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조선일보 옛날에는 술로 월급을 줬다고?

조회 수 1087 추천 수 0 2017.12.08 17:25:42

옛날에는 술로 월급을 줬다고?

주류문화 칼럼니스트 명욱  

입력 : 2017.12.07 18:46

술에서 유래한 다양한 우리말 이야기

지금이야 술이 무척 흔한 시대지만 불과 100년 전, 산업화 이전의 시대만 봐도 술은 무척 귀한 존재였다. 술을 빚기 위해서는 먹을 곡식 외에 잉여 농산물이 있어야 하며, 보이지 않는 효모균을 잘 키우기 위해 관리라는 인력과 더불어 발효를 하기 위한 저장고라는 장소까지 필요했기 때문이다. 집집마다 술을 빚는 가양주 문화를 가진 우리나라에서는 술 빚는 가문은 곡식이 풍성하다는 뜻이며, 인력이 있다는 것이었으며, 장소가 있다는 것은 집이 크다는 것을 의미했다. 결국 술 맛 자체가 가문의 위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어졌고, 기분을 위해 즐기는 최고의 사치품 중 하나였다.

이러한 이유로 조선 시대에는 흉년이 들어 먹을 곡식이 적어지면 왕의 특권으로 바로 금주령을 내리게 된다. 실록에만 무려 129번이나 언급되며, 태종 때는 금주령을 어긴 의순고의 별좌 황상이 귀양을 가고, 영조 대에는 병마절도사 윤구연을 영조가 직접 사형을 집행했다는 기록도 나온다(上大怒 親御南門 斬九淵).

이러한 이유여서일까. 한국의 술은 귀하다는 의미의 ‘약(薬)’이란 단어를 붙여 약주(藥酒)라고 불리기도 했으며, 가까운 일본도 술을 존중한다는 의미로 이끌 어(御), 일본어로 오(お)를 붙여 오사케(お酒)라 부르고 있다. 이처럼 술이란 매체는 귀하고 중요하다는 배경으로 수많은 언어와 문화에도 영향을 미친다. 그런 의미로 한국을 대표한다는 술문화 수작(酬酌)부터, 화폐 대용으로도 쓰인 술의 모습과 용어를 정리해 본다.

건배(乾杯) 문화가 아닌 ‘수작(酬酌)’ 문화였던 한국, 그것에서 유래한 수작 부리다
우리가 술을 마시면 늘 건배라는 말을 달고 살지만, 실은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건배란 단어는 한 번도 등장하질 않는다. 대신 등장하는 단어는 바로 ‘수작(酬酌)’.
갚을 수(酬), 따를 작(酌)이라 하여, 술을 주고받고 나눈다는 뜻이며 술잔을 돌린다는 뜻이다. 그리고 술을 통한 대화를 한다는 의미이다. 한 번에 다 마셔야 하고 잔을 부딪치는 건배와는 다른 문화이다. 오래간만에 친구들끼리 회포를 풀며 탁주 한 잔을 나눌 때, 지나가던 주모에게 잔을 건네면 주모가 어디서 수작을 청하냐는 말이 변하여 수작 부린다는 뜻으로 이어졌다고 전해진다.

김홍도의 주막. 막걸리를 항아리에서 뜨고 있다
참고로 건배 문화는 원래 고대 바이킹족이 시작이라고 해석한다. 당시 쓰던 잔은 대부분 뿔잔, 아래쪽이 뾰족한 형태다 보니 잔을 세울 수 없었고, 늘 다 마셔야 했다. 한마디로 원샷. 마를때까지 다 마시라는 건배(乾杯)란 의미와도 같다. 잔을 부딪치는 풍습은 적들과 화친을 할 때, 술잔을 부딪혀서 잔 속의 술을 서로 섞음으로써 독을 탔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였고, 이러한 것이 대륙을 건너 중국으로 왔으며, 일본이 답습하고, 우리나라까지 전해졌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크게 결정한다는 의미의 ‘작정(酌定)’. 알고 보면 술 따르는 양을 정한다는 뜻
지금이야 술을 담을 때 속이 훤히 보이는 유리병을 많이 사용하지만, 불과 100년 전만 해도 호리병, 또는 나무통이었다. 이렇다 보니 병 속에 내용물이 얼마나 있는지 몰랐고, 따라서 얼마큼 따를 수 있는 지도 잘 몰랐던 시대다. 여기서 파생된 단어가 바로 ‘작정’. 따를 작(酌), 정할 정(定). 즉, 상황을 보고 술의 양을 정하고 따른다는 뜻이다. 작정하지 않으면 술잔에 술이 한없이 넘쳐 흘렸고, 보는 이는 이것을 작정이 없다고 하여 무작정(無酌定)이라 불렀다. 결국 술이 워낙 귀했기에 작정이란 말이 결정한다는 뜻으로 이어졌다고 해석된다.

보이지 않는 술의 양을 헤아린다는 ‘짐작(斟酌)’, 이제는 헤아리다란 뜻으로
짐작이란 헤아릴 짐(斟), 따를 작(酌)이다. 따르는 양을 생각하고 따른다는 뜻이다. 술잔을 보고 또는 상대방이 얼마나 마실 수 있는가, 좋아하는가, 싫어하는가를 보고 예상해 본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같이 마셨다는 ‘참작(參酌)’, 그래서 상황을 고려한다는 말로
법정 드라마를 보면, 죄질이 무거운데도 상황을 이해하여 형량을 줄인다는 '정상참작'이란 말을 쓰곤 한다. 여기서 참작이란 참여할 참(參), 그리고 따를 작(酌)이다. 즉 같이 술을 따르던 자리에 있다고 직역된다. 좀 더 풀이하자면, 같은 상황, 나아가 같은 사회에 있기 때문에 책임이 오직 한 사람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며, 상황을 헤아린다는 뜻으로 이어진다.

술 마시기 전에 먹었던 음식 ‘주전부리(酒前喙)’. 음(音)과 훈(訓)이 하나 된 단어
간식이나 가벼운 음식을 자주 먹는다는 의미로 주전부리를 부린다는 말이 있다. 한자를 그대로 풀이하면 술을 마시기 전(酒前), 새의 부리 홰(喙)처럼 콕콕 찍어 먹는다는 뜻으로 말 그대로 거한 밥상이 아닌 포크로 찍어 먹는 듯한 의미다. 동시에 새처럼 쉬지 않고 계속 찍어대며 먹는다는 뜻도 있다. 흥미로운 것은 주전은 음독(音讀)인데 부리는 훈독(訓讀)을 사용했다는 것. 아마도 부리 훼(喙)란 단어를 쓰기보다는 그냥 부리라고 하는 것이 훨씬 와 닿아서가 아닐까 생각해 본다.

일에 대한 보상을 술로 줬다는 뜻의 ‘보수(報酬)’.
보수란 단어를 잘 보면, 갚을 보(報), 갚을 수(酬)다. 여기서의 수의 부수는 술 유(酉). 술로 갚는다는 뜻이다. 이유는 술로 (지금 말로) 월급을 주기도 했기 때문이다. 재미있는 것은 동양만 있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서양 역시 중세 시대 농노들에게 일한 대가로 맥주를 지급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일본 역시 쌀과 같이 화폐처럼 쓰였다는 기록이 있다.

술 유(酉)가 들어가 있는 말은 술 관련 유래가 있어
술 유(酉)가 들어간 말은 술 관련 유래가 무척 많다. 대표적으로 의술 의(醫)도 그 중 하나이다. 아플 예(殹)를 받치고 있는 것이 술 유(酉)이고, 이를 통해 치유한다는 뜻. 약이 부족했던 시대에 술이 얼마나 약으로 쓰였는가를 알 수 있다.

같은 한자권인 중국과 일본은 많이 쓰지 않는 단어
모두가 한자에서 유래한 것이긴 하지만, 수작, 짐작, 작정 등의 단어는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많이 사용하지 않는 단어로 한국에서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가 가장 술을 사랑한다는 말은 어폐가 있지만, 그만큼 삶 속에서 술과 관련한 다양한 문화가 있었다는 반증이라 생각된다. 하지만 한국의 술 문화는 취하는 것 중심의 획일화된 모습, 어쩌면 그 해답을 멀리 있는 와인이나 위스키 등에서 찾는 것이 아닌 해학과 풍류가 있던 우리 전통주에서 찾아야 하는 것 아닌가라는 생각이 든다.

명욱 전통주 갤러리 부관장, 주류문화칼럼니스트
명욱 전통주 갤러리 부관장, 주류문화칼럼니스트
일본에서 공부한 특이한 전통주 전문가. 10년전 막걸리 400종류를 마셔보고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서 포탈사이트에 제공했다. 현재 가수 김창완 씨와 SBS라디오 '아름다운 이 아침, 김창완입니다;에서 전통주 코너를 진행하고 있으며, 팟캐스트 말술남녀에도 출연하고 있다. 명욱의 동네술 이야기(blog.naver.com/vegan_life) 블로그도 운영중이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전통주 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체계 마련 절실”

한국가양주연구소 류인수 소장 “막걸리를 비롯한 전통주도 전 세계 사람들에게 충분히 매력적입니다. 다만 전통주를 제대로 알릴 수 있는 체계가 아직 안 잡혀 있다는 점이 아쉽죠.” 전통주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한국가양주연구소 류인수(사진) 소장...

  • 누룩
  • 2021-05-24
  • 조회 수 1017

동아사이언스 “소줏고리 원리를 알아내야, 한국형 증류기를 만들 수 있다!”

“소줏고리 원리를 알아내야, 한국형 증류기를 만들 수 있다!” 2017년 06월 09일 18:30 “전통문화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총체적 지원 체계로 바꿔야 합니다. 한식, 한지, 한복, 한옥 등 다양한 분야가 서로 연계해 동반 발전을 해야합니다.” ...

  • 누룩
  • 2017-06-16
  • 조회 수 1020

Queen premium 우리 술로 청년 창업 준비 중이라면 맞춤형 상담받아보세요!

우리 술로 청년 창업 준비 중이라면 맞춤형 상담받아보세요!이지은 | qeditor4@naver.com승인 2017.10.30 10:51:37 소규모 주류제조(하우스막걸리) 분야의 창업을 원하는 청년들에게 종목 선정과 주류제조 허가 절차 등 맞춤형 상담을 하는 '우리 술 국민정책...

  • 누룩
  • 2017-11-07
  • 조회 수 1021

“전통주 이제 30, 40대 곁으로 다가갈 겁니다”

“전통주 이제 30, 40대 곁으로 다가갈 겁니다”[규제개혁/신산업 창출 지원] 전통주 인터넷 판매 범위 확대 정부가 전통주의 판매를 돕기 위해 규제를 완화하면서 현장의 문제점들이 점차 해소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5월 ‘주류의 통신판매에 관한 명령위...

  • 누룩
  • 2016-04-06
  • 조회 수 1021

'우리 술 막걸리'

강양수 (경남도농업기술원 기술지원국장) 우리 술 막걸리는 사전적 의미로는 곡류(찹쌀, 멥쌀, 보리, 밀)를 쪄서 누룩과 물을 섞어 발효시킨 한국 고유의 술이라고 표시하고 있지만 역사와 애환이 담긴 문화 상품적 가치가 큰 우리 민족의 자산이다. ‘막’은 ...

  • 누룩
  • 2014-06-25
  • 조회 수 1023

2016년도 전통주 문화산업을 둘러싼 변화의 바람

2016년도 전통주 문화산업을 둘러싼 변화의 바람디지틀조선일보 주류문화 칼럼니스트 명욱 입력 : 2016.12.29 09:00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2016년도도 불과 며칠 남지 않았다. 주류시장 역시 연말연시라는 뜨거운 시기를 맞이하며 막바지 판매에 주력...

  • 누룩
  • 2017-01-13
  • 조회 수 1025

대한금융신문 [응답하라,우리술69]좋은 술 찾아내는 소비자 안목이 우리술 살리는 길 file

대한금융신문 [응답하라,우리술69]좋은 술 찾아내는 소비자 안목이 우리술 살리는 길 가양주로 빚는 전통 막걸리 원료는 ‘지역 쌀, 전통 누룩, 물’ 대도시 공장 막걸리 원료는 ‘수입 쌀, 일본식 입국, 아스파탐’ ▲ 지난해 한미정상회담 만찬주로 주목을...

  • 누룩
  • 2018-02-26
  • 조회 수 1026

[농민신문] [酒食궁합] 돌아온 연말연시, 우리 맛으로 건배~

경기 용인의 ‘미르 40’과 백암순대 전통소주 제조법 복원한 ‘미르 40’ 용인에서 난 햅쌀과 직접 빚은 누룩 지하 120m 암반수만 사용해 제조 부드러운 목넘김·깔끔한 뒷맛 일품 100년 넘는 백암시장 명물 ‘백암순대’ 간 돼지고기에 채소 듬뿍 넣어 담백 도수 ...

  • 누룩
  • 2019-01-17
  • 조회 수 1029

우리 조상들의 지혜가 살아 있는 전통주… 내 손으로 빚어볼까?

한국 전통주 교과서|류인수 지음|교문사|356쪽|2만원 술(酒)은 매일 만든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흘러야 얻어지는 '발효의 산물'이다. 오늘 만들어 내일 마시는 술이 있지만 몇 년이 지나야 한 잔 맛볼 수 있는 ...

  • 누룩
  • 2014-04-23
  • 조회 수 1031

막걸리 2ℓ대용량도 판다.

주류수출면허 등 규제완화 국세청이 불합리한 규제 철폐로 주류 수출 지원에 나섰다. 또 그동안 2ℓ 미만으로 제한된 막걸리 용량 규제도 주세 관리를 철저하게 할 수 있는 납세증지 사용을 조건으로 해제하기로 했다. 9일 국세청과 주류업계에 따르면 국세...

  • 누룩
  • 2014-06-10
  • 조회 수 1032

내년부터 '하우스 막걸리' 쉽게 맛볼 수 있다

내년부터 '하우스 막걸리' 쉽게 맛볼 수 있다양모듬 기자 입력 : 2015.12.26 03:04 맥주 외 탁주·약주·청주도 소규모 주류 면허 대상 추가 최근에 인기를 끈 '하우스 맥주'에 이어 내년부터는 '하우스 막걸리'를 쉽게 맛볼 수 있다. 또 '하우스 맥주'를 병...

  • 누룩
  • 2015-12-28
  • 조회 수 1035

대구신문 막걸리 만들며 발효과학 체험 ‘호응’

대구과학관 특강 마련, 성인층 참여도 높아 국립대구과학관(관장 김덕규)이 지난 11월부터 진행한 전통주 속 과학체험 교육인 ‘발효, 그리고 막걸리’특강과 ‘전통주 빚기’ 체험활동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이번 체험활동은 전통주가 만들어 지는 과정을 ...

  • 누룩
  • 2017-12-28
  • 조회 수 1035

'차원이 다른 영동와인'…전국 품평회 2년 연속 싹쓸이

'차원이 다른 영동와인'…전국 품평회 2년 연속 싹쓸이 송고시간 | 2015/06/15 10:40 (영동=연합뉴스) 박병기 기자 = 충북 영동와인이 2년 연속 국내 품평회를 휩쓸면서 격이 다른 고급 품질을 입증해 보였다. 15일 영동군에 따르면...

  • 누룩
  • 2015-06-16
  • 조회 수 1035

[국제신문] 애주가들 '한숨'...맥주ㆍ소주ㆍ막걸리도 줄줄이 오른다. file

맥주ㆍ막걸리 세율 4월부터 최대 30원 인상 소비자 판매가에 반영...소주도 인상 예고 주류 물가 이미 고공행진...부산 8% 급등 이석주 기자 serenom@kookje.co.kr 입력 : 2023-02-04 09:04:12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음.. 국제신...

  • 누룩
  • 2023-02-08
  • 조회 수 1035

백세주 절치부심, 백수오 뺀 새 모습으로 돌아왔다

백세주 절치부심, 백수오 뺀 새 모습으로 돌아왔다 ‘가짜 백수오’ 사태로 건강 식품들이 된서리를 맞을 때 뜻하지 않게 불똥이 튄 업체가 국순당이다. 대표 주류인 백세주에 가짜 백수오 원료를 사용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불길을 피해갈 수 없었다. 졸지에 ‘...

  • 누룩
  • 2015-06-25
  • 조회 수 103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