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조선일보]혀 꼬인 정부, 취했나

조회 수 2616 추천 수 0 2019.05.14 12:32:57

[Close-up] "주세법 바꿉시다"… "아니, 늦춥시다"… 결국 없던 일로
2년 갈팡질팡 주세법… 커지는 백지화 가능성

주세법 개편이 결국 2년 넘게 갈팡질팡하다 좌초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13일 "주종별 입장 차가 첨예해 주세법 개정을 백지화하고 현행 체계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실제 정부가 주세법 개정을 백지화할 경우 특히 수입 맥주와의 세금 체계 역차별을 호소했던 국내 맥주 업계의 반발이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맥주 업체 관계자는 "국산을 억지로 보호해 달라는 것도 아니고 최소한 외국산과 차별만 없애 달라는 것인데 정부가 왜 해결책을 못 내놓는지 답답하다"고 말했다.

맥주 업계 "기울어진 운동장 똑바로"

한국의 주세 제도는 종가세(從價稅)에 바탕을 두고 있다. 제조 원가나 수입가 등 가격을 기준으로 세금을 매기는 제도다. 같은 주종(酒種)에서도 세금이 달라질 수 있다. 2017년 초부터 이 제도를 개편해야 한다는 논의가 진행됐다. 종가세를 주류 용량이나 알코올 농도 등을 기준으로 세금을 부과하는 종량세(從量稅)로 바꾸는 게 골자다. 종량세는 종가세와 달리 같은 주종에서 세금이 비슷해진다.

주종별 종량세 입장 외
종량세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하는 대표적인 업계가 국산 맥주 업계다. 국산 맥주 업계는 "현행 주세법은 기울어진 운동장"이라고 말한다. 현행 주세법에서 국내 맥주의 경우 제조 원가와 이윤 등을 포함한 가격을 세금 매기는 기준으로 삼는 반면 수입 맥주는 업체가 임의대로 정하는 신고가를 기준으로 세금을 매긴다. 국내 맥주와 수입 맥주의 세금을 매기는 기준인 과세표준액부터 차이가 난다. 문제는 과세표준액을 기준으로 주세·교육세·부가세 등이 따라붙는다는 것이다. 통상 수입 맥주가 국내 맥주보다 과세표준액이 낮기 때문에 업체가 도매상에 주는 출고가에서 국내 맥주가 수제 맥주보다 2배 가까이 높은 경우까지 있다.〈그래픽 참조〉 국내 맥주 업체 관계자는 "국내 맥주와 수입 맥주의 가격 경쟁이 불가능한 구조"라고 말했다.

국내 맥주 업체는 종가세 때문에 국내 맥주 업체까지 외국에 나가 맥주를 만들어 수입하는 바람에 국내 일자리까지 줄어들고 있다고 호소한다.

국내 맥주 시장에서 수입 맥주의 점유율은 급격히 커지고 있다. 편의점을 중심으로 '수입 맥주 4캔에 1만원' 행사가 일반화하면서 2012년 3.9%에 불과했던 수입 맥주 점유율은 지난해 22.6%까지 커졌다. 업계에선 올해 수입 맥주의 점유율이 30%를 넘어설 것으로 본다. 하이트진로롯데주류의 맥주 공장 가동률은 30%대 수준까지 떨어졌다. 오비맥주는 2016년까지 국내에서 생산했던 버드와이저와 호가든 캔맥주를 2017년부터 해외에서 전량 생산해 수입하고 있다.

스텝 꼬인 정부… 수제맥주협회 "생존을 위한 선택의 기로에 섰다"

맥주에서 논의가 시작된 주세법 개편은 지난해 7월 김동연 당시 부총리가 "(소주를 포함하는) 전 주종의 조세 형평성을 고려해 주세법 개정을 재검토한다"고 밝히면서 새 국면을 맞았다. 그해 11월 기재부는 "내년(2019년) 3월까지 개편안을 제출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이 또한 지켜지지 않았다. 지난 2월 홍남기 부총리는 "4월 말에서 5월 초 발표하겠다"고 했는데, 기재부는 지난 7일 돌연 발표 시점을 연기했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주세법 개편을 전 주종으로 확대하겠다고 공언하면서 스텝이 꼬였다"고 말했다. 주종별로 업계 입장이 다른데 한 번에 주세법을 개편하려다가 결론을 낼 수 없는 상황에 처했다는 것이다. 소주와 전통주 업체 중에선 가격(세금) 인상이 없을 경우 종량세 전환에 찬성할 수 있다는 입장이 많다. 정부는 주세법 개편으로 '국민 술'인 소주의 가격 인상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위스키 등 고가 주류는 주세법 개편으로 가격 인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일부 수입 주류는 오히려 종량세 체제에서 가격이 상승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정부가 중심을 잡지 못하는 상황에서 맥주 업계는 답답함을 호소한다. 맥주 업체 관계자는 "맥주는 현행 종가세로 실질적인 피해를 받는 유일한 주종"이라며 "정부가 전 주종 개편이라는 풀 수 없는 문제를 스스로 출제하고 문제 풀기를 포기한 셈"이라고 말했다. 지난 7일 기재부가 주세법 개정 발표 시점을 연기하자 한국수제맥주협회는 "사실상 2년을 허송세월로 보내는 바람에 많은 맥주 업체는 생존을 위한 선택의 기로에 섰다"는 입장문을 냈다.


☞종가세와 종량세

종가세(從價稅)는 제조 원가나 수입가 등 가격을 기준으로, 종량세(從量稅)는 주류 용량이나 알코올 농도 등을 기준으로 세금을 부과한다. 국내 맥주업계는 영업이익을 포함한 제조원가를 세금 부과 기준으로 하는 국내 맥주와 달리 수입 맥주는 업체가 임의대로 정할 수 있는 신고가를 기준으로 해 공정한 가격 경쟁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경기도 대표 전통주 선 보인다.

aT센터 '2014 슬로푸드위크' 행사장에 홍보관 운영 경기도가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서울 양재동 aT센터 전시장에서 열리는 '2014 슬로푸드위크' 행사에 전통주 홍보관을 운영한다. 도는 홍보관에 대한민국 우리술 품평회에서 입상한 대농바이오의 '만품...

  • 누룩
  • 2014-12-11
  • 조회 수 1026

소통·나눔 그리고 자연을 맛보다.

본보 후원 ‘슬로푸드’ 잊혀진 맛 재발견 올바른 먹을거리로 소통과 나눔을 체험할 수 있는 따뜻한 밥상 나눔바자 ‘2014 슬로푸드 위크’가 12~14일 사흘간 서울 양재동 aT센터 제1전시장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국제슬로푸드한국협회(회장 김종덕)가 주최하고...

  • 누룩
  • 2014-12-15
  • 조회 수 1027

[웰빙의 역설]술과 최고의 궁합은 식초안주

연말이 되니 송년회가 많다. 연이은 술자리로 인해 몸도 피곤하고 숙취 때문에 고생도 많다. 하지만 어차피 겪어야 할 일이라면 보다 건강한 방법으로 술과 안주를 선택하는 것도 좋겠다. 체질에 따라 맞는 술도 다르고 술에 따라 맞는 안주의 궁합도 다르기 ...

  • 누룩
  • 2014-12-17
  • 조회 수 1564

[웰빙의 역설]술과 최고의 궁합은 식초안주

연말이 되니 송년회가 많다. 연이은 술자리로 인해 몸도 피곤하고 숙취 때문에 고생도 많다. 하지만 어차피 겪어야 할 일이라면 보다 건강한 방법으로 술과 안주를 선택하는 것도 좋겠다. 체질에 따라 맞는 술도 다르고 술에 따라 맞는 안주의 궁합도 다르기 ...

  • 누룩
  • 2014-12-17
  • 조회 수 1070

<화려한 빛깔과 이색적인 맛 전통주 칵테일>

▲ 칵테일 (사진: 조은선(St.HELLo))전통주하면 탁한 빛깔, 투박한 그릇, 질펀한 분위기가 먼저 떠오르는가. 그렇지 않다. 분위기를 내고 싶을 때는 빛깔 좋고 화려하면서 세련되게 즐길 수 있는 전통주 칵테일이 있다. 전통주 칵테일에 붙여...

  • 누룩
  • 2014-12-19
  • 조회 수 1996

김보성, 막걸리 홍보 나서..'전통주에 대한 의리!'

사진=서경덕 성신여대 교양학부 교수 연구팀 제공 --> 배우 김보성이 막걸리 홍보에 나선다. 22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김보성이 전통주 홍보를 위한 '막걸리 유랑단'에 합류한다고 밝혔다. '막걸리 유랑단' 행사는 지난 4월 배우 송일국과 함께 시작한 것...

  • 누룩
  • 2014-12-22
  • 조회 수 1066

"가벼워진 송년회, 전통주로 분위기 살리자~!"

연말 송년 모임 분위기가 변하고 있다. 지속된 불황에 폭음 대신 간단히 식사와 반주로 마무리하는 술자리가 많아지면서 가볍게 마실 수 있는 주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부드러운 목 넘김에 간에 부담을 덜어주는 저도주 전통주가 소비자들을 사...

  • 누룩
  • 2014-12-24
  • 조회 수 956

인류 최초의 조미료 ‘먹시감식초’

■ 한국의 맛을 되살린다 - 맛의 방주에 오른 토종먹거리 20가지 ⑤먹시감식초 사라질 위기에 놓인 종자나 음식이 국제적으로 맛의 방주에 등재돼 온 인류가 함께 지켜나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난해 한국의 토종 먹거리 자원 8가지가 등재된데 이어, 올...

  • 누룩
  • 2014-12-26
  • 조회 수 1472

[경제학자의 우리 술 이야기]약주, 너는 누구냐? [1]

약주(藥酒)는 한국의 여러 술 중에서 사람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술이다. 약주는 많이 찾지도 않지만 어떤 술인지 아는 사람도 별로 없다. 글자 그대로 보면 약주는 약이 되는 술 즉, 인삼주, 구기자술, 뱀술(?) 등과 같이 건강을 위해 마시는 술인 것 같다. 그...

  • 누룩
  • 2014-12-29
  • 조회 수 1459

'술과 세상에 대한 진지한 대화' file

■ 2014 소금시 ‘소금시-술’ 우리나라 대표시인 220명 술 소재 작품 모아 발간‘ 소금의 역할을 하는 술’을 소재로 2014년 소금시 앤솔로지를 묶었다. 시인 220명이 술을 놓고 쓴 시를 담았다. ‘벗은 설움에 반갑고/님은 사랑에서 좋아라/딸기꽃 피어서 향기...

  • 누룩
  • 2014-12-31
  • 조회 수 1251

[농촌진흥청과 함께하는 식품보감] <25> 장 담그듯 집집마다 빚은 술 ‘가양주’(家釀酒)

쌀·물·누룩만 있으면 신선 놀음 따로 없네 술은 음식과 함께 한 나라의 문화를 대변하는 음료로서 종교에서 일상 생활에 이르기까지 일반화돼 있다. 술은 그 지방의 기후나 토양에서 나온 원료와 미생물이 만나 자연이 빚어낸 음료다. 서양에서 포도주는 ...

  • 누룩
  • 2015-01-02
  • 조회 수 1325

내 몸의 해독제 전통식초

과일·곡물 원재료 100% 발효시켜 만들어 유기산·비타민 풍부 체내 독소 제거 다이어트·피부미용에도 좋아 식초가 건강식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홍초, 흑초, 발사믹 식초를 물에 타 마시거나 샐러드 드레싱으로 활용하는 모습은 흔한 풍경이 됐다. 식초를 ...

  • 누룩
  • 2015-01-05
  • 조회 수 1957

찾아가는 양조장, 일본인 대상 시음회 진행

지난 23일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지정한 ‘찾아가는 양조장’ 10곳에서 일본인 대상으로 시음행사를 진행하였다. (사)한국막걸리협회에서 운영하는 명예 막걸리 소믈리에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일본인들이 참가하였으며, 30여 명의 참가자 중 7명은 이날 행사를 위...

  • 누룩
  • 2015-01-07
  • 조회 수 1808

주류도 달라졌다..첨가물 빼고 주재료 함량 높여 진한 맛으로 승부

주류시장에서 주재료 본연의 맛을 살린 ‘진한 술’이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막걸리는 주재료인 쌀의 함량을 ...

  • 누룩
  • 2015-01-09
  • 조회 수 1203

전통주 시장, 막걸리 필두로 전성기 되찾을까?

[뉴스토마토 정해훈기자] 막걸리 산업의 발전을 위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협력하기로 하면서 침체에 빠진 전통주 시장이 활기를 얻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12일 업계와 동반성장위원회에 따르면 대한탁약주제조중앙회, 한국막걸리협회와 국순당(043650), 롯...

  • 누룩
  • 2015-01-13
  • 조회 수 98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