원본보기 한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모던한식 레스토랑’에서는 증류식 소주를 비롯 다양한 전통주를 요리...

  • 누룩
  • 2019-03-15
  • 조회 수 1783

[foodnews]농진청 기술이전 전통주 특별전 강남 전통주갤러리 19~24일 개최

▲ 농촌진흥청의 기술이전으로 산업화 한 전통주 12종에 대한 특별 전시회가 19일부터 24일까지 전통주 갤러리(서울 강남)에서 열린다.[식품저널]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에서 개발한 기술로 상품화한 우리술이 19일부터 24일까지 전통주 갤러리(서울 강남구)...

  • 누룩
  • 2019-03-19
  • 조회 수 2350

[조선일보][2019 주류 트렌드]③ 막걸리, 이제 와인처럼 마신다… ‘프리미엄 막걸리' 시장 쑥쑥

청와대 건배주 ‘이화백주', 저온숙성한 ‘해창막걸리' ‘술취한 원숭이' 등... 완성도 높은 맛, 10배 이상 비싼 가격에도 저항감 없어 요즘은 막걸리도 와인처럼 맛과 향을 따져가며 마신다. 사진은 한 전통주 품평회에 참가한 여성이 막걸리를 시음하는 모습./...

  • 누룩
  • 2019-03-26
  • 조회 수 2625

전통주 소비, 젊은 호기심과 만나다: 술담화 인터뷰 file

[이정윤의 미식탐구-3] 꽃, 화장품, 미술작품, 잡지, 전통주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모두 정기구독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공통점이 있다. 지난 5년간 온라인 커머스에서 지속적으로 높은 성장률을 보인 분야가 바로 큐레이션 기반의 정기구독 서비스다. 소비자가...

  • 누룩
  • 2019-04-05
  • 조회 수 2321

[스포츠Q]전통주·시낭송·공연 '서울 술 페스티벌' 열린다... 20일 서래마을 공원서

[스포츠Q(큐) 류수근 기자] 한국의 프리미엄 전통주와 세계 음악, 그리고 세계 명시를 함께 즐길 수 있는 서울 술 페스티벌이 개최된다. 술을 매개로 한 예술 축제를 지향하는 '서울 술 페스티벌(Seoul Sool Festival)'은 서울의 프랑스로 알려진 서초구 서래...

  • 누룩
  • 2019-04-09
  • 조회 수 1462

[중앙일보] 봄엔 이 술을 마셔야…입맛 돋우는 제철음식과 전통주

지난 13일 논현동의 이탈리안 레스토랑 ‘솔트2호점’에서 재밌는 모임이 열렸다. 봄 제철 식재료로 만든 음식과 전통주를 함께 시식하는 자리였다. 솔트의 주인이자 요리연구가인 홍신애씨와 ‘대동여주도(酒)’ 콘텐트 제작이자 음주문화연구가인 이지민씨가 각...

  • 누룩
  • 2019-04-16
  • 조회 수 1732

[문화저널21]주(酒)당의 봄나들이, 품격있게 취해보자

전통주부터 세계술까지…술에 취하고 이야기에 취하고 국순당 주향로부터 세계술문화박물관, 술테마박물관까지 애주가 겨냥한 봄맞이 행사들 봇물…알수록 맛있는 술(酒) 봄은 술 한잔 기울이기 좋은 계절이다. 옛날에는 한해 농사를 지내기 전 ‘머슴날’이라 해...

  • 누룩
  • 2019-04-23
  • 조회 수 1269

[문화저널21]막걸리야, 규제 벗고 날자…과일막걸리 쏟아지나

탁주‧약주‧청주 총산규격 삭제된다…제품 개발폭 넓어져 산도높은 새콤달콤 과일들, 생막걸리 원료로 활용할 길 ‘활짝’ 식약처가 막걸리의 총산규격을 삭제하면서 ‘자몽을 담은 생막걸리’, ‘라임을 품은 생막걸리’ 등 산도가 높은 과일들을 활용한 생막걸리 제...

  • 누룩
  • 2019-04-30
  • 조회 수 1917

[데일리안]주세법 개편안 연기…주류업계 '동상이몽' vs. 업계 탓하는 정부

김유연 기자(yy9088@dailian.co.kr) 기사더보기 + 정부, 주종별 갈등·주류 가격 인상…무기한 연기 셈법 복잡한 업계…업종간 타협 '관건' ▲ 편의점 내 진열된 주류 제품들.ⓒ데일리안 늦어도 이달 초 발표가 예상됐던 주세 개...

  • 누룩
  • 2019-05-09
  • 조회 수 1472

[조선일보]혀 꼬인 정부, 취했나

[Close-up] "주세법 바꿉시다"… "아니, 늦춥시다"… 결국 없던 일로 2년 갈팡질팡 주세법… 커지는 백지화 가능성 주세법 개편이 결국 2년 넘게 갈팡질팡하다 좌초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13일 "주종별 입장 차가 첨예해 주세법 개정을 백지화하고...

  • 누룩
  • 2019-05-14
  • 조회 수 2620

[중부일보][행복한 청년 농부] 김담희 (주)좋은술 팀장, '천비향' 백화점 고급주류로 납품… 젊은이도 즐기는 전통주 만들 것

“하고 있는 일도, 하고 싶은 일도 많아요.” 김담희(23) ㈜좋은술(평택시 오성면 소재) 팀장의 말이다. 김 팀장은 전통주 농업회사법인의 새내기 후계농이자 견습생이지만, 훗날 자신만의 전통주를 중심으로 한 레스토랑과 체험공...

  • 누룩
  • 2019-05-21
  • 조회 수 2043

[뉴스토마토](피플)"막걸리 고급스런 가치, 이제는 소비자가 인정한다" file

[뉴스토마토 정해훈 기자] 박선영 국순당 연구소 주류개발팀장 "발효제어기술 개발한 것 주효" "우리 술 복원하며 조상의 노하우 발견…현대에 맞게 개발해 제품화할 것" 한동안 침체에 빠졌던 막걸리 시장이 점차 활기를 띠고 있다. 올해 들어 대형마트와 편의...

  • 누룩
  • 2019-05-23
  • 조회 수 1474

[충청뉴스]aT, 한국 전통주에 흠뻑 취하다 file

막걸리 호평“부드러운 맛, 쌀의 영양 그대로”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개호)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이병호)는 지난 22일부터 3일간 독일 라이프치히 컨벤션센터(CCL)에서 개최된 「2019 국제교통포럼(ITF : International Transport Forum) 교통장...

  • 누룩
  • 2019-05-28
  • 조회 수 1285

[조선비즈] 신인건 술샘 대표 “증류주, 40도 정도 돼야 향과 맛이 제대로 느껴져”

지역특산주 면허로 술 빚어 올해 매출은 작년의 배 될듯 청년 일자리 늘리는데도 역할 전통주, 우리 술을 마시는 젊은층이 최근 늘고 있다. 2018년 나온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에 따르면 20~30대가 자주 찾는 서울 강남·홍대·이태원 등지에서 전통주가 과거보다 ...

  • 누룩
  • 2019-06-04
  • 조회 수 175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