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기자(枸杞子)

조회 수 2192 추천 수 0 2006.01.12 21:15:55

성질은 차고[寒](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은 쓰며[苦](달다[甘]고도 한다) 독이 없다. 내상으로 몹시 피로하고 숨쉬기도 힘든 것을 보하며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고 양기를 세게 하며 5로 7상을 낫게 한다. 정기를 보하며 얼굴빛을 젊어지게 하고 흰머리를 검게 하며 눈을 밝게 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오래 살 수 있게 한다.

○ 일명 지선(地仙) 또는 선인장(仙人杖)이라고도 한다. 곳곳에 있는데 봄과 여름에는 잎을 따고 가을에는 줄기와 열매를 딴다. 오래 먹으면 다 몸을 가볍게 하고 기운을 나게 한다.

○ 어린 잎(嫩葉)으로 국이나 나물을 만들어 먹으면 아주 좋다. 빛이 희고 가시가 없는 것이 좋다.

○ 줄기는 구기(枸杞), 뿌리는 지골(地骨)이라 하는데 구기라 하면 줄기의 껍질을 써야 하고 지골이라 하면 뿌리의 껍질을 써야 한다. 그리고 구기자라 하면 그의 벌건 열매를 써야 한다. 이것은 한 식물에서 쓰는 부분이 3가지라는 뜻이다. 그 줄기껍질은 성질이 차고[寒] 뿌리 껍질은 몹시 차며[大寒] 구기자는 약간 차므로[微寒] 성질도 역시 3가지이다.

○ 섬서(陝西) 지방의 구기자는 앵두(櫻桃) 같으면서 씨가 아주 적어 맛이 매우 좋다[본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가입인사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06-11-07 11502
145 양척촉(羊 , 철쭉꽃) [1] 2005-10-31 2156
144 소자주(蘇子酒)에 대하여 2006-04-01 2169
143 괴실(槐實, 홰나무열매) 2005-08-29 2172
142 약을 말리는 방법[乾藥法] [1] 2005-11-19 2173
141 불이초(佛耳草, 떡쑥) 2005-09-27 2177
140 동규엽(冬葵葉, 돌아욱잎) [1] 2006-02-11 2179
139 적소두화(赤小豆花, 팥꽃) [1] 2005-10-31 2181
138 국(麴, 누룩) 2005-09-27 2186
137 모과지엽(木瓜枝葉, 모과나무의 가지와 잎) 2006-01-25 2187
136 석류화(石榴花, 석류꽃) 2005-10-31 2192
» 구기자(枸杞子) 2006-01-12 2192
134 벽해수(碧海水, 짠 바닷물) [1] 2007-02-11 2194
133 목근화(木槿花, 무궁화꽃) 2005-10-31 2215
132 교맥엽(蕎麥葉, 메밀잎) [1] 2006-01-25 2218
131 앵자속(罌子粟, 아편꽃씨) 2005-10-31 2223
130 앵도엽(櫻桃葉, 앵두나무잎) 2006-01-25 2223
129 호과근(胡瓜根, 오이뿌리) [1] 2005-09-16 2224
128 현경엽( 莖葉, 비름의 줄기와 잎) [1] 2006-02-11 2224
127 도실(桃實, 복숭아열매) 2007-02-11 2226
126 하엽(荷葉, 연잎) [1] 2006-01-25 223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