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향토 브랜드를 찾아서] 화성탁주 "술로 끝장보자"는 정신으로 전통주 명맥 유지

조회 수 2356 추천 수 0 2019.02.19 13:41:39
자전거에 막걸리를 싣고 납품하던 청년은 세월이 지나 100년 전통 양조장의 3대 대표가 됐다. 박장우(70) ‘화성탁주’ 대표는 20대 초반 주류도매업을 하면서 ‘술로 끝장을 보자’고 결심했다. 수십 년 뒤인 1990년 ‘남양탁주’를 인수, 본격적으로 양조업에 뛰어들었다. 남양탁주는 2000년 발안합동양조장을 인수하고 오늘의 화성탁주로 거듭났다. 밀로 빚은 화성탁주와 남양탁주에는 그윽한 진미와 더불어 100년 전통의 자부심, 맛을 위해 고수하는 저온숙성이란 가치가 담겨있다.


◇100년 전통의 양조장= 화성탁주의 전신인 남양탁주는 1대 대표가 1920년 전후 일제강점기에 문을 연 이후 현재 3대 박 대표까지 100년의 세월을 이어왔다. 남양탁주(화성시 남양읍 남양리)는 1대와 2대를 거치며 70년의 세월을 보냈다. 박 대표는 남양탁주를 인수한 뒤 남양읍 송림리로 양조장을 이전했다. 발안합동양조장(화성시 팔탄면 구장리)을 추가 인수한 뒤에는 사명을 화성탁주로 개명했다. 양조장의 위치는 바뀌었지만 전통을 고수하려는 의지는 그대로 잇고 있다. 박 대표가 1대부터 사용하던 항아리를 40개 물려받아 막걸리를 빚어 온 까닭이다.

하지만 시대는 변했고, 현대화 물살은 더욱 거세졌다. 지난 2013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권고에 따라 항아리를 통한 제조방식도 중단했다.

박 대표는 “항아리는 외기(外氣)의 변화에서 막걸리를 안정적으로 지켜주는데 식약처 권고에 따라 바꾼 스테인리스스틸 발효조는 항아리보다는 이 기능이 다소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일반인들이 차이를 알기란 쉽지 않다. 박 대표는 “항아리의 맛이 100이라면, 스테인리스는 95 정도”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잠시 항아리 생산을 멈췄을 뿐이라고 다짐하곤 합니다. 항아리 발효방식으로 다시 생산하기 위해 항아리 전용제조장을 준비하고 있어요.”



◇빵 냄새 나는 밀 막걸리= 쌀이 아닌 밀로 빚는 화성탁주와 남양탁주의 발효조에서는 갓 구운 빵과 비슷한 고소한 냄새가 난다.

박 대표는 “화성탁주는 양산을 하는 공장이 아닌 수제로 생산하며 정통성이 깃들어 있기 때문에 대량생산되는 제품과 분명한 맛의 차이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음식을 만들 때 장난을 치거나 인위적으로 맛을 쓰지 않는다”면서 “아스파탐, 스테비아 등 천연감미료만 첨가한다”고 자부했다.

대부분 양조장은 28~32℃ 중·고온숙성법을 따르지만, 화성탁주는 15~16℃의 저온숙성법으로 생산하고 있다. 숙성기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지만, 영양소 파괴가 적고 더욱 부드러운 술맛을 위해 고수한다는 게 박 대표의 설명이다.

“저온숙성법은 수제라서 까다롭지만, 맛의 균일화와 안정성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지역명주 유지·보존 사명”= 일본 정종, 독일 맥주, 프랑스 와인 등에서는 마을마다 특색이 있는 지역명주가 존재한다.

박 대표는 “각 선진국에서 대량생산하지 않고 한정판매하는 형식으로 전통주를 유지해 오고 있다”면서 “화성탁주도 대량생산과 판매수익보다는 지역명주로서 유지·보존하는 방향으로 영위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현행법 상 지역전통의 맥을 잇는 양조장을 육성하기란 어렵다는 게 박 대표의 토로다.

“일괄규제로 인해 전통주 육성으로부터 점점 멀어지고 있어요. 도리어 전통이 망실되는 것이죠. 이에 대해 보완이 절실합니다.”

출처 : 중부일보(http://www.joongboo.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전통주도 섬세하다. file

  • 누룩
  • 2015-01-15
  • 조회 수 1333

한식재단, 민간단체와 한식협의회 구성한다.

민간단체 한식협의회 MOU 체결식 19일 오전 서울 서초구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민간단체 한식협의회 구성 업무협약식'에서 한식 관련 민간단체 대표들이 협약서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민간단체 한식협의회는 한식 진흥 사업을 통합하고 그...

  • 누룩
  • 2015-01-19
  • 조회 수 983

전통주 발굴 육성 및 명품화 선도에 앞장서

충남명품주RIS사업단 장윤승 단장 명절 때만 판매·음용되는 술로 인식돼 온 전통주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대중화·고급화하면서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명주로 거듭나고 있다. 이런 흐름 속에서 전통주의 발굴·육성 및 명품화를 선도해 가는 건양대학교의 충...

  • 누룩
  • 2015-01-21
  • 조회 수 1892

미리 알아보는 2015년에 있을 다양한 막걸리와 전통주 행사

2015년이 시작된 게 엊그제 같지만 벌써 2월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이때 즈음이면 전통주 관련 단체 및 기관에서 한 해의 농사를 짓기 위해 다양한 막걸리 및 전통주 행사를 기획하는데, 2015년에는 과연 어떤 행사들이 있을까? 맛과 멋, 그리고 흥이 있는 우...

  • 누룩
  • 2015-01-23
  • 조회 수 1313

이동필 "하우스 막걸리 도입·고급 브랜드화 추진"

이동필 장관 인터뷰 (서울=연합뉴스) 이지은 기자 =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사무실에서 연합뉴스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2월말까지 빈논에 밀·보리 대규모 경작…식량자급률 1.4%P 높여" "쌀협상 WTO 3월부터 첫라운드 시...

  • 누룩
  • 2015-01-26
  • 조회 수 2278

스키장서 아이스크림 팔아 '대박'…전통주 팔 곳 없을 땐 역발상으로 뚫어라!

정해나 혜윰 대표 "전통주 판매·마케팅 고민" 여성시대 톡톡방 (4) 계난경 동학식품 사장이 전수하는 성공비법 “스키장에서 아이스크림을 팔자는 얘기를 처음 꺼냈을 때 주변에서 미쳤다고 했어요. 그런데 실제로 해보니까 너무 잘 팔립니다. 좋은 제품을...

  • 누룩
  • 2015-01-28
  • 조회 수 2217

태안농협, 전통음식교육으로 농산물 소비촉진 file

도시민 대상 요리 교실 운영 친환경 벼재배 체험도 호응 var f102 = flash_execute("/images/www/banner/lets_banner_210x230.swf","f102","210","230","transparent","#ffffff");documentwrite(f102); --> “이양주 밑술과 덧술은 이렇게 만듭니다...

  • 누룩
  • 2015-01-30
  • 조회 수 1287

[김현주의 일상 톡톡] 막걸리시장 헤쳐갈 '설국열차'는 어디에

<편집자주> 막걸리시장이 주춤하며 ‘숨 고르기’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말이 숨 고르기지 ‘추락하고 있다’는 표현이 맞을 듯 합니다. 시장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것이 주 원인으로 꼽히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과거 막걸리 열풍을 되살리려면 품...

  • 누룩
  • 2015-02-03
  • 조회 수 3418

[설 선물 / 주류] 전통주, 차례용·선물용으로 ‘딱’

71년 전통 차례주 - 백화수복 저온발효 수제 청주 - 설화 차례음식과 찰떡궁합 - 예담 국순당 ‘예담’(왼쪽), 롯데주류 ‘백화수복’ 설 같은 명절에는 차례상에 오르는 전통주가 선물세트용으로 가장 각광 받는다. 전통주는 차례 후 음복(...

  • 누룩
  • 2015-02-05
  • 조회 수 3863

마가리타보다 달콤하고 모히토보다 청량한 전통주 칵테일

[매거진 esc] 요리 설 선물로 인기, 전통주 색다르게 즐기는 법…토닉워터, 레몬만 넣어도 가볍게 변신 성공 설 명절이 2주 앞으로 다가왔다. 전통주는 유독 명절에 인기 많은 선물 품목이다. 애주가가 아니라면 주방에 쌓여가는 전통주가 난감하기만 하다....

  • 누룩
  • 2015-02-09
  • 조회 수 1937

인사동에 전통주갤러리 들어선다.

인사동에 전통주갤러리 들어선다. 관광객 대상 교육…매월 다른 주제 선정, 전통주·공예문화 홍보 서울 인사동에 전통주갤러리가 들어선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문화관광체육부와 함께 전통의 거리로 유명한 서울 인사동에 전통주 갤러리를 마련, 운영에 들어...

  • 누룩
  • 2015-02-11
  • 조회 수 1243

"하우스막걸리 활성화해 농업을 6차 산업으로"

우리술교육기관협의회, '하우스막걸리 활성화를 위한 토론회' 열어 하우스막걸리 활성화를 위한 토론회가 12일 오후 서울 양재구 aT센터에서 열렸다./사진제공=우리술교육기관협의회막걸리는 '백인백색(百人百色)'의 술이다. 재료, 담그는 시기, 거르는 방...

  • 누룩
  • 2015-02-13
  • 조회 수 1725

우리술교육기관協, '하우스 막걸리' 활성화 토론회

▲우리술교육기관협의회(협의회장 박록담)는 하우스 막걸리 활성화를 위한 토론회를 12일 오후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열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하우스 막걸리 전문가를 초청해 제도 도입을 위한 정책 방향과 활성화 방안, 경제적 효과 등에 대해...

  • 누룩
  • 2015-02-16
  • 조회 수 1401

[이색직업] 음식·입맛에 맞는 최고의 막걸리 찾아주는 '막걸리 소믈리에'

" src="http://www.viva100.com/mnt/images/file/2015y/02m/23d/2015022201000645600026101.jpg" border="0">지난해 서울 종로구 인사동 남인사마당에서 막걸리 날의 맞아 열린 ‘막걸리, 세계로 2014 막걸리 페스티벌’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들이 막걸리 소믈리...

  • 누룩
  • 2015-02-23
  • 조회 수 1134

감성으로 빚어낸 경북의 전통주 한눈에

경북도가 '한권에 담은 경상북도 우리술'(사진) 책자를 제작했다. 이 책자는 신라 천년왕국의 전통과 경북 청정지역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특산물을 소재로 특유한 맛뿐만 아니라 경북만의 고유한 전통주를 널리 알리기 위해 제작됐다. 선조들이 즐겼던 전통 ...

  • 누룩
  • 2015-02-25
  • 조회 수 98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