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조선일보 옛날에는 술로 월급을 줬다고?

조회 수 1073 추천 수 0 2017.12.08 17:25:42

옛날에는 술로 월급을 줬다고?

주류문화 칼럼니스트 명욱  

입력 : 2017.12.07 18:46

술에서 유래한 다양한 우리말 이야기

지금이야 술이 무척 흔한 시대지만 불과 100년 전, 산업화 이전의 시대만 봐도 술은 무척 귀한 존재였다. 술을 빚기 위해서는 먹을 곡식 외에 잉여 농산물이 있어야 하며, 보이지 않는 효모균을 잘 키우기 위해 관리라는 인력과 더불어 발효를 하기 위한 저장고라는 장소까지 필요했기 때문이다. 집집마다 술을 빚는 가양주 문화를 가진 우리나라에서는 술 빚는 가문은 곡식이 풍성하다는 뜻이며, 인력이 있다는 것이었으며, 장소가 있다는 것은 집이 크다는 것을 의미했다. 결국 술 맛 자체가 가문의 위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어졌고, 기분을 위해 즐기는 최고의 사치품 중 하나였다.

이러한 이유로 조선 시대에는 흉년이 들어 먹을 곡식이 적어지면 왕의 특권으로 바로 금주령을 내리게 된다. 실록에만 무려 129번이나 언급되며, 태종 때는 금주령을 어긴 의순고의 별좌 황상이 귀양을 가고, 영조 대에는 병마절도사 윤구연을 영조가 직접 사형을 집행했다는 기록도 나온다(上大怒 親御南門 斬九淵).

이러한 이유여서일까. 한국의 술은 귀하다는 의미의 ‘약(薬)’이란 단어를 붙여 약주(藥酒)라고 불리기도 했으며, 가까운 일본도 술을 존중한다는 의미로 이끌 어(御), 일본어로 오(お)를 붙여 오사케(お酒)라 부르고 있다. 이처럼 술이란 매체는 귀하고 중요하다는 배경으로 수많은 언어와 문화에도 영향을 미친다. 그런 의미로 한국을 대표한다는 술문화 수작(酬酌)부터, 화폐 대용으로도 쓰인 술의 모습과 용어를 정리해 본다.

건배(乾杯) 문화가 아닌 ‘수작(酬酌)’ 문화였던 한국, 그것에서 유래한 수작 부리다
우리가 술을 마시면 늘 건배라는 말을 달고 살지만, 실은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건배란 단어는 한 번도 등장하질 않는다. 대신 등장하는 단어는 바로 ‘수작(酬酌)’.
갚을 수(酬), 따를 작(酌)이라 하여, 술을 주고받고 나눈다는 뜻이며 술잔을 돌린다는 뜻이다. 그리고 술을 통한 대화를 한다는 의미이다. 한 번에 다 마셔야 하고 잔을 부딪치는 건배와는 다른 문화이다. 오래간만에 친구들끼리 회포를 풀며 탁주 한 잔을 나눌 때, 지나가던 주모에게 잔을 건네면 주모가 어디서 수작을 청하냐는 말이 변하여 수작 부린다는 뜻으로 이어졌다고 전해진다.

김홍도의 주막. 막걸리를 항아리에서 뜨고 있다
참고로 건배 문화는 원래 고대 바이킹족이 시작이라고 해석한다. 당시 쓰던 잔은 대부분 뿔잔, 아래쪽이 뾰족한 형태다 보니 잔을 세울 수 없었고, 늘 다 마셔야 했다. 한마디로 원샷. 마를때까지 다 마시라는 건배(乾杯)란 의미와도 같다. 잔을 부딪치는 풍습은 적들과 화친을 할 때, 술잔을 부딪혀서 잔 속의 술을 서로 섞음으로써 독을 탔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였고, 이러한 것이 대륙을 건너 중국으로 왔으며, 일본이 답습하고, 우리나라까지 전해졌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크게 결정한다는 의미의 ‘작정(酌定)’. 알고 보면 술 따르는 양을 정한다는 뜻
지금이야 술을 담을 때 속이 훤히 보이는 유리병을 많이 사용하지만, 불과 100년 전만 해도 호리병, 또는 나무통이었다. 이렇다 보니 병 속에 내용물이 얼마나 있는지 몰랐고, 따라서 얼마큼 따를 수 있는 지도 잘 몰랐던 시대다. 여기서 파생된 단어가 바로 ‘작정’. 따를 작(酌), 정할 정(定). 즉, 상황을 보고 술의 양을 정하고 따른다는 뜻이다. 작정하지 않으면 술잔에 술이 한없이 넘쳐 흘렸고, 보는 이는 이것을 작정이 없다고 하여 무작정(無酌定)이라 불렀다. 결국 술이 워낙 귀했기에 작정이란 말이 결정한다는 뜻으로 이어졌다고 해석된다.

보이지 않는 술의 양을 헤아린다는 ‘짐작(斟酌)’, 이제는 헤아리다란 뜻으로
짐작이란 헤아릴 짐(斟), 따를 작(酌)이다. 따르는 양을 생각하고 따른다는 뜻이다. 술잔을 보고 또는 상대방이 얼마나 마실 수 있는가, 좋아하는가, 싫어하는가를 보고 예상해 본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같이 마셨다는 ‘참작(參酌)’, 그래서 상황을 고려한다는 말로
법정 드라마를 보면, 죄질이 무거운데도 상황을 이해하여 형량을 줄인다는 '정상참작'이란 말을 쓰곤 한다. 여기서 참작이란 참여할 참(參), 그리고 따를 작(酌)이다. 즉 같이 술을 따르던 자리에 있다고 직역된다. 좀 더 풀이하자면, 같은 상황, 나아가 같은 사회에 있기 때문에 책임이 오직 한 사람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며, 상황을 헤아린다는 뜻으로 이어진다.

술 마시기 전에 먹었던 음식 ‘주전부리(酒前喙)’. 음(音)과 훈(訓)이 하나 된 단어
간식이나 가벼운 음식을 자주 먹는다는 의미로 주전부리를 부린다는 말이 있다. 한자를 그대로 풀이하면 술을 마시기 전(酒前), 새의 부리 홰(喙)처럼 콕콕 찍어 먹는다는 뜻으로 말 그대로 거한 밥상이 아닌 포크로 찍어 먹는 듯한 의미다. 동시에 새처럼 쉬지 않고 계속 찍어대며 먹는다는 뜻도 있다. 흥미로운 것은 주전은 음독(音讀)인데 부리는 훈독(訓讀)을 사용했다는 것. 아마도 부리 훼(喙)란 단어를 쓰기보다는 그냥 부리라고 하는 것이 훨씬 와 닿아서가 아닐까 생각해 본다.

일에 대한 보상을 술로 줬다는 뜻의 ‘보수(報酬)’.
보수란 단어를 잘 보면, 갚을 보(報), 갚을 수(酬)다. 여기서의 수의 부수는 술 유(酉). 술로 갚는다는 뜻이다. 이유는 술로 (지금 말로) 월급을 주기도 했기 때문이다. 재미있는 것은 동양만 있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서양 역시 중세 시대 농노들에게 일한 대가로 맥주를 지급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일본 역시 쌀과 같이 화폐처럼 쓰였다는 기록이 있다.

술 유(酉)가 들어가 있는 말은 술 관련 유래가 있어
술 유(酉)가 들어간 말은 술 관련 유래가 무척 많다. 대표적으로 의술 의(醫)도 그 중 하나이다. 아플 예(殹)를 받치고 있는 것이 술 유(酉)이고, 이를 통해 치유한다는 뜻. 약이 부족했던 시대에 술이 얼마나 약으로 쓰였는가를 알 수 있다.

같은 한자권인 중국과 일본은 많이 쓰지 않는 단어
모두가 한자에서 유래한 것이긴 하지만, 수작, 짐작, 작정 등의 단어는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많이 사용하지 않는 단어로 한국에서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가 가장 술을 사랑한다는 말은 어폐가 있지만, 그만큼 삶 속에서 술과 관련한 다양한 문화가 있었다는 반증이라 생각된다. 하지만 한국의 술 문화는 취하는 것 중심의 획일화된 모습, 어쩌면 그 해답을 멀리 있는 와인이나 위스키 등에서 찾는 것이 아닌 해학과 풍류가 있던 우리 전통주에서 찾아야 하는 것 아닌가라는 생각이 든다.

명욱 전통주 갤러리 부관장, 주류문화칼럼니스트
명욱 전통주 갤러리 부관장, 주류문화칼럼니스트
일본에서 공부한 특이한 전통주 전문가. 10년전 막걸리 400종류를 마셔보고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서 포탈사이트에 제공했다. 현재 가수 김창완 씨와 SBS라디오 '아름다운 이 아침, 김창완입니다;에서 전통주 코너를 진행하고 있으며, 팟캐스트 말술남녀에도 출연하고 있다. 명욱의 동네술 이야기(blog.naver.com/vegan_life) 블로그도 운영중이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아이뉴스 24 전통주 온라인 판매' 본격 시작…"보완 대책 필요

'전통주 온라인 판매' 본격 시작…"보완 대책 필요" 전통주 활성화 기대…일각서 "미성년자 보호 대책 미흡·일부 특혜" 주장 2017년 07월 19일 오전 11:44 [아이뉴스24 장유미기자] 지난 18일 G마켓과 ...

  • 누룩
  • 2017-07-21
  • 조회 수 1086

[포럼] 전통주로 농산물 가치 올리고 음식문화도 수출하자 -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헤럴드경제=신창훈 기자] 술의 고유한 우리말은 ‘수불’이다. 술이 익는 중에 부글부글 끓는 것을 보고 물에 불이 붙는다고 해서 수불이라 하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그래서일까. 술은 물이지만 마시면 불이 된다. 음과 양의 조화가 가장 잘 빚어진 인류의 ...

  • 누룩
  • 2014-08-25
  • 조회 수 1084

소믈리에타임즈 미국 양조자 협회(BA), 공식 수제 맥주 인증 로고 운영

미국 양조자 협회(BA), 공식 수제 맥주 인증 로고 운영김동열 기자l -->승인2017.06.29 13:24:44 트위터 페이스북 --> 현재 미국에는 전 세계의 수제맥주 수도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다양...

  • 누룩
  • 2017-07-11
  • 조회 수 1083

전통주에도 컬래버레이션…주간감성, ‘오래된 노래’ 출시

두루미양조장·그룹 스탠딩 에그와 맞손 라벨 QR코드 통해서 음악 감상도 가능 구독 서비스 통해 판매 주간감성의 프리미엄 탁주 ‘오래된 노래’. [주간감성 제공][헤럴드경제=신상윤 기자] 최근 유통업계의 트렌드는 컬래버레이션이다. 이 같은 컬래버레이션은 ...

  • 누룩
  • 2022-06-21
  • 조회 수 1082

[한경비즈니스] [막걸리 열전] ‘로컬’의 가치 담은 팔팔막걸리 file

기사입력 2021.07.25. 오전 6:33 김포 특등급 쌀이 만들어 낸 산뜻한 맛 특등급의 김포금쌀을 원료로 만드는 팔팔막걸리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를 아우르는 MZ세대의 특징은 ‘로컬’에 주목한다는 것이다. 획일적인 스펙보다 자신만의 고유한 정체성을 중...

  • 누룩
  • 2021-07-28
  • 조회 수 1082

경기도 개발 ‘맥주맛 막걸리’ 행사용 술로 첫선

10월 가평 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서 사용 …연말 공식 출시   경기도가 개발한 맥주맛 막걸리가 <재즈막걸리>(사진)란 이름으로 국내 시장에 첫선을 보였다.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도농업기술원이 개발해 민간기업인 ㈜우리술(대표 박성기)에 기술 이전한 ...

  • 누룩
  • 2014-09-22
  • 조회 수 1081

조선일보 2017 우리술 주안상 대회, 우리 전통주와 페어링한 우승 작품은? file

2017 우리술 주안상 대회, 우리 전통주와 페어링한 우승 작품은? 성별 선택하기 선택된 속도 추가 --> 여성 선택된 성별남성 속도 선택하기 선택된 속도 추가 --> 느림 선택된 속도보통 빠름 설정을 저장하시겠습니까? 확인 취소 정보 --> ...

  • 누룩
  • 2017-12-06
  • 조회 수 1081

[연합뉴스] 전통누룩에서 찾은 효모로 막걸리 제조…"수입산 대체"

송고시간 : 2021-04-07 11:00 고은지 기자 전통누룩 프로바이오틱스 효모 [한국식품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전통누룩에서 찾은 효모를 이용해 막걸리를 만들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한국식품연구원은 전략기술연구본...

  • 누룩
  • 2021-04-12
  • 조회 수 1079

[이데일리] 국순당, ‘정월 대보름 달맞이 행사’ 귀밝이술 지원 file

등록 2023-02-03 오전 9:25:06 수정 2023-02-03 오전 9:25:06 윤정훈 기자 정월 대보름 귀밝이술은 온 가족의 건강을 기원하는 세시풍속 국순당(043650)이 새해 첫 보름날인 ‘정월 대보름’인 5일을 맞아 우리 민족의 세시 풍속인 귀밝이술을 알리기 위해 우리...

  • 누룩
  • 2023-02-03
  • 조회 수 1077

경향신문 [종교와 음식](3) 조선 서민 술문화에 놀란 선교사들, 음주를 금기시

[종교와 음식](3) 조선 서민 술문화에 놀란 선교사들, 음주를 금기시박경은 기자 king@kyunghyang.com ㆍ한국 개신교와 술 “교회 다니는 사람은 술 마시면 안되나요?” 개신교가 화제에 오를 때면 으레 따라붙는 질문이다. 그만큼 개신교에서 금주는 상징처럼 ...

  • 누룩
  • 2017-03-17
  • 조회 수 1077

막걸리협회, 막걸리 공용기준잔 개발·막걸리페스티벌 개최 추진

▲ 막걸리협회는 최근 이사회에서 새 집행부를 구성하고 올해 사업계획 등을 논의했다.한국막걸리협회(회장 박성기)가 최근 이사회에서 조직 재정비와 함께 올해 사업 계획 등을 확정했다. 협회는 올해 주요 사업으로 막걸리 공용기준잔 개발 및 막걸리페스티...

  • 누룩
  • 2015-04-16
  • 조회 수 1074

2017 서울국제와인&주류박람회(Seoul International Wines & Spirits Expo 2017) 개최

2017 서울국제와인&주류박람회(Seoul International Wines & Spirits Expo 2017) 개최김하늘 기자l -->승인2017.02.14 13:08:57 트위터 페이스북 --> ▲ 2017 서울 국제 와인&주류 박...

  • 누룩
  • 2017-02-15
  • 조회 수 1074

[통플러스] 2019년의 술 트렌드를 예상해보다

변화무쌍한 트렌드 속에 달라지는 술 문화 일본에 10년 이상 살면서 느끼는 것은 눈에 띄는 변화가 적은 나라라는 것이다. 20년 만에 방문한 곳의 집이 아직도 그대로 있고, 음식도 술도 오래된 옛 것을 참 잘 즐기는 나라다. 기린 맥주의 라벨은 100년 전 라...

  • 누룩
  • 2019-01-09
  • 조회 수 1074

조선일보 옛날에는 술로 월급을 줬다고?

옛날에는 술로 월급을 줬다고?주류문화 칼럼니스트 명욱 입력 : 2017.12.07 18:46 술에서 유래한 다양한 우리말 이야기 지금이야 술이 무척 흔한 시대지만 불과 100년 전, 산업화 이전의 시대만 봐도 술은 무척 귀한 존재였다. 술을 빚기 위해서는 먹을...

  • 누룩
  • 2017-12-08
  • 조회 수 1073

연합뉴스 주프랑크푸르트총영사관, 독일서 한국 전통주 강연·시음 행사

독일 프랑크푸르트 한국 전통주 행사에서 조영진 수석 바텐더가 안동소주 시음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 독일 주프랑크푸르트총영사관(총영사 백범흠)은 지난달 25, 28일 프랑크푸르트 강변 박물관 축제서 농림축산식품부·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와 함께 일반...

  • 누룩
  • 2018-09-10
  • 조회 수 107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