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한국일보 [겨를] “맛있는 술 두고도 못 즐기는 한국인 아쉬워”

조회 수 1102 추천 수 0 2018.06.07 17:37:19

전통 술 만들어 먹는 존 프랭클 연세대 교수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로 이렇게 훌륭한 맛 내는 술 드물어”

SC959PAG.jpg : 한국일보 [겨를] “맛있는 술 두고도 못 즐기는 한국인 아쉬워”
존 프랭클 연세대 언더우드 국제대학 교수가 자신의 연구실에서 직접 만든 전통 소주를 소개하며 술 제조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서재훈 기자 spring@hankookilbo.com /
"시중에서 파는 술이 너무 맛이 없더라고요."

존 프랭클 연세대학교 언더우드 국제대학원 교수는 집에서 증류식 소주를 직접 만들어 마시는 ‘특이한’ 외국인이다. 한국 생활 10년이 넘은 ‘반은 한국인’이지만 외국인이 보통 호평하곤 하는 시중 소주에 대한 평가는 냉혹했다.

프랭클 교수는 더 맛있는 술을 마시고 싶다는 생각에 2010년부터 집에서 술을 담가 마시기 시작했다. 제대로 술을 만들어 보자고 마음 먹고 2013년부터 한국가양주연구소 등에서 초급부터 고급 과정까지 모두 마스터 했다.

“술을 만들어 먹기 시작하면 시중 술은 마시기 힘듭니다. 이렇게 좋은 전통주의 전통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한국인들이 천편일률적인 맛의 소주만 마시는 것은 너무 안타까운 일이에요." 

프랭클 교수에 따르면 소주의 맛은 재료에서 90% 이상 결정된다. 잘 띄운 누룩에 질 좋은 쌀만 있으면 술맛은 이미 보장된다는 설명이다.

"쌀과 누룩을 넣고 너무 덥지 않은 봄 가을 겨울에 상온에서 잘 발효만 시키면 세상 어디에도 없는 나만의 술이 만들어 집니다. 여기에 쑥이나 송홧가루 등 제철 재료를 가미하면 금상첨화죠."

잘 발효된 술은 가라앉은 부분은 탁주로, 위로 떠오른 맑은 술은 청주로 즐길 수 있다. 이 청주를 증류기에 넣고 가열하면 전통 소주를 맛볼 수 있다. 온도에 따라 증류 소주의 알코올 도수를 조절할 수 있어 40도 넘는 고도수 소주도 만들 수 있다.

프랭클 교수는 “잘 빚어진 청주를 증류하면 얻을 수 있는 소주는 25%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한국식 증류 소주는 비용과 시간 등을 많이 투자해야 맛볼 수 있는 고급 술”이라고 설명했다.

그가 직접 만든 40도짜리 소주를 시음해 봤다. 높은 도수라 첫 맛은 중국 술 고량주처럼 썼지만 뒷맛은 찹쌀 특유의 단맛이 느껴져 담백했다. 높은 도수의 술을 마실 때 식도를 타고 역류하는 거북한 뒷맛도 전혀 느낄 수 없었다.

프랭크 교수는 "고급 위스키는 식도를 타고 역류하는 느낌을 누르며 술을 마셔야 하지만,한국 전통 소주는 독해도 자연스럽게 위로 흘러 내려가는 느낌을 받는다”며 “좋은 재료로 증류해 만든 한국 소주는 많이 마셔도 다음날 심한 숙취도 없다"고 강조했다.

전통 소주를 만드는 외국인이라는 타이틀 때문에 간혹 오해 섞인 시선을 받기도 했지만 이제는 주변 사람들이 만든 술을 나눠 달라거나, 술 만드는 법을 가르쳐 달라고 요청하기도 한다. 그가 정기적으로 술을 나눠주는 친구를 포함해 그의 전도(?)로 주(酒)님 만들기 삼매경에 빠진 외국인 친구도 여럿 된다. 위스키의 고장인 스코틀랜드 출신 친구도 그의 소개로 한국 소주에 푹 빠져 지내고 있다.

프랭클 교수는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로 이렇게 맛있는 술을 얻을 수 있는 건 한국 술의 최대 장점”이라며 “특히 오랜 시간을 쓰지 않고 주변의 좋은 사람과 술을 나눠 먹는 것도 술을 만들어 느낄 수 있는 행복 중 하나”라고 말했다.

그는 국제대학원에서 학생들에게 한국 현대문학을 가르치고 있다. 외국인의 독특한 시각으로 해석된 현대문학 수업에서 반대 의견을 제시하는 학생도 종종 있다고 한다. 프랭클 교수는 같은 문학을 놓고 서로 다른 시각을 가진 사람끼리 토론하는 수업도 자주 진행한다. 이런 토론이 문학을 즐기는 더 다양한 방식을 자연스럽게 학생들에게 전달해준다고 믿기 때문이다.

프랭클 교수는 “술도 어떤 시각으로 보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존재가 될 수 있다”며 “한국 술을 다른 시각으로 봤기 때문에 나만의 술을 만들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프랭클 교수는 은퇴 후 전통 술을 만들어 파는 사업을 해볼까 하는 생각도 가지고 있다. 수제 주류 업계에서 사업을 같이 하자는 제안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는 게 그의 전언이다. 하지만 술을 일이 아닌 취미로 즐기고 싶은 게 프랭클 교수의 바람이다.

그는 “술 만드는 게 직업이 되면 지금의 기쁨을 느낄 수 없을 거 같아 걱정이지만, 내가 만든 소주가 주점 진열대에 올라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가끔 한다”며 웃었다.

민재용 기자 insight@hankookilbo.com

원문보기: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469&aid=0000304853&sid1=001&lfrom=kakao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news1]정준하도 꽂힌 ‘한국 전통주’ 무료로 맛볼 수 있는 곳은?

© 뉴스1 전통주갤러리(관장 김원일)는 매달 5종의 전통주를 선정하여 시민들이 무료로 전통주 체험을 할 수 있는 상설 시음회를 진행한다고 8일 전했다. 2020년 7월까지 전통주갤러리는 서울과 서해안 바닷길을 따라 충청도, 전라도, 제주도를 거쳐 경...

  • 누룩
  • 2019-10-11
  • 조회 수 1668

[사설]전통주 제조업체 시설기준 완화해야

농림축산식품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전통주 제조업체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해 식품위생법 개정에 따른 ‘시설기준 강화’로 난관에 부딪힌 전통주 업체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새로운 시설기준을 적용하기에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은 합리적인 개선책을 찾...

  • 누룩
  • 2013-07-16
  • 조회 수 1677

[조선비즈][박순욱의 술기행] ⑦정준하의 새로운 무한도전, ‘전통주 소믈리에’

작년 3월 무도 종영 후 본격 준비해 11월 대회서 합격 "디자인, 맛과 향에서 외국술 능가하는 우리술 정말 많다 젊은이들 우리술에 친숙하도록 ‘전통술 펍’ 열 것" 방송인 정준하씨는 작년 3월 종영한 예능프로그램 ‘무한도전' 이후 휴지기를 가진 뒤 이달 초 ...

  • 누룩
  • 2019-08-26
  • 조회 수 1678

제주 전통주(傳統酒)의 활성화를 바라며

현명헌 제주주류도매업협회장 원래 주류(술)는 인터넷으로 판매할 수 없도록 원칙을 정하고 있다. 때문에 소주, 맥주, 위스키, 와인 등은 인터넷을 통해 판매할 수 없고 이를 어길 경우 처벌을 받게 되어 있다. 그런데 얼마 전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와인의 인...

  • 약손
  • 2012-09-27
  • 조회 수 1679

도수 낮추고 멋 더하니 막걸리 ‘힙’해졌네~주류·식음료업계, 이색 콜라보로 다양한 막걸리 제품 출시

아재술로 불리던 막걸리가 회춘하고 있다. 분위기를 즐기려는 젊은 연령층의 취향에 맞춰 도수를 대폭 낮추는가 하면, 재치있는 네이밍 마케팅과 굿즈를 더해 MZ 세대들에게 ‘힙’한 이미지를 심어주고 있는 것. 여기에 지난해부터 불어닥친 트로트 열풍과 외...

  • 누룩
  • 2021-04-29
  • 조회 수 1680

[세정일보]타사 전통주 통신판매 길 열렸다…국세청, ‘전통주 판로확대’

전통주의 판로확대를 위해 전통주 제조자가 국세청장의 승인을 받아 자기의 직매장에서 구입한 타사 전통주의 술도 통신판매가 가능해진다. 7일 국세청은 이같은 내용의 주류관련 국세청고시 개정안 및 주세사무처리규정 일부개정안을 행정예고하고 오는 26일...

  • 누룩
  • 2019-03-11
  • 조회 수 1682

국내 와인시장, 신·구대륙 다양한 포도주 선보여

신년을 맞아 칠레, 프랑스,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다양한 와인들이 잇따라 국내 포도주 시장에 등장하고 있다. 주요 와인생산국 칠레, 프랑스,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와이너리 세 곳의 와인 3종인 프랑스 바롱 필립 드 로칠드(Baron Philippe de Rothschild)가의...

  • 누룩
  • 2014-01-14
  • 조회 수 1684

지역 별미로 사랑받는 ‘배추전’ 막걸리와 찰떡궁합!

지역 별미로 사랑받는 ‘배추전’경북 산간 내륙지역 전통음식담백한 맛…막걸리와 찰떡궁합   배추로도 전을 부친다? ‘배추전’이라고 하면 생소한 이들이 많겠지만, 경북 산골에서 자란 중장년층이라면 입맛부터 다실 것이다. 배추전은 안동·봉화·상주·예천 등 ...

  • 누룩
  • 2014-11-17
  • 조회 수 1696

주간동아 권재현의 심중일언 "막걸리는 와인과 맥주를 능가하는 최고 발효주”

‘막걸리를 탐하다’ 펴낸 이종호 한국과학저술인협회 회장 한국 국민주 하면 어떤 술이 떠오르는가. 당신이 술꾼이라면 소주라고 답할 것이다. 1년간 세계 각국의 52가지 술에 도전한 뒤 ‘애주가의 대모험’을 펴낸 음주모험가 제프 시올레티가 한국을 대표하는 ...

  • 누룩
  • 2018-05-09
  • 조회 수 1701

고양시, 10월4~5일 '대한민국 막걸리 축제' 개최

['제12회 대한민국 막걸리 축제'] 경기 고양시는 10월4~5일 일산문화공원에서 '제12회 대한민국 막걸리 축제'를 연다고 24일 밝혔다. 올해 막걸리 축제는 우리 전통주의 발전을 기원하는 제를 올리는 것을 시작으로 홍보부스와 체험부스 등에서 다양한 먹거...

  • 누룩
  • 2014-09-24
  • 조회 수 1707

제주전통주 '고소리술' 4년 연속 명품주 쾌거

제주전통주 '고소리술' 4년 연속 명품주 제주전통주 고소리술. <헤드라인제주>제주전통주인 '고소리술'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명품주에 4년 연속으로 선정됐다. 28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는 '2014년 대한민국 우리술 품평회'를 개최하...

  • 누룩
  • 2014-10-28
  • 조회 수 1711

"하우스막걸리 활성화해 농업을 6차 산업으로"

우리술교육기관협의회, '하우스막걸리 활성화를 위한 토론회' 열어 하우스막걸리 활성화를 위한 토론회가 12일 오후 서울 양재구 aT센터에서 열렸다./사진제공=우리술교육기관협의회막걸리는 '백인백색(百人百色)'의 술이다. 재료, 담그는 시기, 거르는 방...

  • 누룩
  • 2015-02-13
  • 조회 수 1713

주류업계의 새로운 트랜드, 전통주와 한식 페어링

주류업계의 새로운 트랜드, 전통주와 한식 페어링 조선닷컴 주류문화 칼럼니스트 명욱 mw0422@chosun.com 세상에서 가장 음식과 매칭하기 복잡한 주종(酒種)이 있다. 아이러니하게 들릴지 몰라도 한국의 전통주이다. 전통주가 음식과 ...

  • 누룩
  • 2015-05-28
  • 조회 수 1713

쨍!한 아름다움, 술잔의 과학

[매거진 esc] 주종과 술잔의 궁합 검증 실험… 잔의 크기와 상관없이 한잔의 알코올 도수는 비슷해“산미가 더 강하게 느껴집니다.” 타이 음식 전문 술집 ‘반피차이’의 허혁구 셰프가 막걸리를 소주잔에 마시고는 한마디 한다. 소믈리에이기도 한 허씨는...

  • 누룩
  • 2015-03-06
  • 조회 수 1722

[중앙일보] 봄엔 이 술을 마셔야…입맛 돋우는 제철음식과 전통주

지난 13일 논현동의 이탈리안 레스토랑 ‘솔트2호점’에서 재밌는 모임이 열렸다. 봄 제철 식재료로 만든 음식과 전통주를 함께 시식하는 자리였다. 솔트의 주인이자 요리연구가인 홍신애씨와 ‘대동여주도(酒)’ 콘텐트 제작이자 음주문화연구가인 이지민씨가 각...

  • 누룩
  • 2019-04-16
  • 조회 수 172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