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화(紅藍花, 잇꽃,싹,씨)

조회 수 2243 추천 수 1 2005.10.31 16:06:40
제목 : 홍남화(紅藍花, 잇꽃)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은 매우며[辛] 독이 없다. 몸푼 뒤의 혈훈(血暈)과 뱃속에 궂은 피[惡血]가 다 나가지 못하여 쥐어 트는 듯이 아픈 데와 태아가 뱃속에서 죽은 데 쓴다.

○ 즉 지금의 홍화(紅花)이다. 이것으로 진홍색으로 물들이며 연지를 만든다. 잎은 쪽(藍)과 비슷하기 때문에 쪽 ‘남(藍)’자를 붙인 것이다[본초].

○ 잇꽃을 약에 넣을 때에 0.8g이면 심(心)에 들어가서 양혈(養血)하고 많이 쓰면 피를 헤친다. 또 많이 쓰면 피를 헤치고[破] 적게 쓰면 보혈(補血)한다고 한다[단심].  


제목 : 홍남묘(紅藍苗, 잇꽃싹)  



짓찧어서 유종(遊腫)에 붙인다.

[註] 유종(遊腫) : 피부병의 한 가지. 다발성 피하농양을 말한다고 본다.  



제목 : 홍남자(紅藍子, 잇꽃씨)  



마마와 홍역 때 구슬과 꽃이 시원이 돋지 않는 것을 나오게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가입인사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06-11-07 11408
125 누호(蔞蒿, 물쑥) 2005-09-27 2512
124 통초자(通草子, 통초열매) 2005-08-29 2493
123 하수오(何首烏) 2006-05-13 2467
122 상각(橡殼, 도토리껍질) 2006-10-24 2463
121 매우수(梅雨水, 매화열매가 누렇게 된 때에 내린 빗물) 2006-02-27 2462
120 죽력(竹瀝, 참대기름) 2006-04-24 2461
119 애엽(艾葉, 약쑥잎) 2006-04-10 2456
118 작약(芍藥, 함박꽃뿌리) 2005-10-31 2436
117 포도근(葡萄根, 포도나무뿌리) 2005-09-16 2436
116 매실(梅實, 매화열매) 2006-07-19 2412
115 동행근(東行根, 동쪽으로 뻗은 앵두나무뿌리) 2005-09-16 2410
114 귤피(橘皮, 귤껍질) 2005-12-31 2407
113 목두채(木頭菜, 두릅나물) 2006-07-19 2404
112 복령(茯 , 솔풍령) 2006-05-13 2403
111 청량미(靑梁米, 생동쌀) 2005-09-27 2403
110 견우자(牽牛子, 나팔꽃씨) 2005-10-31 2392
109 옥정수(玉井水, 옥이 있는 곳에서 나오는 샘물) 2007-02-11 2391
108 물의 품질에 대하여[論水品] 2006-10-24 2390
107 지황주에 들어가는 "지황" [2] 2006-03-31 2389
106 목향(木香) 2006-03-13 238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