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아시아경제 [와인이야기]병 밑에 가라앉은 이 찌꺼기는 뭐지?

조회 수 1202 추천 수 0 2017.07.11 17:00:22

[와인이야기]병 밑에 가라앉은 이 찌꺼기는 뭐지?

최종수정 2017.06.30 10:35 기사입력 2017.06.30 10:35

알코올 증가로 생긴 침전물 '주석' 
발효과정에서 많이 생기지만  
완성된 와인에서도 조금씩 생성 



김준철 한국와인협회 회장

코르크를 따면 안쪽에 반짝이는 물질이 묻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와인 병 밑에 가라앉은 찌꺼기도 있다. 이를 주석(酒石)이라고 부른다. 주석산(Tartaric acid)과 칼륨이 결합해 생긴 물질이어서 주석산염이라고 부르지만 그냥 짧게 '주석'이라고 하면 된다. 국어사전에도 주석이란 '포도주를 만들 때 알코올이 증가함에 따라 침전해 생기는 물질. 불순한 산성 주석산칼리가 주성분으로 주석산의 제조 원료가 됨'이라고 쓰여 있다. 참고로 염이란 산과 알칼리가 반응해 생기는 물질을 말한다. 
 
포도에는 여러 가지 산이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산이 주석산이다. 이 주석산은 포도에만 존재하는 특이한 것으로 온대지방의 다른 과일에는 없는 것이다. 이것이 칼륨이나 칼슘과 결합하고 침전을 형성해 점점 커져서 와인 병에 모래 같은 입자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 주석은 꼭 와인에서만 나오는 것은 아니다. 포도주스를 만들 때도 엄청난 양이 나온다. 왜냐면 포도주스에는 이 물질이 과포화상태, 즉 원래 녹아있어야 할 양보다 더 많이 녹아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약간의 충격만 있으면 쉽게 입자가 생성돼 점점 커진다. 

이 주석은 물에는 그런대로 많은 양이 녹아있을 수 있지만, 알코올에는 잘 녹지 않기 때문에 알코올이 생성되는 발효가 끝나면 이스트 찌꺼기와 함께 많은 양이 가라앉게 된다. 그리고 완성된 와인에서도 조금씩 끊임없이 주석 입자가 가라앉는다. 어느 정도 안정 기간을 거치지 않고 와인을 바로 병에 넣으면 병 안에서 많이 생긴다. 또 와인을 탱크에 오래 저장하면 누룽지 모양으로 탱크 코너 부분에 부착되기도 한다. 조심스럽게 떼어내면 레드와인의 경우는 자수정 같이 예쁜 색깔로 장식용으로 쓸 만한 모양이 나오기도 한다. 

그러니까 이 주석은 와인의 색깔에 따라서 레드와인은 검붉은색, 화이트와인은 누런색을 보인다. 병에 들어가서는 레드와인은 잘 안보이지만, 화이트와인은 맑은 결정으로 아름답게 보일 수도 있다. 그래서 '와인의 꽃'이라는 표현도 사용한다. 이것이 몸에 해롭지 않다고는 하지만 와인 마실 때 좋지 않은 감촉을 유발하므로 와인을 만드는 사람은 될 수 있는 한 이것을 완벽하게 제거해야 한다. 또 이 주석은 한번 결정이 되면 물에 잘 녹지 않기 때문에 우리 몸에 들어가면 돌이나 모래를 삼키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이 주석을 제거하는 방법은 몇 가지가 있지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 냉동이다. 이 주석은 온도가 낮으면 더 잘 생기기 때문에, 일부러 온도를 낮춰 많이 생성되도록 유도해 제거하는 것이다. 옛날에는 한겨울을 지나면서 저장탱크의 온도가 떨어져 자연히 이 상황을 유도할 수 있었다. 그때는 와인을 주로 오크통 단위로 운반했기 때문에 별 문제가 없었지만 와인을 병에 넣어 운반하면서 문제가 거론되기 시작한 것이다. 

냉동으로 제거하는 방법은 와인이 얼지 않을 정도의 가장 낮은 온도에서 수주일 이상 둔 다음, 온도가 올라가기 전에 여과해 가라앉은 주석을 제거하는 식이다. 그러나 이것도 완벽한 방법은 아니다. 와인을 아주 오래 보관하면 서서히 또 생긴다. 그래서 오래된 와인을 따보면 코르크에 반짝반짝하는 주석입자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병 아래쪽에 많은 양이 가라앉아 있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디캔팅이라는 방법으로 이 침전물을 제거하고 와인을 마시는 것이다.

완벽한 제거는 시간밖에 없다. 와인을 만드는 사람은 이 주석이 아무리 몸에 해를 끼치지 않는다 하더라도 없애는 것이 상도덕이다. 샴페인도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해서 병을 돌리고 냉동시키는 등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 와인에는 맛이나 영양도 중요하지만 아름다움을 즐기는 것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김준철 한국와인협회 회장 


원문보기: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706301005146554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신아일보]은평 응암오거리 전통주 특화상권 캐릭터 공모전 개최 file

[만19세 이상의 전국민 누구나 참여 가능…총 상금 550만원] 서울 은평구가 '응암오거리 전통주 특화상권' 조성에 대한 주민 인식을 제고하고 우수한 홍보 콘텐츠를 확보하기 위해 지난 10일부터 오는 8월9일까지(공고) 캐릭터 공모전을 개최하고 있다고 14일 ...

  • 누룩
  • 2019-07-16
  • 조회 수 1220

대한금융신문 [응답하라, 우리술 77]박제화 된 마지막 주막 경북 예천 ‘삼강 주막’

회룡포길 낙동강·내성천·금천 만나는 나루터에 길손 맞는 주막 술과 음식 같이 내는 우리 술 문화, 하우스막걸리로 복원 기대 ▲ 지난 2005년까지 오가는 길손에게 술과 안주를 내주었던 삼강주막. 지금은 문화재로 지정돼 지방정부의 관리를 받고 있다. 하지만...

  • 누룩
  • 2018-04-24
  • 조회 수 1219

[투데이코리아] 농식품부, ’우리술 품평회‘로 최고의 우리술 선발 file

한지은 기자 2020.09.16 10:12 우리 농산물 활용 제품 다수 선정 ▲ 우리술 품평회 전체 수상작. 사진제공=농림축산식품부 투데이코리아=한지은 기자 |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2020년 대한민국 우리술 품평회‘를 통해 올해 최고의 우리술을 ...

  • 누룩
  • 2020-09-18
  • 조회 수 1218

시장경제신문 문배술 '23도 저도수'로 날개... 전통주 계승 앞장 설 것

"문배술 '23도 저도수'로 날개... 전통주 계승 앞장 설 것"[시경초대석] 문배술 이승용 전수자 인터뷰 ‘문배술’에서 ‘전통주’의 미래를 만나다 정규호 기자 승인 2017.12.10 09:24 지난 6일 방문한 문배술 양조원의 첫 이미지는 현대식 창고의 모...

  • 누룩
  • 2017-12-14
  • 조회 수 1217

"분명 막걸린데… 맥주맛이 나네"

이범구기자 ebk@hk.co.kr <경기농업기술원 개발> 전통주인 막걸리와 맥주를 접목시킨 '맥주맛 막걸리'가 개발돼 내년 시판에 들어간다. 경기도농업기술원(원장 임재욱)은 23일 화성시 농업기술원 상황실에서 가평군에 위치한 ㈜우리술(대표 박...

  • 누룩
  • 2013-12-30
  • 조회 수 1217

시사저널 ‘서민의 술’ 막걸리, 이제는 고급 전통주로 탈바꿈해야

막걸리에 대한 표준화 시급…첨가물 없이 국내산 쌀로만 빚어야 무술(戊戌)년 황금개띠해가 밝았다. 2월16일 민족 최대 명절인 설이 기다리고 있다. 설 하면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차례상이다. 떡국을 시작으로 갖가지 전과 나물 등 설날에 먹어야 제맛인 음...

  • 누룩
  • 2018-02-27
  • 조회 수 1216

고양신문 “반갑다 친구야, 맛 좋구나 우리 막걸리”제15회 대한민국 막걸리축제 성대하게 개최

“반갑다 친구야, 맛 좋구나 우리 막걸리”제15회 대한민국 막걸리축제 성대하게 개최 18만 명 참가, 전국팔도 100여 종 막걸리 즐겨 맛있는 먹거리와 다양한 공연도 풍성 일산문화공원 곳곳에 돗자리를 깔고 앉아 막걸리와 먹거리를 즐기고 있는 참가...

  • 누룩
  • 2017-10-20
  • 조회 수 1211

삼성그룹 신임임원 만찬주 2년째 '복분자주' 선택 왜?

삼성그룹 신임임원 만찬주 2년째 '복분자주' 선택 왜? 입력: 2016.01.19 12:04 / 수정: 2016.01.19 16:38 이재용 부회장은 18일 오후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린 삼성 신임 임원 만찬에서 복분자주로 건배를 제의했다. /더팩트 DB [더팩트ㅣ장병문 ...

  • 누룩
  • 2016-01-21
  • 조회 수 1210

뉴스1 평창 성공을 위한 '막걸리 건배'

(서울=뉴스1) 오대일 기자 - 이낙연 국무총리(왼쪽 세번째)가 10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2018 평창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대회 성공을 위한 후원기업 신년다짐회'에서 (왼쪽부터)신동빈 롯데 회장, 허창수 전경련 회장, 이희범 조직위원장과 ...

  • 누룩
  • 2018-01-11
  • 조회 수 1208

서경덕 교수, 송일국과 막걸리 홍보.."전통주 살릴것"

서경덕(왼)과 송일국 / 사진제공= 서경덕 --> 한국 홍보전문가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배우 송일국과 막걸리 홍보에 나선다. 서 교수는 28일 "'막걸리 유랑단'을 조직해 오는 4월 초부터 전국 유명 전통시장을 방문하고 각계 유명인사들을 초청해 토크쇼를 ...

  • 누룩
  • 2014-03-28
  • 조회 수 1206

[단독] 1100년 전통 '대구 하향주' 해외매각 위기

대구시 무형문화재 11호 보유자가 빚고 있는 1100년 역사의 전통주 `하향주(荷香酒)`가 해외 자본에 넘어갈 위기에 처했다. 대구 달성군 유가읍에 위치한 하향주 제조 공장이 경영난에 빠지면서 제품 생산에 어려움을 겪자 중국인과 일본인 등이 거액의 ...

  • 누룩
  • 2021-04-26
  • 조회 수 1204

[조선비즈] 골프 대신 전통주 빚는 길 택한 22살 청년농부...김담희 청년창업농

"친구랑 자주 못놀아 서운하지만 전통주 빚는 것도 아주 재미있죠" "친구들하고 자주, 오래 놀고 싶은데 술 만드느라 놀 시간이 아주 ‘많이 많이’ 부족하죠. 그 점만 빼면 술 빚는 일이나, 사람들 만나 내가 만든 술을 소개하고, 파는 일은 너무 재미있어요." ...

  • 누룩
  • 2020-01-13
  • 조회 수 1202

아시아경제 [와인이야기]병 밑에 가라앉은 이 찌꺼기는 뭐지?

[와인이야기]병 밑에 가라앉은 이 찌꺼기는 뭐지?최종수정 2017.06.30 10:35 기사입력 2017.06.30 10:35 알코올 증가로 생긴 침전물 '주석' 발효과정에서 많이 생기지만 완성된 와인에서도 조금씩 생성 김준철 한국와인협회 회장코르크를 따면 안쪽...

  • 누룩
  • 2017-07-11
  • 조회 수 1202

[토요일에 만난 사람]“500년 이어온 우리의 맛, 막걸리 한잔 하실래요?”

[토요일에 만난 사람]“500년 이어온 우리의 맛, 막걸리 한잔 하실래요?” 박창규 기자 입력 2016-01-16 03:00:00 수정 2016-01-16 04:38:47 막걸리 명인’ 금정산성토산주 유청길 대표 유청길 금정산성토산주 대표가 한창 건조 중인 누룩을 들어 보였다. 유 ...

  • 누룩
  • 2016-01-18
  • 조회 수 1201

[서울신문] 폐막걸리로 농작물 병해충 없애는 방법 아시나요? file

입력 : 2023-03-30 11:35 | 수정 : 2023-03-30 11:35 광양시 폐막걸리 10t 이상 농민들에게 무상 배포 성충 신속히 제거···해충 방제에 큰 효과 광양시가 유효기간이 지나 폐기되는 막걸리를 광양주조공사에서 가져온 후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

  • 누룩
  • 2023-03-30
  • 조회 수 119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