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기자(枸杞子)

조회 수 2162 추천 수 0 2006.01.12 21:15:55

성질은 차고[寒](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은 쓰며[苦](달다[甘]고도 한다) 독이 없다. 내상으로 몹시 피로하고 숨쉬기도 힘든 것을 보하며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고 양기를 세게 하며 5로 7상을 낫게 한다. 정기를 보하며 얼굴빛을 젊어지게 하고 흰머리를 검게 하며 눈을 밝게 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오래 살 수 있게 한다.

○ 일명 지선(地仙) 또는 선인장(仙人杖)이라고도 한다. 곳곳에 있는데 봄과 여름에는 잎을 따고 가을에는 줄기와 열매를 딴다. 오래 먹으면 다 몸을 가볍게 하고 기운을 나게 한다.

○ 어린 잎(嫩葉)으로 국이나 나물을 만들어 먹으면 아주 좋다. 빛이 희고 가시가 없는 것이 좋다.

○ 줄기는 구기(枸杞), 뿌리는 지골(地骨)이라 하는데 구기라 하면 줄기의 껍질을 써야 하고 지골이라 하면 뿌리의 껍질을 써야 한다. 그리고 구기자라 하면 그의 벌건 열매를 써야 한다. 이것은 한 식물에서 쓰는 부분이 3가지라는 뜻이다. 그 줄기껍질은 성질이 차고[寒] 뿌리 껍질은 몹시 차며[大寒] 구기자는 약간 차므로[微寒] 성질도 역시 3가지이다.

○ 섬서(陝西) 지방의 구기자는 앵두(櫻桃) 같으면서 씨가 아주 적어 맛이 매우 좋다[본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가입인사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06-11-07 11177
65 백단향(白檀香) 2006-03-13 2006
64 목향(木香) 2006-03-13 2328
63 호초(胡椒, 후추) 2006-03-13 2084
62 자주에 들어가는 약재모음 2006-03-20 2665
61 도소주에 들어가는 약재모음 2006-03-20 2510
60 난초(蘭草) 2006-03-27 2212
59 지황술(地黃酒) 2006-03-31 3111
58 지황주에 들어가는 "지황" [2] 2006-03-31 2376
57 소자주(蘇子酒)에 대하여 2006-04-01 2150
56 해송자(海松子, 잣) - 송자주(松子酒) 2006-04-01 2524
55 애엽(艾葉, 약쑥잎) 2006-04-10 2446
54 송화(松花, 솔꽃) [1] 2006-04-10 2509
53 갈화(葛花, 칡꽃) 2006-04-10 2536
52 백세주에 들어가는 약재들 2006-04-12 3055
51 창포(菖蒲, 석창포)- 석창포주 2006-04-22 3089
50 신선고분주에 들어가는 약재들 [1] 2006-04-23 5128
49 죽력(竹瀝, 참대기름) 2006-04-24 2424
48 음양곽(淫羊藿, 팔파리) 2006-05-02 2312
47 하수오(何首烏) 2006-05-13 2431
46 복령(茯 , 솔풍령) 2006-05-13 238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