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우자(牽牛子, 나팔꽃씨)

조회 수 2389 추천 수 1 2005.10.31 16:20:47
제목 : 견우자(牽牛子, 나팔꽃씨)  



성질은 차고[寒] 맛은 쓰며[苦] 독이 있다. 기를 잘 내리며 수종(水腫)을 낫게 하고 풍독을 없애며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하고 찬 고름을 밀어내고 고독을 없애며 유산시킨다.

○ 흰 것은 백축(白丑)이라 하고 검은 것은 흑축(黑丑)이라 한다. 이 약이 처음 밭과 들판에 났는데 어떤 사람이 소를 끌고 다니면서 이 약을 경솔하게 여겼기 때문에 견우자라 한 것이다. 음력 9월 이후에 씨를 받는다[본초].

○ 기(氣) 속에 습열을 사한다. 기병에 쓰는 약으로 인경하면 기에 들어가고 대황으로 인경하면 혈에 들어간다.

○ 검은 씨, 흰 씨 두가지 종류가 있는데 흰 씨는 금(金)에 속하고 검은 씨는 수(水)에 속한다. 그의 성질이 맹렬하고[烈] 잘 퍼져 나가는 것이 여러 가지 매운 약들보다 더욱 심하다. 술에 버무려 6시간을 찌거나 볶아 익혀서 매 600g에서 맏물가루 160g을 내어 쓴다. 생것은 약효가 더욱 빠르게 나타난다[입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가입인사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06-11-07 11265
85 이엽(梨葉, 배나무잎) [1] 2006-02-11 2114
84 우엽(芋葉, 토란잎) 2006-02-11 2256
83 동규엽(冬葵葉, 돌아욱잎) [1] 2006-02-11 2138
82 홍촉규엽(葉, 홍촉규잎) 2006-02-11 1955
81 현경엽( 莖葉, 비름의 줄기와 잎) [1] 2006-02-11 2177
80 물의 품질에 대하여[論水品] 2006-02-17 1841
79 한천수(寒泉水, 찬샘물) 2006-02-17 2249
78 정화수(井華水, 새벽에 처음 길은 우물물) 2006-02-17 2079
77 국화수(菊花水, 국화 밑에서 나는 물) 2006-02-17 2082
76 납설수(臘雪水, 섣달 납향에 온 눈 녹은 물) 2006-02-20 2108
75 고려수지침요법학회의 자료협조 [1] 2006-02-21 4343
74 춘우수(春雨水, 정월에 처음으로 내린 빗물) 2006-02-21 2351
73 방제수(方諸水, 조개껍질을 밝은 달빛에 비추어 가지고 그것으로 받은 물) 2006-02-27 2239
72 매우수(梅雨水, 매화열매가 누렇게 된 때에 내린 빗물) 2006-02-27 2411
71 옥유수(屋 水, 볏짚 지붕에서 흘러 내린 물) [1] 2006-02-27 2065
70 천남성(天南星) [2] 2006-02-27 2805
69 나미( 米, 찹쌀) 2006-03-08 2022
68 갱미(粳米, 멥쌀) 2006-03-08 1960
67 대황(大黃) 2006-03-12 2121
66 사삼(沙參, 더덕) 2006-03-12 221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