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자(五味子)

조회 수 1939 추천 수 0 2005.12.31 08:49:16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이 시며[酸](약간 쓰다[苦]고도 한다) 독이 없다. 허로(虛勞)로 몹시 여윈 것을 보하며 눈을 밝게 하고 신[水藏]을 덥히며 양기를 세게 한다. 남자의 정을 돕고 음경을 커지게 한다. 소갈증을 멈추고 번열을 없애며 술독을 풀고 기침이 나면서 숨이 찬 것을 치료한다.

○ 깊은 산 속에서 자란다. 줄기는 붉은 빛이고 덩굴로 자라는데 잎은 살구나무잎(杏葉)과 비슷하다. 꽃은 노랗고 흰빛이며 열매는 완두콩만한데 줄기 끝에 무더기로 열린다. 선 것[生]은 푸르고 익으면[熟] 분홍자줏빛이며 맛이 단것이 좋다. 음력 8월에 열매를 따서 볕에 말린다.

○ 껍질과 살은 달고 시며 씨는 맵고 쓰면서 모두 짠 맛이 있다. 그래서 5가지 맛이 다 나기 때문에 오미자라고 한다. 약으로는 생것을 볕에 말려 쓰고 씨를 버리지 않는다[본초].

○ 손진인(孫眞人)이 “여름철에 오미자를 늘 먹어 5장의 기운을 보해야 한다”고 한 것은 위로는[上] 폐를 보하고 아래로는 신을 보하기 때문이다. 수태음, 족소음경에 들어간다[탕액].

○ 우리나라에서는 함경도와 평안도에서 나는 것이 제일 좋다[속방].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가입인사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06-11-07 11398
85 감국화(甘菊花, 단국화) [1] 2006-02-04 2299
84 총근( 根, 파뿌리) 2005-09-16 2294
83 출미( 米, 찰기장쌀) [1] 2005-09-27 2291
82 연화(蓮花, 연꽃) [1] 2005-10-31 2285
81 조협자( 莢子, 주염열매씨) 2005-08-29 2272
80 복분자(覆盆子, 나무딸기) 2005-12-31 2270
79 우엽(芋葉, 토란잎) 2006-02-11 2269
78 부평(浮萍, 개구리밥) 2006-08-05 2262
77 뿌리와 잔뿌리를 쓰는 방법[用根梢法] 2005-09-16 2262
76 난초(蘭草) 2006-03-27 2261
75 초오(草烏, 바꽃) 2005-10-31 2254
74 한천수(寒泉水, 찬샘물) 2006-02-17 2251
73 괴화(槐花, 홰나무꽃) 2005-10-31 2251
72 적소두엽(赤小豆葉, 팥잎) [1] 2006-01-21 2249
71 홍촉규화(花, 홍촉규꽃) [1] 2005-10-31 2244
70 방제수(方諸水, 조개껍질을 밝은 달빛에 비추어 가지고 그것으로 받은 물) 2006-02-27 2243
69 여실( 實, 타래붓꽃씨) [1] 2005-10-31 2243
68 오가피(五加皮, 오갈피) 2005-12-31 2242
67 홍남화(紅藍花, 잇꽃,싹,씨) [1] 2005-10-31 2242
66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2005-09-27 224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