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한국경제][집코노미] 산속 집에서는 술이 익고…산마을에 양조장 차리고 귀농한 부부

조회 수 1379 추천 수 0 2019.03.14 18:44:29

산속에 있는 1층 양조장과 2층 주택의 모습. 집 앞 논에 농사를 지은 쌀로 누룩을 빚는다. 김경래 대표 제공

“커피를 드릴까요? 술을 드릴까요?”

겹으로 쌓인 깊은 산 너머 마을로 귀농한 부부는, 구불구불한 산길을 몇 번이고 뒤척이며 찾아간 손님에게 해가 중천인데 “술을 마시겠느냐?”고 물었다. 실내에 배인 은은한 누룩향과 실험실처럼 보이는 창 너머 풍경이 술을 당기게 했다. 이 집에서는 술을 청해야 할 것 같았다.

주인 부부는 투명하고 노랗고 우윳빛 액체가 담긴 오이처럼 길쭉한 병을 탁자 위에 내놓는다. ‘삼선’ ‘애석’ ‘메밀로’ 등의 이름이 붙은 전통방식으로 직접 담근 술이다.


한 잔씩 따라 맛을 보니 잡내 없이 깨끗하고 뒷맛이 달다. ‘삼선’은 막걸리 사발에 어울리고 ‘애석’은 와인잔에 맞다. 메밀을 원료로 해 증류한 ‘메밀로’는 알코올 25도로 소주잔에 따르면 제격이다. 술기운에 얼굴이 화끈거린다. 마당에 나오니 겨울 끝자락 날씨는 여전히 추운데 햇살에는 봄기운이 완연하다. 가깝고 먼 산들과 조그만 마을 풍경이 수채화를 닮았다.

강원도 홍천은 산이 많고 계곡이 깊은 것으로 유명하다. 산길을 따라가다 손바닥만 한 들판이라도 나타나면 조그만 마을이 있고 사람이 산다. 그 깊은 골짜기를 어떻게 알고 찾아왔는지 도시서 살러 온 이들도 흔히 만날 수 있다.

김경찬, 구은경 씨 부부. 김경래 대표 제공

산속의 작은 마을 홍천군 내촌면에 귀농해 양조장을 운영하는 김경찬 구은경 씨 부부도 도시서 살다 왔다. 쉰과 마흔여덟으로 두 살 터울인 부부는 대학을 졸업하던 95년 KT에 입사했다. 직장에 다니며 전원생활을 먼저 얘기한 것은 부인 구은경 씨다.

아내가 원하는 일이라 김경찬 씨도 일찌감치 귀농을 결심하고 있던 중 2014년도에 명예퇴직할 기회가 생겨 퇴직 후 홍천으로 들어왔다.
물론 귀농을 하겠다는 맘을 먹은 후 준비를 꾸준히 했다. 회사에 다니며 주말을 이용해 귀농교육을 받으러 다닌 것만도 얼추 10여 년은 된다. 단순한 전원생활이라면 쉬울 수도 있겠지만, 일하고 수익을 만들어 살아야 하는 귀농은 쉽지 않다는 것을 교육을 받으면 받을수록 더욱 절감했다. 나만이 할 수 있는 무엇인가를 찾아야만 했는데 그렇게 고민에 고민을 거듭해 결심한 것이 전통주 제조다.

부부는 술을 잘 못 마신다. 맥주 두 잔이면 취기가 오른다. 회사 다닐 때 이것이 핸디캡이었고 회식자리의 소주잔 건배는 고통이었다. 우연히 전통주를 마셔볼 기회가 있었는데 술을 못하지만 좋았다. 감칠맛이 나고 기분 좋게 취했다. 이후 자신들처럼 술을 못 하는 사람들도 마실 수 있는 전통주에 관심을 갖게 됐다.

양조장에 딱 맞는 땅을 찾아 전국을 10여 년간 누볐다. 그러다 귀농교육을 통해 알게 된 지인의 도움으로 지금의 땅을 만나 터를 잡았다. 집터로 최고로 치는 동남향, 남향이 아닌 동북향인데 누룩 발효에 최적의 조건이다. 문 앞에는 논이 있어 무농약으로 직접 쌀농사를 지어 천연 누룩을 만들 수 있고, 좀 떨어진 곳에 밭을 마련해 밀을 재배해 밀누룩을 만든다.

터는 골랐지만, 술을 만드는 양조장을 지으려니 이것저것 걸리는 것이 많았다.

주택에서는 주류를 만들어 팔 수 없어 건물 자체를 2종근린생활시설로 지어야 했는데 그 과정서 문제가 생겼다. 진입로 폭이 4m가 되지 않아 건축허가를 받을 수 없었다. 시간이 길어지면서 할 수 없이 홍천 읍내에 셋집을 얻어 살면서 집짓기에 매달렸다. 그렇게 1년이란 시간을 투자해 허가를 받고 2층 건물을 지었다. 1층은 양조장이고 2층은 살림집인 구조다.

임시 거처로 정했던 읍내 셋집을 정리하고 새로 지은 집으로 이사는 했지만, 술은 바로 만들 수 없었다. 술을 만들어 팔려니 주류법에 따라 주류제조면허도 있어야 했고 식품위생법에서 정한 식품제조가공업 허가도 받아야 했다. 건축물도 기준에 맞아야 했지만, 각종 시설기준도 갖추어야 했다. 그 과정을 거쳐 전통주 제조판매회사인 ‘농업회사법인 두루전통양조’가 탄생했다. ‘두루’는 순우리말로 ‘빠짐없이 골고루’란 뜻이다.

귀농해 양조장인 농업회사법인 두루주식회사를 차린 김경찬, 구은경 씨 부부가 직접 만든 전통주들. 김경래 대표 제공

술을 본격적으로 만들기 시작한 것은 올해로 4년 차다. 제일 처음 내놓은 술이 ‘삼선’이다. 알코올 10%인 이 술은 프리미엄 막걸리다. 마을에 세 명의 정승이 난다는 풍수 명당 삼선대가 있는데 그곳의 기운을 담아 빚었다 하여 ‘삼선’이란 이름을 붙였다.

이후 알코올 15%인 ‘애석’을 내놓았다. 좋은 사람들과 술을 마시다 보면 ‘차츰 줄어드는 술을 애석해 한다’는 의미다. 석탄주(惜呑酒)란 말이 있다. 술맛이 좋아서 또는 좋은 사람들과 어울려 마시는 술이 줄어드는 것이 아쉬워 ‘아껴 마신다’는 뜻이다. ‘애석’은 바로 이런 술이다.

메밀과 쌀을 원료로 한 증류주 ‘메밀露’는 알코올 25%의 증류주다. 밤새 증류를 하다 보면 한 방울 한 방울이 이슬을 받아 내는 것처럼 신성하다. ‘신의 물방울’이란 말을 실감한다. 그렇게 내려서 만든 술이다.

올해는 알코올 30%의 담금 소주도 선보였다. 전통 증류 방식으로 생산한 술로 매실 딸기 등 과일이나 약초 등을 담글 때 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양조장과 살림집을 짓고 술을 만들고 알리는 일로 투자만 했다. 그 과정에서 애초 계획했던 자금보다 세 배 정도 더 들었다. 부부의 퇴직금까지 모두 투자가 됐다. ‘예산의 세 배를 써야 완성된다’는 경험자들의 충고를 절감하고 있다.

현재는 인터넷 판매를 주로 하는데 입소문을 타고 찾는 사람들이 많이 늘고 있다. 올해 매출 목표는 6억 원이다. 발효실을 가득 메운 항아리에서는 맑은 술이 익어가는 것만 봐도 뿌듯하다. 몇 날 몇 밤을 더 익어야 부부는 귀농으로도 성공할 수 있다.

양조장을 뒤로하고 마을 길을 나서는데 푸르러 질 것만 기다리는 무논 가득 오후 볕이 따사롭다. 술 익는 산골 집이 성채처럼 빛난다.

전원생활 문답

[문] 도로가 없는 땅에도 전원주택을 지을 수 있나요?

[답] 전원주택은 법정용어가 아닙니다. 자연과 어우러진 단독주택을 일반적으로 전원주택이라고 하는데 건축법상에서는 단독주택이고 신축을 하려면 폭 4m 이상의 진입로를 확보해야 합니다. 하지만 농촌의 마을 길이 대부분 좁기 때문에 현실에 맞게 지자체들이 탄력 운영을 하고 있어 차량 운행이 가능한 도로만 있으면 살림집 정도는 지을 수 있다고 보면 됩니다.

주택을 지으려면 토지 지목이 대지라야 하고 대지가 아니면 개발행위허가를 받아 대지로 만들어야 합니다.

이때 도로와의 관계가 중요한데 사업부지가 시·군도 등 법정도로에 접하지 않고 별도 도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허가면적에 따라 도로 폭 기준이 다릅니다.

개발행위허가규모가 △5천㎡ 미만은 4m 이상 △5천㎡ ~ 3만㎡ 미만은 6m 이상 △3만㎡ 이상은 8m 이상의 도로 폭을 확보해야 합니다. 하지만 농촌마을에서 4m 이상 도로 확보가 사실상 어렵기 때문에 지자체 실정에 맞는 규정을 마련해 내 집을 짓기 위해 개발행위를 받을 때는 기존도로로 허가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도로는 지적도상에 있어야 합니다. 주의할 점은 시골 땅은 지적도상에 도로가 있어도 현황을 확인해보면 하천 등으로 유실된 경우도 많고, 주민들이 장기간 다른 용도로 무단 사용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현장 확인이 필요합니다. 또 측량을 해보면 지적이 달라져 지적상 도로와 현황도로가 차이가 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도로가 없는 땅에 도로를 만드는 방법으로는 우선 도로에 해당하는 토지주를 만나 도로 부분만큼 매입하는 것입니다. `토지사용승낙서`를 받는 방법도 있습니다. 도로에 해당되는 토지주를 만나 토지를 빌리는 것입니다. 조건을 정해 계약을 하고 토지주의 인감도장을 날인한 후 인감증명서를 첨부한 동의서가 있으면 도로개설이 가능합니다. 토지사용승낙을 받은 목적이 인허가 목적(도로 개설)과 부합해야 합니다. 도로가 있어도 다른 사람 소유의 토지(사도)라면 경우에 따라 `도로사용승낙서`를 받아야 합니다.

[문] 집에서 아무나 술을 담가 팔 수 있나요?

[답] 술을 만들어 판매하려면 주류제조면허가 있어야 합니다. 귀농 귀촌해 집에서 술을 만들거나 음식점에서 직접 술을 만들어 판매할 경우 대부분 소규모주류제조면허를 받습니다.

주세법 시행령에 따른 시설기준을 갖추고 탁주나 약주, 청주 또는 맥주를 제조해 그 영업장에서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하거나 다른 사업자의 영업장에 판매할 수 있습니다. 올 2월부터 소규모주류제조면허로 담근술과 같은 과실주(와인)도 만들어 판매를 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소규모주류제조면허라 해서 쉬운 것은 아닙니다. 우선 건축물이 주택인 경우에는 안 됩니다. 2종근린생활시설로 돼 있어야 하고 용도가 맞아야 합니다. 건축 예정이라면 시설조건부로 건축 전에 미리 면허부터 받을 수 있는데 이때는 면허를 받은 날로부터 6개월 이내 착수 하고 1년 이내에 완공해야 합니다.

소규모주류제조면허를 받으려면 일정 규모의 담금·저장조 시설이 필요합니다. 이런 시설을 갖추어 관할세무서에 서류를 제출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

주류면허를 받은 후에는 식약처에 식품제조가공업으로 영업등록을 해야 판매가 가능합니다. 식당이나 카페 등에서 조리한 음식과 함께 판매한다면 식품접객업으로 허가를 받거나 신고를 해야 합니다. 이때 주류면허증과 식품위생교육이수증, 건강진단서 등이 필요합니다.

글=김경래 OK시골 대표
정리=집코노미

출처 :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903050316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한국경제][집코노미] 산속 집에서는 술이 익고…산마을에 양조장 차리고 귀농한 부부

산속에 있는 1층 양조장과 2층 주택의 모습. 집 앞 논에 농사를 지은 쌀로 누룩을 빚는다. 김경래 대표 제공 “커피를 드릴까요? 술을 드릴까요?” 겹으로 쌓인 깊은 산 너머 마을로 귀농한 부부는, 구불구불한 산길을 몇 번이고 뒤척이며 찾아간 손님에게 해가...

  • 누룩
  • 2019-03-14
  • 조회 수 1379

[조선일보][2019 주류 트렌드]① 희석 소주 안 마셔요, ‘증류식 소주’ 주세요

"온더락으로… 적게 마시는 대신, 좋은 술 먹겠다" ‘일품진로 18년산’ 품절… 온라인서 20만원에 거래 증류식 소주, 주류시장에서 ‘나홀로 고공 성장’ 원본보기 한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모던한식 레스토랑’에서는 증류식 소주를 비롯 다양한 전통주를 요리...

  • 누룩
  • 2019-03-15
  • 조회 수 1776

[foodnews]농진청 기술이전 전통주 특별전 강남 전통주갤러리 19~24일 개최

▲ 농촌진흥청의 기술이전으로 산업화 한 전통주 12종에 대한 특별 전시회가 19일부터 24일까지 전통주 갤러리(서울 강남)에서 열린다.[식품저널]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에서 개발한 기술로 상품화한 우리술이 19일부터 24일까지 전통주 갤러리(서울 강남구)...

  • 누룩
  • 2019-03-19
  • 조회 수 2333

[조선일보][2019 주류 트렌드]③ 막걸리, 이제 와인처럼 마신다… ‘프리미엄 막걸리' 시장 쑥쑥

청와대 건배주 ‘이화백주', 저온숙성한 ‘해창막걸리' ‘술취한 원숭이' 등... 완성도 높은 맛, 10배 이상 비싼 가격에도 저항감 없어 요즘은 막걸리도 와인처럼 맛과 향을 따져가며 마신다. 사진은 한 전통주 품평회에 참가한 여성이 막걸리를 시음하는 모습./...

  • 누룩
  • 2019-03-26
  • 조회 수 2602

전통주 소비, 젊은 호기심과 만나다: 술담화 인터뷰 file

[이정윤의 미식탐구-3] 꽃, 화장품, 미술작품, 잡지, 전통주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모두 정기구독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공통점이 있다. 지난 5년간 온라인 커머스에서 지속적으로 높은 성장률을 보인 분야가 바로 큐레이션 기반의 정기구독 서비스다. 소비자가...

  • 누룩
  • 2019-04-05
  • 조회 수 2315

[스포츠Q]전통주·시낭송·공연 '서울 술 페스티벌' 열린다... 20일 서래마을 공원서

[스포츠Q(큐) 류수근 기자] 한국의 프리미엄 전통주와 세계 음악, 그리고 세계 명시를 함께 즐길 수 있는 서울 술 페스티벌이 개최된다. 술을 매개로 한 예술 축제를 지향하는 '서울 술 페스티벌(Seoul Sool Festival)'은 서울의 프랑스로 알려진 서초구 서래...

  • 누룩
  • 2019-04-09
  • 조회 수 1458

[중앙일보] 봄엔 이 술을 마셔야…입맛 돋우는 제철음식과 전통주

지난 13일 논현동의 이탈리안 레스토랑 ‘솔트2호점’에서 재밌는 모임이 열렸다. 봄 제철 식재료로 만든 음식과 전통주를 함께 시식하는 자리였다. 솔트의 주인이자 요리연구가인 홍신애씨와 ‘대동여주도(酒)’ 콘텐트 제작이자 음주문화연구가인 이지민씨가 각...

  • 누룩
  • 2019-04-16
  • 조회 수 1724

[문화저널21]주(酒)당의 봄나들이, 품격있게 취해보자

전통주부터 세계술까지…술에 취하고 이야기에 취하고 국순당 주향로부터 세계술문화박물관, 술테마박물관까지 애주가 겨냥한 봄맞이 행사들 봇물…알수록 맛있는 술(酒) 봄은 술 한잔 기울이기 좋은 계절이다. 옛날에는 한해 농사를 지내기 전 ‘머슴날’이라 해...

  • 누룩
  • 2019-04-23
  • 조회 수 1262

[문화저널21]막걸리야, 규제 벗고 날자…과일막걸리 쏟아지나

탁주‧약주‧청주 총산규격 삭제된다…제품 개발폭 넓어져 산도높은 새콤달콤 과일들, 생막걸리 원료로 활용할 길 ‘활짝’ 식약처가 막걸리의 총산규격을 삭제하면서 ‘자몽을 담은 생막걸리’, ‘라임을 품은 생막걸리’ 등 산도가 높은 과일들을 활용한 생막걸리 제...

  • 누룩
  • 2019-04-30
  • 조회 수 1904

[데일리안]주세법 개편안 연기…주류업계 '동상이몽' vs. 업계 탓하는 정부

김유연 기자(yy9088@dailian.co.kr) 기사더보기 + 정부, 주종별 갈등·주류 가격 인상…무기한 연기 셈법 복잡한 업계…업종간 타협 '관건' ▲ 편의점 내 진열된 주류 제품들.ⓒ데일리안 늦어도 이달 초 발표가 예상됐던 주세 개...

  • 누룩
  • 2019-05-09
  • 조회 수 1463

[조선일보]혀 꼬인 정부, 취했나

[Close-up] "주세법 바꿉시다"… "아니, 늦춥시다"… 결국 없던 일로 2년 갈팡질팡 주세법… 커지는 백지화 가능성 주세법 개편이 결국 2년 넘게 갈팡질팡하다 좌초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13일 "주종별 입장 차가 첨예해 주세법 개정을 백지화하고...

  • 누룩
  • 2019-05-14
  • 조회 수 2602

[중부일보][행복한 청년 농부] 김담희 (주)좋은술 팀장, '천비향' 백화점 고급주류로 납품… 젊은이도 즐기는 전통주 만들 것

“하고 있는 일도, 하고 싶은 일도 많아요.” 김담희(23) ㈜좋은술(평택시 오성면 소재) 팀장의 말이다. 김 팀장은 전통주 농업회사법인의 새내기 후계농이자 견습생이지만, 훗날 자신만의 전통주를 중심으로 한 레스토랑과 체험공...

  • 누룩
  • 2019-05-21
  • 조회 수 2034

[뉴스토마토](피플)"막걸리 고급스런 가치, 이제는 소비자가 인정한다" file

[뉴스토마토 정해훈 기자] 박선영 국순당 연구소 주류개발팀장 "발효제어기술 개발한 것 주효" "우리 술 복원하며 조상의 노하우 발견…현대에 맞게 개발해 제품화할 것" 한동안 침체에 빠졌던 막걸리 시장이 점차 활기를 띠고 있다. 올해 들어 대형마트와 편의...

  • 누룩
  • 2019-05-23
  • 조회 수 1466

[충청뉴스]aT, 한국 전통주에 흠뻑 취하다 file

막걸리 호평“부드러운 맛, 쌀의 영양 그대로”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개호)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이병호)는 지난 22일부터 3일간 독일 라이프치히 컨벤션센터(CCL)에서 개최된 「2019 국제교통포럼(ITF : International Transport Forum) 교통장...

  • 누룩
  • 2019-05-28
  • 조회 수 1285

[조선비즈] 신인건 술샘 대표 “증류주, 40도 정도 돼야 향과 맛이 제대로 느껴져”

지역특산주 면허로 술 빚어 올해 매출은 작년의 배 될듯 청년 일자리 늘리는데도 역할 전통주, 우리 술을 마시는 젊은층이 최근 늘고 있다. 2018년 나온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에 따르면 20~30대가 자주 찾는 서울 강남·홍대·이태원 등지에서 전통주가 과거보다 ...

  • 누룩
  • 2019-06-04
  • 조회 수 174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