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한국일보 [겨를] “맛있는 술 두고도 못 즐기는 한국인 아쉬워”

조회 수 1109 추천 수 0 2018.06.07 17:37:19

전통 술 만들어 먹는 존 프랭클 연세대 교수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로 이렇게 훌륭한 맛 내는 술 드물어”

SC959PAG.jpg : 한국일보 [겨를] “맛있는 술 두고도 못 즐기는 한국인 아쉬워”
존 프랭클 연세대 언더우드 국제대학 교수가 자신의 연구실에서 직접 만든 전통 소주를 소개하며 술 제조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서재훈 기자 spring@hankookilbo.com /
"시중에서 파는 술이 너무 맛이 없더라고요."

존 프랭클 연세대학교 언더우드 국제대학원 교수는 집에서 증류식 소주를 직접 만들어 마시는 ‘특이한’ 외국인이다. 한국 생활 10년이 넘은 ‘반은 한국인’이지만 외국인이 보통 호평하곤 하는 시중 소주에 대한 평가는 냉혹했다.

프랭클 교수는 더 맛있는 술을 마시고 싶다는 생각에 2010년부터 집에서 술을 담가 마시기 시작했다. 제대로 술을 만들어 보자고 마음 먹고 2013년부터 한국가양주연구소 등에서 초급부터 고급 과정까지 모두 마스터 했다.

“술을 만들어 먹기 시작하면 시중 술은 마시기 힘듭니다. 이렇게 좋은 전통주의 전통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한국인들이 천편일률적인 맛의 소주만 마시는 것은 너무 안타까운 일이에요." 

프랭클 교수에 따르면 소주의 맛은 재료에서 90% 이상 결정된다. 잘 띄운 누룩에 질 좋은 쌀만 있으면 술맛은 이미 보장된다는 설명이다.

"쌀과 누룩을 넣고 너무 덥지 않은 봄 가을 겨울에 상온에서 잘 발효만 시키면 세상 어디에도 없는 나만의 술이 만들어 집니다. 여기에 쑥이나 송홧가루 등 제철 재료를 가미하면 금상첨화죠."

잘 발효된 술은 가라앉은 부분은 탁주로, 위로 떠오른 맑은 술은 청주로 즐길 수 있다. 이 청주를 증류기에 넣고 가열하면 전통 소주를 맛볼 수 있다. 온도에 따라 증류 소주의 알코올 도수를 조절할 수 있어 40도 넘는 고도수 소주도 만들 수 있다.

프랭클 교수는 “잘 빚어진 청주를 증류하면 얻을 수 있는 소주는 25%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한국식 증류 소주는 비용과 시간 등을 많이 투자해야 맛볼 수 있는 고급 술”이라고 설명했다.

그가 직접 만든 40도짜리 소주를 시음해 봤다. 높은 도수라 첫 맛은 중국 술 고량주처럼 썼지만 뒷맛은 찹쌀 특유의 단맛이 느껴져 담백했다. 높은 도수의 술을 마실 때 식도를 타고 역류하는 거북한 뒷맛도 전혀 느낄 수 없었다.

프랭크 교수는 "고급 위스키는 식도를 타고 역류하는 느낌을 누르며 술을 마셔야 하지만,한국 전통 소주는 독해도 자연스럽게 위로 흘러 내려가는 느낌을 받는다”며 “좋은 재료로 증류해 만든 한국 소주는 많이 마셔도 다음날 심한 숙취도 없다"고 강조했다.

전통 소주를 만드는 외국인이라는 타이틀 때문에 간혹 오해 섞인 시선을 받기도 했지만 이제는 주변 사람들이 만든 술을 나눠 달라거나, 술 만드는 법을 가르쳐 달라고 요청하기도 한다. 그가 정기적으로 술을 나눠주는 친구를 포함해 그의 전도(?)로 주(酒)님 만들기 삼매경에 빠진 외국인 친구도 여럿 된다. 위스키의 고장인 스코틀랜드 출신 친구도 그의 소개로 한국 소주에 푹 빠져 지내고 있다.

프랭클 교수는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로 이렇게 맛있는 술을 얻을 수 있는 건 한국 술의 최대 장점”이라며 “특히 오랜 시간을 쓰지 않고 주변의 좋은 사람과 술을 나눠 먹는 것도 술을 만들어 느낄 수 있는 행복 중 하나”라고 말했다.

그는 국제대학원에서 학생들에게 한국 현대문학을 가르치고 있다. 외국인의 독특한 시각으로 해석된 현대문학 수업에서 반대 의견을 제시하는 학생도 종종 있다고 한다. 프랭클 교수는 같은 문학을 놓고 서로 다른 시각을 가진 사람끼리 토론하는 수업도 자주 진행한다. 이런 토론이 문학을 즐기는 더 다양한 방식을 자연스럽게 학생들에게 전달해준다고 믿기 때문이다.

프랭클 교수는 “술도 어떤 시각으로 보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존재가 될 수 있다”며 “한국 술을 다른 시각으로 봤기 때문에 나만의 술을 만들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프랭클 교수는 은퇴 후 전통 술을 만들어 파는 사업을 해볼까 하는 생각도 가지고 있다. 수제 주류 업계에서 사업을 같이 하자는 제안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는 게 그의 전언이다. 하지만 술을 일이 아닌 취미로 즐기고 싶은 게 프랭클 교수의 바람이다.

그는 “술 만드는 게 직업이 되면 지금의 기쁨을 느낄 수 없을 거 같아 걱정이지만, 내가 만든 소주가 주점 진열대에 올라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가끔 한다”며 웃었다.

민재용 기자 insight@hankookilbo.com

원문보기: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469&aid=0000304853&sid1=001&lfrom=kakao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이데일리] 집콕-혼술족 늘자...전통주 온라인 판매 대박났네 file

11번가·G마켓 등 온라인 쇼핑몰서 전통주 매출 증가 혼술족 전통주 관심 높아… 인터넷 주문 가능해 편리 전통주 업체, 프리미엄 및 다양화로 승부수 등록 2020-11-26 오전 5:00:00 수정 2020-11-26 오전 5:00:00 [이데일리 김무연 기자] 온라인 쇼핑 플랫폼...

  • 누룩
  • 2020-11-26
  • 조회 수 1617

새롭게 나오는 하우스 막걸리, 어떤 술이 나올까

새롭게 나오는 하우스 막걸리, 어떤 술이 나올까 조선닷컴 주류문화 칼럼니스트 명욱 mw0422@chosun.com 입력 : 2016.01.07 09:00 작년 말, 주류업계에서는 특별한 시행령이 발포되었다. 소규모 주류제조 면허대상에...

  • 누룩
  • 2016-01-08
  • 조회 수 1614

[웰빙제품] 국내산 생블루베리 100%로 만든 와인 식초

블루베리는 ‘보랏빛 기적’이라고 불린다. 세계 10대 슈퍼푸드로 선정될 만큼 건강효과가 뛰어나서다. 블루베리에 함유된 안토시아닌 성분은 대표적인 항산화·항암 물질이다. 노화를 방지하고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며, 치매·성인병 예방과 시력보호에 효...

  • 누룩
  • 2013-12-24
  • 조회 수 1614

지금, 초여름에 즐기는 막걸리와 전통주 문화

5월은 무더운 여름이 본격적으로 채비를 갖추는 시기이다. 남쪽 지방은 30도를 웃도는 한여름 날씨를 기록하며, 따뜻한 음료 대신 차갑고 시원한 음료를 찾기 시작하는 때이다. 특히 늦은 봄에서 여름까지는 이러한 날씨 때문에 주류관련 매출이 활발한 때인데...

  • 누룩
  • 2014-05-28
  • 조회 수 1606

막걸리’ 전도사 된 존 프랭클 교수 “와인처럼 막걸리도 몇 년산 ‘막걸리’로 만들어요”

막걸리’ 전도사 된 존 프랭클 교수 “와인처럼 막걸리도 몇 년산 ‘막걸리’로 만들어요” 입력 : 2016-04-11 14:10 | 수정 : 2016-04-11 14:10 “한국 전통주의 가장 큰 매력요? 당연히 맛이죠. 맛이 없으면 제가 여기 있지도 않겠죠.” ...

  • 누룩
  • 2016-04-11
  • 조회 수 1605

국민일보 청년층서 장년층까지 맞춤형 ‘귀농 성공 노하우’ 알려준다

국민일보, 23일부터 3일간 개최 ‘박람회’ 어떻게 진행되나 제2의 인생을 꿈꾸는 장년층과 새 시작을 준비하는 청년층 모두에게 기회가 될 농어촌 박람회가 개최된다. 귀농·귀어 생활을 직·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부스가 마련되고 창업지원 교육 등 다양한 ...

  • 누룩
  • 2018-03-22
  • 조회 수 1601

아시아투데이 신세계百, ‘우리술방’ 혼술족 겨냥 한컵 분량 전통주 출시

5일 신세계백화점 본점 지하 1층 전통주 전문매장 ‘우리술방’에서 모델들이 한잔 용량(187ml)으로 개별 포장한 전통주를 소개하고 있다.혼술족이 늘면서 주류 용량이 점점 작아지고 있다. 급기야 한잔 용량의 전통주도 나왔다. 신세계백화점은 전통주 매장인 ‘...

  • 누룩
  • 2018-09-13
  • 조회 수 1600

[대한금융신문] [응답하라 우리술 211] 공동체 정신 지향하는 신생 양조장 ‘과천도가’ file

김승호 편집위원승인 2021.07.30 17:20 남태령 옛길에 담긴 스토리텔링 담아 지역 술로 승부수 걸어 ‘관악산생막걸리’와 ‘과천미주’ 출시, 창업고객도 활발히 모집 서울 사당에서 과천으로 넘어가는 고개의 이름은 남태령이다. 삼남지방으로 넘어가는 ...

  • 누룩
  • 2021-08-11
  • 조회 수 1597

[경인일보] [술을 빚다, 흥에 취하다: 우리동네 술도가를 찾아서·(2)]'과거와 현대 잇는 술도가' 용인 (주)술샘 file

전통주에 빠진 청춘…'세련되고 힙하게' 새 이미지 빚어내다 박승용·전상천 기자발행일 2021-04-20 제11면 젊은 직원들 손으로 생산하는 제품·디자인 '고루하다' 선입견 지워 대통령상 '미르'·다이어트술 '이화酒' 등 '인기' 매년 매출 2...

  • 누룩
  • 2021-04-20
  • 조회 수 1597

술의 역사는 우리의 역사가 된다, 전북 완주에 있는 대한민국 술 테마박물관

술의 역사는 우리의 역사가 된다, 전북 완주에 있는 대한민국 술 테마박물관 조선닷컴 주류문화 칼럼니스트 명욱 입력 : 2016.08.11 08:00 전주를 품은 완주이야기 서울에서 경부, 논산 천안, 그리고 호남고속도로로 달리기를 약 2시간...

  • 누룩
  • 2016-08-11
  • 조회 수 1594

주류 고시 개정, '경품 한도 폐지' 현행 유지…업계 "아쉬움"

주류 고시 개정, '경품 한도 폐지' 현행 유지…업계 "아쉬움"발행일 : 2017.06.21 <사진은 해당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 우체국, 농협 등 공적 성격이 있는 기관 홈페이지에서만 가능했던 전통주 통신판매가 일반 온라인쇼핑몰로 확대되고 대형매장용·가...

  • 누룩
  • 2017-06-22
  • 조회 수 1594

혀끝 휘감는 이 향…내 고향 전통주 아시나요?

혀끝 휘감는 이 향…내 고향 전통주 아시나요? 등록 :2016-09-14 15:17수정 :2016-09-14 18:03 소주, 막걸리가 우리 대표술? 아니 아니~, 외국인도 반한 기품있는 전통주도 있어요 삼해주, 면천두견주, 호산춘, 송화백일주, 오메기술 우리도 잘 모랐던 ...

  • 누룩
  • 2016-09-22
  • 조회 수 1592

[도시와 농촌을 잇는 유쾌한 여행 '해피버스데이'] 함께해서 행복한 백석올미마을

"같이의 가치를 실현하는 백석올미영농조합." 지난 7월 30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6차산업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충남 당진 백석올미영농조합이 대상을 받았을 때 사람들은 한마음 한뜻으로 축하의 박수를 보냈다. 평균연령이 75세인 시골할머니들이 ...

  • 누룩
  • 2014-09-11
  • 조회 수 1585

[CCTV NEWS] 전통주, 언택트 시대에 맞춘 ‘우리술 지원센터’ 오픈 file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서 분야별 전문가의 온라인 컨설팅으로 진행되는 ‘우리술 지원센터’를 지난 2일 오픈했다. 우리술 지원센터는 전통주 양조장 운영 전반의 문의사항을 해결할 수 있으며 올해 말까지 운영될 예정이다. 본 컨설팅...

  • 누룩
  • 2020-07-16
  • 조회 수 1582

[서울신문]약주·막걸리·고급 증류주… 추석 차례상 전통주 바람 분다

우리 술 어떤 것이 있나 추석을 앞두고 전통주 업계가 활기를 띠고 있다. 전통주의 인터넷 판매가 허용되고 2030세대를 겨냥한 전통주 전문점 등이 속속 생겨나면서 주 소비자층이 젊어졌고, 일본산 불매운동의 영향으로 한국 술에 대한 국민적 관심 또한...

  • 누룩
  • 2019-08-26
  • 조회 수 158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