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화수(井華水, 새벽에 처음 길은 우물물)

조회 수 2083 추천 수 1 2006.02.17 08:50:30
정화수(井華水, 새벽에 처음 길은 우물물)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달며[甘] 독은 없다. 몹시 놀라서 9규로 피가 나오는 것을 치료하는데 입에서 냄새가 나는 것도 없애고 얼굴빛도 좋아지게 하며 눈에 생긴 군살과 예막도 없애며 술을 마신 뒤에 생긴 열리(熱痢)도 낫게 한다. 정화수란 새벽에 처음으로 길어온 우물물을 말한다[본초].

○ 정화수에는 하늘의 정기가 몰려 떠 있기 때문에 여기에 보음(補陰)약을 넣고 달여서 오래 살게 하는 알약을 만든다. 깨끗한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매일 이 물에 차를 넣고 달여서 마시고 머리와 눈을 깨끗하게 씻는 데 아주 좋다고 한다. 이 물의 성질과 맛은 눈 녹은 물(雪水)과 같다[정전].

○ 정화수는 약을 먹을 때나 알약을 만들 때에도 다 쓰는데 그릇에 담아 술이나 식초에 담가 두면 변하지 않는다[본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가입인사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06-11-07 11359
45 약누룩을 만드는 방법[造神麴法] 2005-09-27 2974
44 직미(稷米, 피쌀) 2005-09-27 2551
43 패자미(稗子米, 돌피쌀) 2005-09-27 2339
42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2005-09-27 2239
41 대맥면(大麥麵, 보리쌀가루) [1] 2005-09-27 2235
40 청과맥(靑顆麥, 쌀보리) 2005-09-27 1954
39 출미( 米, 찰기장쌀) [1] 2005-09-27 2288
38 단서미(丹黍米, 붉은 기장쌀) 2005-09-27 2360
37 서미(黍米, 기장쌀) 2005-09-27 2750
36 청량미(靑梁米, 생동쌀) 2005-09-27 2395
35 나미( 米, 찹쌀) 2005-09-27 1972
34 진름미(陳 米, 묵은 쌀) [1] 2005-09-27 2036
33 갱미(粳米, 멥쌀) 2005-09-27 2148
32 속미감즙(粟米 汁, 좁쌀 씻은 물) 2005-09-27 2035
31 속미분구(粟米粉 , 좁쌀미싯가루) 2005-09-27 2950
30 속미분(粟米粉, 좁쌀가루) 2005-09-27 2130
29 진속미(陳粟米, 묵은 좁쌀) 2005-09-27 2003
28 속미(粟米, 좁쌀) 2005-09-27 2557
27 영실근(營實根, 찔레나무뿌리) 2005-09-16 2981
26 총근( 根, 파뿌리) 2005-09-16 228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