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연합뉴스] [酒먹방] 전통주 업계의 '퍼스트 펭귄'

조회 수 1668 추천 수 0 2021.03.26 21:13:58

송고시간2021-03-19 07:30

용인 술샘

(용인=연합뉴스) 김희선 기자 = 용인에 있는 양조장 술샘은 전통주 업계의 '퍼스트 펭귄'을 자처한다.

그다지 길지 않은 업력에도 불구하고 술샘이 전통주 시장을 이끄는 선두 주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것은 전통의 굴레에만 갇혀있지 않고 끊임없이 새로운 도전을 해왔기 때문이다.

술샘에서 만드는 다양한 전통주들이 양조장 선반에 진열되어 있다. [사진/조보희 기자]

술샘에서 만드는 다양한 전통주들이 양조장 선반에 진열되어 있다. [사진/조보희 기자]

◇ 홍국쌀 막걸리, 떠먹는 이화주…전통의 현대화

새빨간 색상으로 눈길을 끄는 막걸리 '술취한 원숭이', 밀누룩이 아닌 쌀누룩으로 빚어 글루텐이 없는 막걸리 '아임프리', 전통 양조법을 그대로 살려 빚은 약주 '감사'와 증류주 '미르', 고려시대부터 즐겨 먹던 떠먹는 술을 재현한 '이화주', 증류주에 오미자를 침출해 만든 리큐르 '술샘 16', 쌀로 만든 여러 가지 식초와 누룩소금…

술샘의 제품은 모두 나열하기 힘들 정도로 다양하다.

막걸리부터 약주, 증류주, 리큐르, 이화주에 이르기까지 쌀로 만들 수 있는 전통술은 모두 만들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술 하나하나가 지닌 '면모'와 '경력'도 예사롭지 않다.

술샘의 출발점이 됐던 증류주 '미르'는 2018년 '대한민국 우리술 품평회'에서 대통령상을 받으면서 이름을 널리 알린 술이다.

아무런 첨가물 없이 전통 누룩과 멥쌀, 물로만 세 차례 빚은 삼양주를 20일가량 발효시킨 뒤 맑은 부분만 증류해 항아리에서 1년 이상 숙성시킨다.

알코올 도수에 따라 '미르 25', '미르 40', '미르 54' 세 가지로 출시된다.


알코올 도수에 따라 '미르 25', '미르 40', '미르 54' 세 가지로 출시된다.

증류주 '미르'는 전통 항아리에서 1년 이상 숙성한다. [사진/조보희 기자]

증류주 '미르'는 전통 항아리에서 1년 이상 숙성한다. [사진/조보희 기자]

청량하고 깔끔한 맛의 비결은 재료와 증류 방식에 있다.

감미료를 사용하지 않는 소규모 양조장들이 단맛을 내기 위해 찹쌀과 멥쌀을 섞어 술을 빚는 경우가 많지만, 미르를 비롯한 술샘의 모든 술은 찹쌀이 아닌 멥쌀로만 만든다.

신인건 대표는 "찹쌀은 달고 부드러우면서도 막혀 있는 느낌이 드는 반면, 멥쌀은 드라이하고 날카로우면서도 확장성이 있다"면서 "지게미를 모두 제거하고 맑은 술만 증류시키고 증류할 때 처음 나오는 술과 나중에 나오는 술은 버리는 것도 잡내 없이 깔끔한 맛을 내는 비결"이라고 설명했다.


대형 증류 시설을 갖춘 증류실. 신인건 대표가 증류주 제조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조보희 기자]


                        대형 증류 시설을 갖춘 증류실. 신인건 대표가 증류주 제조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조보희 기자]


2015년 우리술 품평회에서 장려상을 받은 이화주는 요구르트처럼 숟가락으로 떠먹는 술이다.

고려시대부터 양반가에서 즐겨 먹었던 술로, 술샘이 처음 되살려 전통주 시장에 선보였다.

이화주는 직접 빚은 쌀누룩에 쌀과 아주 소량의 물을 넣어 발효시킨다.

쌀을 고두밥 형태로 넣지 않고 구멍떡이나 백설기로 만들어 누룩과 치대 빚는 것이 특징이다.

들어가는 쌀 양에 비해 나오는 술 양이 아주 적어 100㎖ 한 통에 7천원이나 하지만, 2019년 개수로는 술샘에서 가장 많은 판매량을 기록한 인기 제품이다.

요구르트처럼 새콤달콤하고 유산균이 많이 들어 있어 장에 좋다고 한다.

신 대표는 "쌀로 떡을 만들어 누룩과 치대는 것이 힘들어 만들기 쉽지 않은 술"이라며 "이화주를 되살리는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많이 겪었다"고 말했다.

홍국쌀로 빚은 막걸리 '술취한 원숭이'를 병입하고 있다. [사진/조보희 기자]

홍국쌀로 빚은 막걸리 '술취한 원숭이'를 병입하고 있다. [사진/조보희 기자]


새빨간 빛깔이 인상적인 '술취한 원숭이'는 술샘에서 요즘 가장 '뜨거운' 술이다.

2016년 출시 이후 전통주를 즐기는 젊은이들 사이에서 꾸준히 호응을 얻었는데, 최근 방송을 타면서 수요가 급증해 지금 주문하면 한 달 이상 기다려야 받아볼 수 있다.

이 술은 술샘이 2016년 원숭이해를 기념해 처음 선보인 막걸리다.

토마토 주스나 딸기주스를 연상시키는 새빨간 색상 때문에 색소나 첨가물이 들어갔을 것 같지만, 이 술 역시 쌀과 누룩, 물로만 빚는다.

빨간색을 내는 주인공은 다름 아닌 홍국쌀이다. 홍국쌀은 일반 쌀에 홍국(모나스쿠스)으로 불리는 곰팡이를 넣어 발효시켜 붉은빛을 띄는 쌀이다.

발효과정에서 분비되는 모나콜린 케이(monacolin-K)라는 물질이 콜레스테롤을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약재나 건강식품에 널리 쓰인다.

술샘은 첨가물 없이 누룩과 쌀, 물만으로 술을 제조한다. (왼쪽부터)누룩, 홍국쌀, 멥쌀 [사진/조보희 기자]

술샘은 첨가물 없이 누룩과 쌀, 물만으로 술을 제조한다. (왼쪽부터)누룩, 홍국쌀, 멥쌀 [사진/조보희 기자]

지금은 다른 양조장에서도 홍국쌀 막걸리가 나오고 있지만, 홍국쌀로 빚은 술을 처음 선보인 것은 술샘이었다.

'술취한 원숭이' 역시 밑술을 빚은 뒤 고두밥을 두 차례 첨가하는 삼양주 방식으로 빚는데, 마지막 술을 빚을 때 홍국쌀을 일반 쌀과 같이 쪄서 넣는다고 한다.

여러 차례 시험한 결과 알코올 도수가 10도 내외일 때 가장 맛이 좋아 도수는 10.8도로 맞췄다. 108번뇌를 10분의 1로 줄여준다는 의미를 담았다고 한다.

홍국쌀로 빚어 붉은빛을 띄는 막걸리 '붉은 원숭이' [사진/조보희 기자]

홍국쌀로 빚어 붉은빛을 띄는 막걸리 '붉은 원숭이' [사진/조보희 기자]

생막걸리인 '술취한 원숭이'에 살균 과정을 거친 '붉은 원숭이'도 있다.

발효과정을 거친 홍국쌀로 빚어서인지 살균 막걸리가 지니는 특유의 살균취가 없어 '붉은 원숭이'도 '술취한 원숭이'만큼 많이 팔린다고 한다.

◇ 고속 성장 비결은 끊임없는 도전과 시도

술샘은 2012년 설립된 양조장이다. 신인건 현 대표를 비롯해 한국가양주연구소에서 양조를 같이 배운 동기생 5명이 의기투합해 만들었다.

학생부터, 전업주부, 은퇴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경력을 지닌 5명이 모여 서울 양재동 20평 사무실에서 공방처럼 시작했는데, 사업이 커져 지금은 전통주 업계를 이끄는 양조장으로 자리 잡았다.

신 대표는 자동차업계에서 10년, 건축업계에서 10년을 일한 뒤 귀농해 농사를 짓다 취미 삼아 양조를 배우기 시작했다고 한다.

술샘 양조장 건물. 양조장과 카페, 체험공간 등으로 구성돼 있다. [사진/조보희 기자]

술샘 양조장 건물. 양조장과 카페, 체험공간 등으로 구성돼 있다. [사진/조보희 기자]

술샘은 코로나19 여파가 컸던 작년을 제외하고는 매년 매출이 200%씩 증가할 정도로 높은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다.

현재 생산량은 일주일에 5천∼6천병에 달한다.

술샘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면서 전통주 시장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것은 양조의 기본을 지키면서도 전통의 굴레에만 묶여있지 않고 끊임없이 새로운 시도를 해왔기 때문이다.

홍국쌀 막걸리나 이화주의 성공이 이를 보여준다.

신 대표는 "누룩취를 싫어하는 젊은이들의 취향에 맞춰 개량 누룩 쓰는 것도 주저하지 않는다"면서 "장기 숙성이 필요한 증류주 이외의 술은 항아리보다 위생적이고 온도 조절이 쉬운 스테인리스 발효조를 쓰는 등 전통을 무조건 고집하지만은 않는다"고 했다.

대형 스테인리스 발효조가 늘어서 있는 발효실. 막걸리와 약주는 온도 조절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스테인리스 통에서 발효·숙성된다. [사진/조보희 기자]

대형 스테인리스 발효조가 늘어서 있는 발효실. 막걸리와 약주는 온도 조절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스테인리스 통에서 발효·숙성된다. [사진/조보희 기자]

술샘은 수요 증가에 맞춰 대량생산 시스템을 갖춰 가면서도 새로운 도전을 멈추지 않고 있다.

올해에는 막걸리가 아니지만 탄산이 있는 신개념 전통주와 감압 증류 방식으로 은은한 향을 살린 '미르 라이트'를 선보일 예정이다.

신 대표는 "프리미엄 전통주 시장 주요 소비층인 20∼30대의 기호에 맞는 신제품을 계속 내는 것이 살아남는 길"이라고 말했다.

※ 이 기사는 연합뉴스가 발행하는 월간 '연합이매진' 2021년 3월호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hisunny@yna.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연합뉴스] [酒먹방] 전통주 업계의 '퍼스트 펭귄'

송고시간2021-03-19 07:30 용인 술샘 (용인=연합뉴스) 김희선 기자 = 용인에 있는 양조장 술샘은 전통주 업계의 '퍼스트 펭귄'을 자처한다. 그다지 길지 않은 업력에도 불구하고 술샘이 전통주 시장을 이끄는 선두 주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것은 전통의...

  • 누룩
  • 2021-03-26
  • 조회 수 1668

농식품부, 전통주 제조업체 품질관리 지원에 나서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는 전통주 업체를 대상으로 전통주의 품질․위생관리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 「전통주 품질관리 지원사업」을 6월부터 실시한다고 밝혔다. ❍ 전통주 업체는 대부분 영세하여 제조시설이 노후화되고, 사업주가 고령화되어 전통주의 ...

  • 누룩
  • 2013-06-05
  • 조회 수 1668

주당들은 ‘술맛’ 다시세요, 전통주들이 ‘설빔’ 입고 온대요.

ㆍ‘값싼 술’·‘케케묵은 술’ 편견 넘어 고급·대중화 두 토끼 몰이…잊혀진 문화 복원 더불어 최근 주류 소비 경향도 반영 한국인에게 첫 술잔의 기억은 대부분 명절 음복례에서 시작된다. 차례상을 물리고 가족이 모여앉아 음식을 나눠 먹는 시간. 어른들도 이날...

  • 누룩
  • 2014-01-27
  • 조회 수 1659

[건강레시피] 피로가 쌓인 날, 커피 대신 ‘생강초꿀음료’를…

피로, 식욕 부진, 위장 기능 저하에 효과적 www.bandiortho.com[서초구]치아교정으로 달라진 나의 인생 ▲생강초꿀음료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꿀에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많고 쉽게 흡수되는 당분까지 포함돼 있어서...

  • 누룩
  • 2014-07-28
  • 조회 수 1658

소믈리에타임즈 2017 그레이트 코리안 비어 페스티벌(Great Korean Beer Festival), 수제맥주축제 개최

2017 그레이트 코리안 비어 페스티벌(Great Korean Beer Festival), 수제맥주축제 개최이정연 기자l -->승인2017.04.14 10:31:55 트위터 페이스북 --> ▲ 2017 그레이트 코리안 비어 페스티발(GKBF...

  • 누룩
  • 2017-04-17
  • 조회 수 1656

동아일보 [박경모 전문기자의 젊은 장인]혼(魂) 술

[박경모 전문기자의 젊은 장인]혼(魂) 술박경모전문기자 입력 2017-02-01 03:00:00 수정 2017-02-01 03:38:39  강진희 씨(44·전통주 양조장 술아원 대표)가 서울 강남구 역삼동 전통주갤러리에서 막걸리 만드는 과정을 시연하고 있다. 강 씨는 한국가양주연...

  • 누룩
  • 2017-02-01
  • 조회 수 1656

[서울신문]역대 대통령의 명절선물 보니...

전통주 사랑은 노무현,문재인 순 우리나라에는 명절이면 고마운 분에게 감사의 의미로 선물을 전달하는 아름다움 풍습이 있다. 대통령도 예외가 아니다. 청와대에서는 대통령 명절 선물을 전직 대통령과 5부요인, 정계원로, 정부 고위공직자,종교문화계 인사는...

  • 누룩
  • 2019-08-22
  • 조회 수 1655

왕이 사랑한 전통주와 전통음식

한국전통음식연구소, ‘제8회 전통주와 전통음식 만남 축제’ 개최 >> 0; i >> 0; i >> 0; i >> 0; i >> 0; i >> 0; i >> 0; i >> 0; if (length === 0) return -1; i = Number(i); if (isNaN(i)) { i = 0; } else if (i !== 0...

  • 누룩
  • 2015-05-08
  • 조회 수 1652

국세청, 전통주 활성화 ‘통신판매 확대·판매량 제한 폐지’

국세청, 전통주 활성화 ‘통신판매 확대·판매량 제한 폐지’무자료거래, 불법 리베이트 수수, 가짜양주 유통 등 문란행위 단속 강화 전통주 통신판매 수단 확대, 판매수량 제한 폐지 등 전통주 활성화를 위한 지원책이 마련됐다. 국세청...

  • 누룩
  • 2016-07-19
  • 조회 수 1650

트래블바이크뉴스 도심 속 우리술 여행, Best 3 ! 술맛나는 전통주 체험까지

서울권에서 우리술 배우고 마시자 외국인들의 입맛을 사로잡은 우리술을 보다 가까이서 접할 수 있다. 사진은 광명동굴. 사진/ 광명문화관광 [트래블바이크뉴스=권라희 기자] 요즘 인기 있는 여행 예능프로그램에서 이른바 ‘외국인의 막걸리 먹...

  • 누룩
  • 2018-01-23
  • 조회 수 1644

사찰의 곡차 문화를 이어오다, 완주 수왕사의 송화백일주

사찰의 곡차 문화를 이어오다, 완주 수왕사의 송화백일주 조선닷컴 주류문화 칼럼니스트 명욱 mw0422@chosun.com 입력 : 2016.05.12 09:00 인류의 역사 속에서 종교적인 색채가 가장 강했던 음료가 하나 있다. 중세 이후 유럽...

  • 누룩
  • 2016-05-12
  • 조회 수 1642

[중앙일보] 이래도 막걸리가 재활용 적? 곰표 막걸리의 '반전 포장법' file

입력 2021.06.28 11:30 수정 2021.06.28 17:49 한강주조가 만든 표문막걸리와 재활용이 잘되는 소재를 활용한 포장재. 한강주조 ‘MZ세대'(90년대생 밀레니얼 세대+2000년대생 Z세대) 사이에서 '힙'한 막걸리가 있다. 지난 4월 양조장 한강주조가 곰표와 협...

  • 누룩
  • 2021-07-05
  • 조회 수 1639

[조선비즈][박순욱의 술기행](18) 전통주점 인기 1위 술은 ‘탄산 막걸리’인 이화백주 file

전국 최대규모 전통주점 백곰막걸리, 2019년 판매순위 발표 막걸리는 이화백주, 복순도가, 해창막걸리가 1~3위 약주는 풍정사계 춘, 청진주, 제주오메기맑은술 등이 인기 증류식소주는 미르25, 이강주25, 황금보리소주17 등이 많이 팔려 300여종의 전통술을...

  • 누룩
  • 2020-01-30
  • 조회 수 1639

[이코노믹리뷰 ] [사람이 답이다] 우리 술 명맥 잇는 ‘젊은 주조사들’한강주조, 이상욱·고성용·정덕영·이한순 공동대표

▲ 왼쪽부터 이상욱 대표, 이한순 실장, 고성용 대표, 정덕영 실장. 사진=이코노믹리뷰 임형택 기자 [이코노믹리뷰=김덕호 기자] 고성용(브랜드 마케터), 이상욱(인테리어 디자이너), 정덕영(자동차 디자이너), 이한순(패션 마케터),창업멤버들의 행적과 쌓아...

  • 누룩
  • 2019-08-08
  • 조회 수 1638

[이데일리] 집콕-혼술족 늘자...전통주 온라인 판매 대박났네 file

11번가·G마켓 등 온라인 쇼핑몰서 전통주 매출 증가 혼술족 전통주 관심 높아… 인터넷 주문 가능해 편리 전통주 업체, 프리미엄 및 다양화로 승부수 등록 2020-11-26 오전 5:00:00 수정 2020-11-26 오전 5:00:00 [이데일리 김무연 기자] 온라인 쇼핑 플랫폼...

  • 누룩
  • 2020-11-26
  • 조회 수 163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