귤피(橘皮, 귤껍질)

조회 수 2405 추천 수 1 2005.12.31 08:56:34
성질이 따뜻하며[溫] 맛은 쓰고 매우며[苦辛] 독이 없다. 가슴에 기가 뭉친 것을 치료한다. 음식맛이 나게 하고 소화를 잘 시킨다. 이질을 멈추며 담연(痰涎)을 삭히고 기운이 위로 치미는 것과 기침하는 것을 낫게 하고 구역을 멎게 하며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한다.

○ 나무의 높이는 3-6미터이며 잎은 탱자나무잎과 같고 가시가 줄기 사이에 돋아 있으며 초여름에 흰 꽃이 핀다. 6-7월에 열매가 열리고 겨울에 노랗게 익으므로 먹을 수 있다. 열매는 음력 10월에 따는데 껍질은 묵은 것이 좋다. 이 열매는 남방에서 난다[본초].

○ 우리나라에서는 오직 제주도에서만 난다. 제주도에서는 청귤, 유자, 감자 등이 다 난다[속방].

○ 비위(脾胃)를 보하려면 흰 속을 긁어 버리지 말아야 한다. 만일 가슴에 막힌 기를 치료하려면 흰 속을 긁어 버리고 써야 한다. 그 빛이 벌겋기 때문에 홍피(紅皮)라고 한다. 오래된 것이 좋은데 이것을 진피(陳皮)라고 한다.

○ 흰 속이 그대로 있는 것은 위(胃)를 보하고 속을 편안하게 한다. 흰 속을 버린 것은 담을 삭히고 체기를 푼다.

○ 흰삽주(백출)와 함께 쓰면 비위를 보하고 흰삽주와 함께 쓰지 않으면 비위를 사(瀉)한다. 감초와 함께 쓰면 폐를 보하고 감초와 함께 쓰지 않으면 폐를 사한다[단심].

○ 약 기운이 하초(下焦)에 들어가게 하려면 소금물에 담갔다가 쓰고 폐가 건조하면 동변[童尿]에 담갔다가 볕에 말려 쓴다[입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가입인사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06-11-07 11363

과자화(花, 참외꽃), 총화( 花, 파꽃)

  • 2005-10-31
  • 조회 수 2364

춘우수(春雨水, 정월에 처음으로 내린 빗물)

  • 2006-02-21
  • 조회 수 2360

단서미(丹黍米, 붉은 기장쌀)

  • 2005-09-27
  • 조회 수 2360

청귤엽(靑橘葉, 귤잎)

  • 2006-01-25
  • 조회 수 2359

구맥(瞿麥, 패랭이꽃,씨,잎)

  • 2005-10-31
  • 조회 수 2358

매엽(梅葉, 매화나무잎)

  • 2006-01-25
  • 조회 수 2357

모옥누수(茅屋漏水, 새미엉에서 흘러 내린 물)

  • 2007-02-11
  • 조회 수 2352

통초(通草) [2]

  • 2006-05-15
  • 조회 수 2343

만형실(蔓荊實, 순비기나무열매)

  • 2005-08-29
  • 조회 수 2343

행실(杏實, 살구열매)

  • 2007-03-17
  • 조회 수 2342

패자미(稗子米, 돌피쌀)

  • 2005-09-27
  • 조회 수 2341

부자(附子) [1]

  • 2005-11-16
  • 조회 수 2330

음양곽(淫羊藿, 팔파리)

  • 2006-05-02
  • 조회 수 2328

영실(營實, 찔레나무열매)

  • 2005-08-29
  • 조회 수 2325

대조(大棗, 대추)

  • 2006-07-03
  • 조회 수 2319

저엽(楮葉, 닥나무잎)

  • 2006-01-21
  • 조회 수 2317

초호(草蒿, 제비쑥)

  • 2006-07-03
  • 조회 수 2314

지실(枳實, 탱자열매)

  • 2005-08-29
  • 조회 수 2313

연실(練實, 고련실, 멀구슬나무열매)

  • 2005-08-29
  • 조회 수 2309

마분(麻 , 삼꽃가루)

  • 2005-10-31
  • 조회 수 230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