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경향신문 [오래전 ‘이날’]11월9일 ‘쌀막걸리’를 허하라

조회 수 942 추천 수 0 2017.11.13 21:41:10
[오래전 ‘이날’]11월9일 ‘쌀막걸리’를 허하라
수정2017-11-09 14:04:48입력시간 보기

[오래전‘이날’]은 1957년부터 2007년까지 매 10년마다의 경향신문의 같은 날 보도를 살펴보는 코너입니다. 매일 업데이트 합니다.

[오래전 ‘이날’]11월9일 ‘쌀막걸리’를 허하라

■1977년 11월 9일 ‘쌀막걸리’를 허하라

[오래전 ‘이날’]11월9일 ‘쌀막걸리’를 허하라

쌀막걸리 제조가 금지된 시절이 있었습니다. 부족한 양곡을 보충하기 위해서였죠. 정부는 1960년대부터 범국민적인 절미 운동과 혼·분식 운동을 추진했습니다. 절미 운동은 새마을운동의 일부로 가정의 쌀 소비를 줄이자는 운동이었습니다. 혼·분식 운동은 보리, 콩, 조 등 잡곡을 섞은 혼식밥과 밀가루 음식먹기를 권장했습니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도시락을 검사해 쌀과 보리의 혼합 비율을 확인했습니다. 정부는 행정명령을 통해 음식판매업자와 양곡매매·가공업자를 통제했습니다.

1963년 서민들의 술인 막걸리 제조에 백미 사용을 금지하기에 이릅니다. 이후 사용 원료의 2할 이내로 백미 사용을 허용하는 조치를 취했다가 1966년 8월 백미 사용을 전면 금지했습니다. 이 시기에는 밀가루와 잡곡을 섞어 막걸리를 제조했습니다.

11년 뒤인 1977년 크게 풍년이 들어 쌀 수확량이 사상 처음으로 4000만석을 돌파했습니다. 정부는 쌀 소비를 촉진하기 위하여 무미일(분식날)을 폐지했습니다. 이어 밀가루 막걸리를 금지하고 쌀 막걸리를 생산하도록 함으로써 쌀 소비억제정책을 전면 해제했습니다.

40년 전 이날 신문은 박정희 당시 대통령이 쌀막걸리 제조를 당초 계획보다 앞당겨 12월 1일부터 실시하도록 농수산부 장관에게 지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14년 만에 쌀막걸리가 다시 등장하게 된 것이죠. 그러나 쌀 소비가 늘어나자 1979년 11월 막걸리에 쌀만을 사용토록 한 행정명령을 철회하고, 밀가루와 옥수수 등을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1967년 11월 9일 동백림 사건의 특수성?

[오래전 ‘이날’]11월9일 ‘쌀막걸리’를 허하라

50년 전 이날 ‘동백림(당시 동독의 수도인 동베를린)을 거점으로 한 대남 적화 공작단 사건’의 피고 33명에 대한 첫 공판이 열렸습니다. 사건을 한마디로 축약하면 이렇습니다. 한국에서 독일과 프랑스로 건너간 194명의 유학생과 교민 등이 동베를린의 북한 대사관과 평양을 드나들면서 간첩교육을 받아 대남적화 활동을 했다는 것입니다. 중앙정보부의 명단에는 작곡가 고 윤이상, 화가 이응로 등 대표적인 예술인도 포함됐습니다.

첫 공판에서 검찰은 468페이지에 달하는 공소장을 각 피고인별로 낭독했습니다. 검사는 공소장 낭독에 앞서 “이 사건은 피고인의 수가 많고 범죄의 질로 보아 우리나라 사법사상 가장 큰 간첩사건”이라고 말했습니다. 검사는 사건의 특수성을 여섯가지로 지적했습니다.

①범인이 많고 범죄의 질로 보아 가장 큰 간첩사건이다

②피고인들이 국내외에 산재한 국제적인 범죄이다

③최고 지성인의 범죄이다

④피고인들은 가정적, 사회적인 지위로 보아 범행을 할 사람이 아닌데 범행을 했다

⑤이들은 자기 정체를 은폐하기 위해 합법적인 지위를 쟁취했다

⑥이들의 범행 착수 동기는 해외에 있음으로써 비밀이 보장된다고 경시했기 때문에 저질러졌다

같은해 12월 관련자 중 34명에게 유죄판결이 내려졌으나, 대법원 최종심에서는 간첩혐의로 유죄판결을 받은 이는 없었습니다. 유학생과 교민들의 강제연행은 서독·프랑스 정부와의 외교적 마찰을 불러왔습니다. 박정희 정부는 1970년 광복절을 기해 서독과 프랑스의 의견을 수용, 사형수를 포함한 사건 관계자를 모두 석방했습니다.

사건의 진실은 40년이 지난 2006년 1월에서야 밝혀졌습니다. ‘국가정보원 과거사건 진실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는 “당시 박정희 정권이 정치적 목적을 위해 대규모 간첩사건으로 사건을 확대, 과장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진실위는 “6·8 부정총선 규탄 시위를 무력화하기 위해 정치적으로 사건을 부풀려 발표했다”고 했습니다.

불법연행은 물론 구타·잠 안재우기 등 수사상의 탄압도 뒤늦게 드러났습니다. 진실위는 “정부는 이 사건 관련자들에게 포괄적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권고했습니다.

<노도현 기자 hyunee@kyunghyang.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서울신문] "청주에서 가장 오래된 전통주 맛보세요"

신선주 20일부터 시판, 1병에 3만원 충북 청주에서 가장 오래된 전통주인 신선주가 시판된다. 청주시는 20여년간 판매가 중단됐던 충북무형문화재 제4호 신선주가 오는 20일쯤 본격 출시된다고 10일 밝혔다. ▲ 400년 역사를 자랑하는 청주 신선주 신선주는 한...

  • 누룩
  • 2019-01-10
  • 조회 수 1254

[서울신문] 폐막걸리로 농작물 병해충 없애는 방법 아시나요? file

입력 : 2023-03-30 11:35 | 수정 : 2023-03-30 11:35 광양시 폐막걸리 10t 이상 농민들에게 무상 배포 성충 신속히 제거···해충 방제에 큰 효과 광양시가 유효기간이 지나 폐기되는 막걸리를 광양주조공사에서 가져온 후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

  • 누룩
  • 2023-03-30
  • 조회 수 1256

소믈리에타임즈 [솜대리의 한식탐험] 전통 막걸리를 만나다

필자가 처음 마신 막걸리는 일명 막사, 사이다와 혼합한 막걸리였다. 대학 입학 직후 술맛을 느낄 새도 없이 주는 대로 마시던 시절, 하루는 선배들이 오늘은 새로운 술이라며 막사라는 것을 내밀었다. 우리 또래도 막걸리를 마시는구나 약간은 의아해하며 한 ...

  • 누룩
  • 2018-01-03
  • 조회 수 1257

'술과 세상에 대한 진지한 대화' file

■ 2014 소금시 ‘소금시-술’ 우리나라 대표시인 220명 술 소재 작품 모아 발간‘ 소금의 역할을 하는 술’을 소재로 2014년 소금시 앤솔로지를 묶었다. 시인 220명이 술을 놓고 쓴 시를 담았다. ‘벗은 설움에 반갑고/님은 사랑에서 좋아라/딸기꽃 피어서 향기...

  • 누룩
  • 2014-12-31
  • 조회 수 1257

[뉴스토마토] '면세점 수혜' 전통주, 겹겹이 경사

전통주 시장에서 입국장면세점 개장과 일본 불매운동이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앞서 주류법 개정으로 가능해진 온라인 판매 증가도 시너지를 내면서 위축됐던 시장이 개선될지 관심이 쏠린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소비자들의 기호 변화로 내리막길을 걸어온 ...

  • 누룩
  • 2019-10-21
  • 조회 수 1257

프레시안 산골 마을에 핀 맥주 꽃을 위하여!

산골 마을에 핀 맥주 꽃을 위하여! [함께 사는 길] 용오름맥주협동조합 2017.08.19 10:33:07 산골 마을에 핀 맥주 꽃을 위하여! .po_warp {width:954px; margin: 0 auto;} .po {float:left; width: 455px; margin:0px 10px;} docume...

  • 누룩
  • 2017-08-23
  • 조회 수 1260

[연합뉴스] 대한민국 우리술 품평회 대통령상에 ㈜술샘 '미르40'

(서울=연합뉴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2018 대한민국 우리술 품평회' 결과 농업회사법인 ㈜술샘의 '미르40'이 대통령상을 받았다고 16일 밝혔다. 농식품부와 aT는 우리 술 품질 향상과 경쟁력 제고, 명품주 육성을 위해 매년 이 ...

  • 누룩
  • 2018-11-16
  • 조회 수 1261

[아시아경제] 강진 ‘병영 소주’ 남도 전통주 품평회 최우수상 수상 file

최종수정 2021.06.02 10:40 기사입력 2021.06.02 10:40 병영양조장 김견식 식품명인의 원칙과 소신으로 전통 방식 그대로 생산 병영양조장 김견식 대표 (사진=강진군 제공) 병영양조장이 위치한 강진군 병영면...

  • 누룩
  • 2021-06-03
  • 조회 수 1261

농식품부, aT 일 도쿄서 막걸리의 날 행사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31일, '막걸리의 날'을 맞아 이날 저녁 일본 도쿄 아오야마 아키텍트카페에서 일본 언론사 및 현지 막걸리 유통업체 관계자들을 초청해 '한일 공동 막걸리의 날'선포식을 갖고 햅쌀막걸리 출시 홍보행사를 개최...

  • 누룩
  • 2013-10-30
  • 조회 수 1269

대한금융신문 [응답하라, 우리술 96]30년 동안 무형문화재 지정된 전통주 고작 ‘34개’

국가 지정 3개, 나머지는 모두 지자체 선정, 그마저도 2016년 이후 전무 <대한금융신문=김승호 편집위원> 중앙 및 지방 정부에서 지역의 고유한 문화를 인정해 지역의 이름있는 명주에게 무형문화재 지위를 부여한 술은 1986년 지정한 이래 모두 34개에 달한다...

  • 누룩
  • 2018-09-17
  • 조회 수 1272

[대한금융신문][응답하라, 우리술110] 끊어진 시장 잇기 위해 술도가 만든 오산의 ‘오매장터’

옛추억 속 양조장 되살려 오색시장 내 양조장 설립한 김유훈 대표 요리술 먼저 출시해 시장 만들고, 올초부터 전통주 판매 나설 계획 ▲ 오산역 인근에 위치한 오색시장은 조선시대부터 있었던 오래된 장터다. 이곳에서 유통업에 종사했던 김유훈 대표는 끊어...

  • 누룩
  • 2019-01-21
  • 조회 수 1273

한국가양주연구소, 2015년 '우리술빚기' 강좌 개강

한국가양주연구소, 2015년 '우리술빚기' 강좌 개강 정보 -->기사입력 2014-12-04 14:12 농림축산식품부 지정 전통주 교육기관 한국가양주연구소(소장 류인수)에서 2015년 1월 '우리술빚기' 과정을 개강한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

  • 누룩
  • 2014-12-05
  • 조회 수 1273

[매일경제 & mk.co.kr]이자카야도 결국…韓 전통주로 바꾼다

사케·日맥주 판매량 저조에 청주·국산맥주·막걸리 판매 "추석 특수 겹쳐 시너지 기대" 전통소주 `화요` 취급 업소도 수도권에서만 14%넘게 늘어강인선 기자 입력 : 2019.09.08 17:23:58 수정 : 2019.09.08 17:39:4 서울 마포구 전...

  • 누룩
  • 2019-09-09
  • 조회 수 1281

[News1 뉴스] 여주 쌀 막걸리 ‘백년향’, ‘참발효어워즈’ 대상 file

2월 18일~3월 13일 서울 노들섬 갤러리서 전시(여주=뉴스1) 김평석 기자 | 2022-01-18 15:47 송고 대왕님표 여주쌀로 빚은 막걸리 '백년향'(업체측 제공) ⓒNews1 농업법인 추연당이 경기 여주시 대왕님 표 여주 쌀로 빚는 전통주 ‘백년향’이 ‘참발효어워즈 ...

  • 누룩
  • 2022-01-25
  • 조회 수 1282

우리 술 막걸리 신韓流 이끈다.

강릉 제조·체험장 ‘방풍도가’ / 외국인 관광객 1100명 방문 ▲ 영농조합법인 자연과사람들이 운영하는 전통주 제조장인 ‘방풍도가’가 외국인 관광객들의 필수 체험 코스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최근 방풍도가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들이 막걸리 체험...

  • 누룩
  • 2014-03-19
  • 조회 수 128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