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농촌여성신문 막걸리

조회 수 1189 추천 수 0 2018.04.17 14:01:08


라이프
막걸리재미있는 생활속 발명이야기-글 왕연중·그림 김민재
농촌여성신문  |  webmaster@rwn.co.kr
폰트키우기폰트줄이기프린트하기메일보내기신고하기
승인 2018.04.13  14:09:12
트위터페이스북 네이버구글msn
  

최초 기록은 삼국사기에
막걸리는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발효주로서 국민주로 손꼽힌다. 한때 소주와 맥주에 밀려 빛을 잃기도 했지만 또 다시 그 진가를 발휘하며 일본 등 해외에서도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술을 언제부터 제조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삼국지, 부여 전에 따르면 한해가 시작되는 정월에 사람들이 모여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영고라는 행사 때 술을 마시고 노래 부르며 춤을 췄고, 한전에 따르면 마한에서는 5월 씨앗을 뿌린 후와 10월 추수가 끝난 후에 술을 마시고 노래 부르며 춤을 췄다고 한다. 또, 고구려도 10월에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동맹이라는 행사 때 술을 마시고 노래 부르며 춤을 췄다고 한다.

막걸리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삼국사기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고려 때에는 막걸리용 누룩을 배꽃이 필 때에 만든다고 해 ‘이화주’라는 이름으로 불리었다. 이규보나 이곡이 쓴 저서에도 막걸리에 대한 기록이 있다.
 막걸리는 ‘쌀과 누룩으로 빚어 그대로 막 걸러내어 만들었다’ 해 붙여진 이름이다. 종류도 다양해 탁주, 탁료, 곡주, 재주, 회주, 백주, 합주, 탁배기, 가주, 농주, 이화주, 부의주 등 무려 열두 가지나 된다.


오랜 친구처럼 정이 넘치는 술
가정에서는 고두밥에 누룩을 섞어 빚은 술을 오지 그릇위에 #자 모양의 ‘겅그레’를 걸고, 채로 걸러 뿌옇고 텁텁하게 만들었다. 막걸리를 거르기 전에 용수를 박아서 떠내면 청주이고, 물을 더 넣어 걸쭉하게 걸러내면 탁주가 된다. 또, 아예 거르지 않아 발효된 밥알이 막걸리 위에 떠있는 상태는 동동주라 했다.

막걸리는 대체로 쌀뜨물 같은 흰빛을 띠고 있다. 규격화된 방법으로 제조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선조들은 집집마다 전통으로 내려오는 특유의 비법이 있어 난백, 유백, 황백, 회백 등 그 빛깔도 단순한 흰빛만은 아니었다. 이 비법은 가문의 자랑으로 오랫동안 이어져오다 맥이 끊기고, 요즘은 무형문화제라는 이름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편, 막걸리는 탁하기 때문에 탁주라 부르기도 했다. 또, 식량대용 또는 갈증해소로 농부들이 애용해 왔으므로 농주라고도 불렸다. 바쁜 농사철 일종의 간식 격인 새참을 들며 함께 마시는 한 잔의 막걸리는 피로를 풀어주고 새 힘이 솟게 하는 활력소였다. 이 같은 모습은 예나 지금이나 쉽게 볼 수 있는 정겨운 모습이다.

또한, 막걸리는 농주로서 뿐만 아니라 누구나 부담 없이 편하게 마실 수 있는 오래된 친구처럼 정이 넘치는 술이다. 이 속에 우리의 민족혼이 살아 숨 쉬고 있다. 그 흰 빛은 백의민족인 우리민족의 소박함과 긴 역사 속의 희로애락이 대변하며 영원히 빛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546 헤드라인제주 위성곤 의원, 전통주 전문 지원기관 설립 국회 심포지엄 개최 누룩 2018-05-01 947
545 소믈리에타임즈 2018 쌀가공식품산업대전(Rice Show) 온라인 전시관 오픈 누룩 2018-04-30 1363
544 대한금융신문 [응답하라, 우리술 77]박제화 된 마지막 주막 경북 예천 ‘삼강 주막’ 누룩 2018-04-24 1231
543 BBSNEWS 올해도 막걸리 먹고 힘내길! 운문사 명물 ‘처진 소나무’ 막걸리 공양 누룩 2018-04-19 2097
542 에그리테그브리핑 저온피해 농가 지원, 전통주산업 내실화, 도시농업 참여자 400만명 누룩 2018-04-18 930
» 농촌여성신문 막걸리 누룩 2018-04-17 1189
540 머니투데이 전통주, 한국 대표 문화상품으로 키운다 누룩 2018-04-10 1910
539 보그코리아 우리 물방울 누룩 2018-03-28 1383
538 헤럴드경제 수제맥주ㆍ전통주 대형마트 판매 길 열렸다 누룩 2018-03-27 1132
537 국민일보 청년층서 장년층까지 맞춤형 ‘귀농 성공 노하우’ 알려준다 누룩 2018-03-22 1609
536 아시아뉴스통신 충남도, 1・2・3차 농촌융복합산업 74억 원 지원 누룩 2018-03-21 1174
535 국제뉴스 2018 '하남 부침개 막걸리 페스티벌' ..21-22일 개최 누룩 2018-03-19 1359
534 보그코리아 드라이한 전통주 누룩 2018-03-15 1236
533 조선일보 [모닝 라운지] 북한산 올라 막걸리 한잔, 과태료 5만원! 누룩 2018-03-08 855
532 조선닷컴 가양주 연구소 류인수 소장, 한국전통주교과서 2판 BLACK 출판 누룩 2018-03-07 129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