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서울경제 [오늘밤 酒인공은 나야나] ② ‘술 익는 향기’ 사라진 한국

조회 수 1024 추천 수 0 2017.10.30 20:06:38

[오늘밤 酒인공은 나야나] ② ‘술 익는 향기’ 사라진 한국

-전통주와 절기주


김민혁 기자

2017-10-27 13:51:39

[오늘밤 酒인공은 나야나] ② ‘술 익는 향기’ 사라진 한국



[오늘밤 酒인공은 나야나] ② ‘술 익는 향기’ 사라진 한국


술을 밥 먹듯이 마시던 대학 새내기 시절…. 1차가 끝나고 한 잔 더 마시자는 선배를 따라 학교 앞 전통 술집에 들어섰다. 고즈넉한 분위기에 옛 음악이 흐르는 전통 술집은 첫인상부터 강렬했다. 소주나 먹자던 나의 의견을 묵살하며 선배는 맑은 동동주를 시켰다. 일반 탁주와 달리 투명한 빛깔에 첫맛은 달고 깔끔한 목 넘김에 연거푸 술잔을 비워냈다. ‘우리 술’의 향과 맛에 처음으로 취한 날이었다. 

차례를 모시기 위한 ‘세주’부터 

향기가 매혹적인 ‘매화주’까지 

계절 변화따라 다양한 술 발달 

◇계절마다 달랐던 ‘우리 술의 향’ 

4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는 계절 변화에 따라 세시풍속이 형성되었다. 이에 계절에 맞는 재료를 이용하거나 자연 변화에 따른 술빚기가 발달했다.  

한 해가 시작되는 설날을 시작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 마셨던 계절주는 ‘세주’부터 시작된다. 차례를 모시기 위한 술인 만큼 선조들은 정성을 다해 술을 빚었다. ‘세주’는 차례상을 물리고 나서 온 가족이 한 잔씩 술을 나눠 마셨다. 정월의 또 다른 절기주로는 ‘귀밝이술(이명주)’이 있다. 대보름날 가족 모두가 한 잔씩 마시면 1년 내내 귓병이 없고 귀가 밝아진다고 한다. 강남에 간 제비가 돌아온다는 삼짇날이 되면 진달래를 따다 화전도 빚고 두견주를 빚었다. 청명, 한식일에는 찹쌀로 빚은 청명주로 조상의 묘를 찾았다. 봄의 기운이 가장 왕성한 단오날에는 잘 익은 ‘부의주’에 창포뿌리를 넣어 숙성시킨 ‘창포주’로 하루를 즐겼다. 

더워지기 시작하는 6월 6일은 유두일로 이날 마시는 절기주는 ‘농주’다. 전국적으로 빚어 마시는 ‘동동주’와 ‘막걸리’가 대부분으로 단오날 마시고 남은 창포주를 걸러 만든 막걸리를 즐기기도 했다. 

무더위가 한풀 꺾여 서늘해질 무렵이면 가장 큰 명절인 한가위가 돌아온다. 한가위에는 차례상에 올릴 술이며 떡을 빚는데 햅쌀로 빚은 술을 ‘신도주’ 또는 ‘햅쌀술’이라고 한다. 또 가을이 깊어지는 9월 중앙절에는 야생 황국을 넣어 만든 국화주를 즐겼다. 

겨울에는 매화주를 즐겼다. 엄동설한의 고난을 이기고 만개한 매화는 향기가 매혹적이다. 잘 빚어 빛깔이 밝고 맑은 술에 매화가 동동 떠 있는 매화주는 선비의 마음을 사로잡은 최고의 술이었다.

이렇듯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절기주들은 특별한 목적으로 빚은 술 아니면 대개가 가향주 성격이 강하다.  

일제강점기 조선주세령 발표로 

허가받은 양조장 외 술 못 빚어 

탁주·희석식 소주가 시장 점령 



◇잃어버린 ‘우리 술의 향’ 

반만년 역사 동안 찬란하게 발전해온 우리 술. 우리나라 술은 크게 나누어 탁주, 약주, 소주의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금주정책으로 술에 대한 과세나 전매 제도가 없었다. 따라서 집에서 술을 빚어 마시는 가양주 문화가 번성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로 넘어오면서 조선주세령이 발표되었다. 이에 양조면허를 받은 양조장을 제외한 술을 빚는 것이 금지되고 주세를 부과했다. 이 때문에 우리 민족의 감칠맛을 돋워줬던 ‘우리만의 누룩’은 사라지고 말았다. 또한 왜식청주(정종), 맥주, 양주 등 외래주가 대거 유입되었다.

1945년 광복을 맞았지만 우리 술은 더욱 피폐해졌다. 한국전쟁으로 인한 경제적 곤궁, 청산되지 못한 일본식 제도의 잔재의 여파 때문이다. 탁주가 양적 팽창을 했고 희석식 소주가 시장을 점령했다. 질적 성장보단 외형만 커진 셈이다. 그로 인해 우리의 진정한 전통술은 거의 명맥이 끊어져 버렸다. 다행히 1980년대 이후부터 불합리한 규제와 제약이 조금씩 해소되어 전통술 50여종이 재현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업장이 영세하고 전문 양조기술과 영업력 부재로 찬란했던 전통 가양주 문화가 복원되기에는 힘든 실정이다. 그나마 1995년부터 술을 개인이 빚어 마시는 것이 허용된 점이 위안이 된다. 

이강주·소곡주·안동소주 등 

지역별로 명맥 이어온 술 많아 

양조장서 다양한 체험행사도 



◇명맥을 이어온 전통술 

이강주, 한산소곡주, 안동소주, 오메기술… 아직 우리 주변에 많은 전통주들이 지역별로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경기도를 대표하는 술로는 ‘군포당정옥로주’와 ‘남한산성소주’다. ‘군포당정옥로주’는 찹쌀과 율무로 빚은 경기도 지방의 전통술로 술을 빚을 때 증기가 액화되는 과정에서 옥구슬 같은 이슬방울이 떨어진다고 해서 이름 붙여졌다. ‘군포당정옥로주’는 유씨 가문에서 1880년경부터 만들어 먹던 가양주라고 한다. 역사가 무려 400년이 넘는다고 알려진 ‘남한산성소주’는 알코올 도수가 40도에 달하지만 부드러운 맛이 일품이다. 선조 때 전쟁에 대비해 남한산성을 축조하면서 이때부터 빚어졌다고 알려져 있다. 

‘옥선주’는 강원도 지역에서 만들어진 전통주로 옥수수와 쌀로 발효하여 칡으로 숙성시킨 술이다. 알코올 농도 40%의 증류식 순곡주로 술 특유의 쓴 맛은 없고 그윽한 곡향이 입안 가득 감돌면서 시원하고 화한 맛을 느낄 수 있다. 

충청도를 대표하는 ‘한산소곡주’는 삼국시대 백제의 궁중 술로 1,500여 년의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 술을 빚던 며느리가 확인 차 젓가락으로 찍어 먹었는데 그 맛이 좋아 계속 먹다 취해 일어나지 못했다는 일화가 있다 하여 ‘앉은뱅이 술’이라고도 불린다. 찹쌀과 누룩을 주원료로 들국화, 메주콩, 생강, 홍고추 등을 넣고 100일간 숙성을 하여 빚는다. 

경상도에는 널리 알려진 ‘안동소주’가 있다. ‘안동소주’는 접객용뿐 아니라 상처, 배앓이, 식욕부진, 소화불량 등에 좋아 약용으로 쓰였다. 고유의 곡향과 깔끔한 뒷맛이 외국 사람의 입맛에도 좋아 널리 사랑받는다. 

조선 3대 명주로 유명한 ‘이강주’는 전라도를 대표한다. 전주의 ‘이강주’는 6대를 이어온 전통 가양주로 토종 소주에 배, 생강, 강황, 계피를 넣고 꿀을 가미해 만드는 전통주다. 조선 중기부터 전라도와 황해도에서 제조되었고 오래 묵힐수록 맛과 향이 좋아진다.

논이 흔하지 않은 제주도에서는 쌀이 귀했기 때문에 차조를 이용해서 술을 만들었다. 가장 대표적인 제주 지역의 전통주가 시도무형문화재 제주도 제3호로 지정된 ‘오메기술’로 차조로 만드는 오메기 떡에서 유래하였다. 일명 강술이라고도 불린다. 

그 외에도 문배술, 죽력고 등 다양한 전통술들이 우리 곁에 남아있다.

[오늘밤 酒인공은 나야나] ② ‘술 익는 향기’ 사라진 한국
전통주갤러리 강남점 전경. /사진출처=전통주갤러리 강남점 홈페이지



현재 전국의 양조장들은 대개 전통술갤러리나 박물관을 운영하고 있다. 그 곳에서 다양한 시음 및 체험행사를 진행한다. 이번 주말 가족과 함께 전통술을 빚어보고 ‘우리 술’의 향과 맛에 취해보면 어떨까. 

/김은강·김민혁기자 kawa02@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문보기:   http://www.sedaily.com/NewsView/1OMGSWY2CB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뉴데일리 “명품 전통주를 찾습니다” … aT, 8일까지 탁주·약주·과실주 공모

오는 11월 23일부터 25일까지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리는‘대한민국 우리술 품평회‧대축제’를 앞두고 농식품부와 aT가 우수 전통주를 10월 8일까지 공모 중이다. 공모 분야는 ▲탁주 ▲약주·청주 ▲증류주 ▲과실주 ▲기타 주류 총 5개 분야다. 각 분...

  • 누룩
  • 2018-10-01
  • 조회 수 1040

[한겨레][ESC] 아마 세종대왕도 즐겨 마시지 않았을까? file

'2019 우리술 품평회’ 대통령상 받은 ‘세종대왕 어주’ <산가요록> 주방문에 저온숙성 기법 더해 깊고 단정한 맛에 고급스러운 향 올라와 미쉐린 가이드 레스토랑에도 잇달아 납품 ▶ 2019 대한민국 우리술 품평회에서 약·청주 부문 대상과 함께 최고상인 대통...

  • 누룩
  • 2020-01-29
  • 조회 수 1037

[한겨레] 술 빚는 두 청년은 왜 짐 로저스의 투자를 거절했나 file

입력2022.12.26. 오전 5:03 수정2022.12.26. 오전 7:21 대전 청년 양조장 ‘으능정이부루어리’ 이야기 으능정이부루어리의 민재명 대표(왼쪽)와 황주상 이사가 지난 22일 대전 중구 은행동의 양조장에서 술과 쌀을 들고 환하게 웃고 있다. 최예린 기자 “...

  • 누룩
  • 2022-12-27
  • 조회 수 1036

"천연 발효식초, 신성장동력산업으로"

순창군이 천연발효식초 산업을 신성장동력산업으로 육성한다고 밝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 군은 지난 21일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회의실에서 장류사업소와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공동으로 순창 발효식초산업 육성을 위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 누룩
  • 2014-11-03
  • 조회 수 1035

경북 23개 시군 '전통주' 한자리에 모인다.

'2014 경상북도 민속주&막걸리 페스티벌'이 10~12일 문경시민운동장 주차장 특설행사장에서 열린다. 이번 페스티벌을 위해 경북 민속주의 품질고급화를 촉진하고 제품의 우수성과 다양성을 적극 홍보해 대중적 소비기반을 확대하기 위해 마련됐다. 2011년...

  • 누룩
  • 2014-10-08
  • 조회 수 1034

오비맥주, 24일 '카스 할로윈 파티' 개최

"대한민국 넘버원 맥주 브랜드 '카스'가 할로윈 파티에 초대합니다." 오비맥주(대표 장인수)는 대한민국 넘버원 맥주 브랜드 '카스 후레쉬(Cass Fresh)'가 24일 홍대 클럽 엠투(M2)에서 할로윈을 주제로 '카스 할로윈 파티(Cass Halloween Party)'를 연다고 밝...

  • 누룩
  • 2014-10-22
  • 조회 수 1032

BRAVO 술에 대한 명상, 고전에서 걸러낸 술 이야기

술에 대한 명상, 고전에서 걸러낸 술 이야기 2017-09-30 16:44 | 글·사진 황광해 맛 칼럼니스트 bravo@etoday.co.kr 말하자면, 그때도 “오빠 믿제, 한잔해?”라는 말이 있었다는 뜻이다. 2천여 년 전, 고구려 건국 전이다. 주인공은 천제의...

  • 누룩
  • 2017-10-17
  • 조회 수 1032

[조선비즈][박순운의 술기행](91) "가족들과 함께 마실 술 만든다는 마음으로 술 빚어요." file

경기도 여주의 지역특산주 양조장 '술아원' 강진희 대표 과하주, 고구마소주, 복분자 약주. 막걸리 등 제품 라인업 풍성 술지게미 처리 고민하다가 '복분자 그라빠'도 만들어 여주산 수수로 만든 '한국형 고량주' 증류주 개발도 막바지 술아원...

  • 누룩
  • 2023-03-16
  • 조회 수 1031

향긋한 전통주 빚으며 성숙해진 기도의 삶

장인정신 이진태 대표 수습기자 시절 한 선배가 해준 말이 기억난다. 평소 술을 잘 먹지 않았던 그 선배는 기자와 동기에게 술을 따라주면서 말했다. “술은 좋은 사람과 마시면 약이 ...

  • 누룩
  • 2021-04-23
  • 조회 수 1031

[뉴시스][세법시행령]전통주 싸지나…온라인판매 과세표준 소매→도매가로 file

기획재정부, '2019년 세법개정 후속 시행령 개정안' 발표 기재부 관계자 "이번 개정으로 전통주 세부담 50% 감소 예상" 中企 손금산입 확대…해외법인 파견 주재원 인건비 비용처리 세종=뉴시스] 위용성 기자 = 앞으로 전통주의 온라인 판매가격이 낮아질...

  • 누룩
  • 2020-01-08
  • 조회 수 1031

연합뉴스 막걸리 우수성 日서 입증…"구연산·유산 등 니혼슈보다 많아"

막걸리 우수성 日서 입증…"구연산·유산 등 니혼슈보다 많아" 송고시간 | 2017/11/16 15:06 도쿄농대 가즈오카 교수팀…"효모·유산균 모두 함유해 니혼슈·와인과 차별" (도쿄=연합뉴스) 김병규 특파원 = 한국의 막걸리가 맛과 영양 면에서 일본...

  • 누룩
  • 2017-11-21
  • 조회 수 1031

즐기는 문화체험 된 전통주, 지속적인 사후관리가 숙제

즐기는 문화체험 된 전통주, 지속적인 사후관리가 숙제 '찾아가는 양조장' 사업 2년…18개소 지정 안정궤도 진입 [2740호] 승인 2015.07.28 ▲ 여러 가능성을 열어준 찾아가는 양조장 사업이 올해로 3년차를 맞은 가운데 향후 과제에 대한 보완도 요구되고 있다....

  • 누룩
  • 2015-07-30
  • 조회 수 1031

매일경제 2030세대 송년 모임에 등장한 전통주

홈플러스에 마련된 전통주 코너 '대부도 포도주'로 유명한 '그랑꼬또'를 생산하는 그린영농조합의 김지원 대표(52)는 올 연말 밀려드는 주문량에 눈코 뜰새 없이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한산했던 작년 양조장의 모습은 불과 1년새 온데간데 없어졌다. ...

  • 누룩
  • 2017-12-26
  • 조회 수 1030

[대한금융신문] [응답하라,우리술 280] 안동소주, 칠백년 음식 유산 file

입력 2023.01.07 09:00 740년 안동소주 역사와 8개 안동소주 기록 안동의 미래 볼 수 있는 종택 가양주도 소개 직접 밀 농사를 지으면서 그 밀로 소주를 내리는 농부이자 양조인 박성호 씨가 자신이 뿌리를 내리고 있는 안동지역의 소주에 관한 책을 펴...

  • 누룩
  • 2023-01-09
  • 조회 수 1029

[조선비즈] “많이 팔면 손해” … 전통주 ‘피터팬 증후군’ 유도하는 酒稅 file

전통주 세제 혜택, 기업 규모 커지면 사라져 “소규모 맥주제조사와 세제 형평성 어긋나” 기재부 “세법개정안에 전통주 세금 감면 확대 포함 않을 것” “전통주에 온라인 판매 허용...통상 마찰 문제 발생 가능성도” 강원 평창에서 증류주를 제조해 판매...

  • 누룩
  • 2023-07-26
  • 조회 수 102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