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시장경제신문 뽀얀 막걸리가 황금빛 맥주보다 고급인 이유

조회 수 1931 추천 수 0 2017.04.17 12:09:58



뽀얀 막걸리가 황금빛 맥주보다 고급인 이유

세금 떼고 붙으면 3~4배 고급주(高級酒) 

  

정규호 기자

승인 2017.04.13 06:36


배상면주가 양조장. 사진=한국막걸리협회

[시경 春특집①] 봄이 찾아오자 비가 내리기 시작했다. 창밖으로 주르륵 주르륵 내리는 빗줄기와 빗소리를 들으면 생각나는 것이 있으니 바로 ‘막걸리’다. 주류 중 막걸리만큼이나 비와 어울리는 벗(友)은 찾기 힘들다. 비를 벗 삼아 파전과 함께 한 잔 한 잔 막걸리를 마시다보면 어느새 분위기에 취하고, 술에 취한다.

막걸리는 고려시대부터 내려온 우리의 전통주이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서민들의 애환과 함께 성장해 왔다. 지금은 한국을 넘어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는 이 ‘막걸리’를 시경 봄 특집으로 준비했다. 역사부터 제조·유통 과정, 어울리는 안주, 세금 등 막걸리에 대한 모든 것을 알아보자.

◇ 알고보면 진정한 고급주 ‘막걸리’

막걸리가 싸다는 인식은 매우 잘못된 ‘선입견’이다.

‘막걸리’이라는 명칭과 이미지만 생각하면 막 마신다는 느낌과 서민 주류로 인식돼 싼 술로 인식될 수 있다. 그러나 ‘주류세’를 떼고 보면 매우 고급술이라는 쉽게 것을 알 수 있다.

막걸리와 맥주의 시판 가격은 비슷하지만 주류세는 아주 큰 차이를 보인다. 맥주와 소주의 현 세금은 72%다. 소주‧맥주와 막걸리의 가격이 1,000원이라고 가정할 경우 소주와 맥주는 720원이 세금이고, 280원이 원가다.

반면 막걸리의 주류세는 5%이므로 50원이 세금이고, 950원이 원가다. 결국 ‘주류세’를 제외하고 원가만 계산하면 막걸리는 맥주‧소주 보다 약 3.5배 비싼 술이 된다.

반대로 막걸리에 맥주‧소주와 똑같은 세금을 부과하면 몇 배는 비싼 술이 된다. 심지어 프리미엄 막걸리 등은 양주와 대결이 가능한 술로 자리를 잡을 수 있다.

‘주류세’를 제외하고 원가만 계산하면 막걸리는 맥주-소주 보다 약 3.5배 비싼 술이 된다.

한편, 주류업계에서는 청주가 막걸리보다 고급지다는 의견을 놓고 양분돼 있다.

한쪽은 제조 시간이 길고 제조과정이 복잡하므로 고급하다고 주장하지만 한쪽에서는 한 독에서 나온다는 점, 제조과정 복잡성은 똑같다는 점, 단순히 물을 섞기 때문에 막걸리의 양이 많다는 점 등의 이유로 고급스러움은 비슷하다는 주장이다.

◇ 막걸리, 동동주, 청주는 ‘3형제’다

막걸리와 동동주 그리고 청주는 한 부모(=독)안에서 태어났다. 막걸리의 본명은 ‘막 걸러낸 술’이다. 쌀로 밥을 짓고, 거기에 누룩과 물을 더해 알코올 발효를 시킨 후 얇은 포 등으로 맑게 걸러내지 않고 ‘막 걸러서 낸 술’이 ‘막걸리’다.

동동주는 소량의 쌀알이 동동 뜨는 독 윗 쪽에 자리를 잡고 있는데, 그 부분이 바로 쌀알이 동동 떠 있다고 하여 ‘동동주’가 된다. 색깔은 막걸리보다 맑고, 투명함이 있다.

만일 어느 주점에 가서 동동주를 판매하는데, 쌀이 안 떠 있고, 색깔도 탁하다면 그것은 동동주가 아니라 막걸리다. 상당수의 주점에서 동동주와 막걸리를 똑같은 술로 판매하고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그리고 그 술을 아주 맑게 걸러낸 것이 ‘청주’다. 청주는 용수(술을 거르는 데 쓰이는 싸리나 대나무로 만든 둥글고 긴 통)를 사용해 만든다. 독 안에 용수를 넣으면 그 안으로는 맑고 투명한 술이 모이는데, 바로 그것이 ‘청주’가 된다.

동동주는 소량의 쌀알이 동동 뜨는 독 윗 쪽에 자리를 잡고 있는데, 그 부분이 바로 쌀알이 동동 떠 있다고 하여 ‘동동주’가 된다. 사진=시장경제신문

한편, 막걸리는 세계적인 고급술로 평가받을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 그 중심에는 아주 좋은 ‘수(水)’를 사용한다는 장점이 숨어 있다.

위스키나, 와인, 고량주 등의 제조 과정을 보면 물이 좋지 않기 때문에 증류수를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막걸리는 물을 굉장히 많이 사용하는 주류임에도 불구하고, 증류수 대신 평범한 물을 사용한다. 그만큼 맑고 깨끗한 물로 주(酒)를 담금다는 이야기다.

◇ 애주가들은 다 가입하는 ‘우주회(雨酒會)’

애주가들은 다 가입한다는 ‘우주회’. 비만 오면 특별히 모이자고 하지 않아도 맛 집이나 술집으로 모이는 친목모임을 뜻하는 애주가들의 전문용어다. 우주회에는 대표적으로 등산파가 있다. 등산을 하고 내려오는 길에 한 주점에 들려 등산의 노고를 파전과 막걸리 한잔으로 푸는 사람들이다.

남자들 사이에서는 막걸리의 진정한 맛을 군대에서 배우는 '군대파'도 많다. 수 십 키로의 행군을 마치고 돌아올 때 막걸리 두 잔과 수육 또는 두부김치 두 점을 주는데, 한 입 먹는 순간 발바닥에 잡힌 물집의 고통은 어느새 스스로 고생했다고 인정해주는 훈장으로 바뀐다.

요즘 같이 슬슬 비가 내리면 바로 이 ‘우주회’ 덕분(?)에 막걸리 매출은 요동을 친다.

BC카드가 비 오는 날 서울시내 요식업 가맹점 20만 곳의 평일 오후 6시부터 12시 사이의 매출액을 살펴본 결과 파전전문점은 맑은 날보다 비가 올 때의 매출액이 평균 33% 높았고, 민속주점은 18.3%, 야식 업종은 3.1% 늘었다.

특히 비가 30㎜ 이상 50㎜ 미만으로 적당히 내렸을 때 파전전문점 매출은 맑은 날 매출액 대비 88%나 증가했다. 민속주점과 야식업종도 각각 59.5%, 47.5% 매출액 상승을 보였다.


정규호 기자  jkh@meconomynews.com

<저작권자 © 시장경제신문 | 메콘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문보기: http://www.meconom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69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