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경향신문 [종교와 음식](3) 조선 서민 술문화에 놀란 선교사들, 음주를 금기시

조회 수 1104 추천 수 0 2017.03.17 10:49:06

[종교와 음식](3) 조선 서민 술문화에 놀란 선교사들, 음주를 금기시

ㆍ한국 개신교와 술

[종교와 음식](3) 조선 서민 술문화에 놀란 선교사들, 음주를 금기시

“교회 다니는 사람은 술 마시면 안되나요?” 개신교가 화제에 오를 때면 으레 따라붙는 질문이다. 그만큼 개신교에서 금주는 상징처럼 인식된다. 술을 마시는 것이 신앙에 해를 끼치는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개신교는 서구에서 전해졌는데 유독 술에 대해 터부시하는 것은 한국 개신교의 특징이다. 이는 한국에 개신교가 전해지던 때의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19세기 후반 청교도 신앙으로 무장한 미국 남부 장로교, 감리교 선교사들에 의해 개신교가 전해질 당시, 서구 선교사들의 눈에 비친 조선시대 서민들의 모습은 술과 담배에 찌들어 있었다. 그들이 남긴 기록에는 사람들이 술을 지나치게 많이 마신다는 내용이나, 술에 취해 주정하며 싸우는 사람들을 묘사한 부분들이 많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오현석 연구위원은 ‘한국 초기 그리스도교인의 음식 금기’라는 글에 “초기 개신교 잡지였던 ‘신학월보’에 술 마시는 것을 금지하는 기사가 지속적으로 등장한다”면서 “미국인 선교사들은 개신교 신앙에 입문하는 한국인들에게 믿음을 뒷받침하는 뚜렷한 증표를 요구했고 그 증표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대다수 한국인들이 즐겼던 술과 담배를 끊는 일이었다”고 썼다. 이 같은 움직임은 일제강점기의 민족경제 자립운동인 물산장려운동과 결합되면서 공감대를 얻고 현재와 같은 형태로 굳어졌다. 이치만 장로회신학대 교수는 “지나친 음주문화가 선교사들에 의해 폐습으로 지적되어 온 데다 시대적 상황과 맞물리면서 1920년대부터 교회를 중심으로 금주가 퍼지기 시작했다”며 “성경의 ‘술 취하지 말라’는 부분이 인용되면서 당위성을 띠게 됐다”고 설명했다.

서구 개신교는 극도의 금욕을 강조하는 소수 근본주의를 제외하고는 술 자체를 논란의 대상으로 삼지는 않는다. 일상적인 식생활에서 포도주와 같은 주류를 섭취하는 문화가 자연스럽게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수도원을 중심으로 맥주나 포도주, 샴페인 제조가 발달하기도 했다. 또 성찬식에도 포도주를 사용한다. 현재 한국 개신교에서도 성찬식 때 포도주를 쓴다. 보수적인 교단에서는 포도주 대신 포도주스나 포도즙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지금이야 포도주나 포도주스를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지만 과거엔 교회에서 성찬식에 쓸 포도주를 직접 담그기도 했다.

성경에는 ‘술 취하지 말라’는 구절이 나온다. 이 때문에 술을 마시는 것이 개신교에서는 종종 정죄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술을 마시는 것은 죄인가 아닌가. ‘술 취하지 말라’는 부분을 어떻게 해석하는지에 따라 논란이 분분하다. 분명한 것은 술 자체보다는 술에 탐닉하는 행위가 죄라는 것이다. 일각에선 개신교가 교회 내 세습·물신주의 등 다른 문제를 두고 유독 술에만 엄격한 잣대를 들이댄다는 지적도 나온다. 

개신교와 달리 천주교는 술을 터부시하지 않는 이유는 뭘까. 조성돈 실천신학대학원 교수는 “포교나 확산 당시의 시대적 배경, 계층에 있어서 큰 차이가 있다”면서 “개신교가 미국 선교사 주도로 국내 평민층에 포교되며 자리 잡았다면 천주교는 그보다 100여년 앞서 서학을 공부하는 양반사회 중심으로 자생적으로 확산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03162136005&code=960100#csidx63d3403e6420d339c3b5df49458d01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강원도민일보 과거와 현재, 그리고 사람이 공존하는 ‘시간의 교차로’

>>> 춘천 육림고개 춘천 명동거리 지척 70~80년대 주요 상권 2015년 막걸리가게 성공 부활의 신호탄 쏴올려 청년상인 모이며 활력 최근 SNS 타고 입소문 플리마켓·이색 먹거리 인기 옛것-새것 어울림 풍경 골목길 이야기 골목여행은 삶의 공간을 그 대상으...

  • 누룩
  • 2017-11-30
  • 조회 수 1112

경북도 전통주 6차산업화로 전통주 산업 재도약 기반 마련

경북도 전통주 6차산업화로 전통주 산업 재도약 기반 마련 전통주 6차 산업화를 위한 역량강화 워크숍 개최... 관계자 100여명 참석, 성공사례 등 공유 [일요신문] 경북도는 3일부터 2일간, 경주에서 전통주 관련 전문가 및 제조업체, 업무담당...

  • 누룩
  • 2015-09-04
  • 조회 수 1111

[연합뉴스] 전통누룩에서 찾은 효모로 막걸리 제조…"수입산 대체"

송고시간 : 2021-04-07 11:00 고은지 기자 전통누룩 프로바이오틱스 효모 [한국식품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전통누룩에서 찾은 효모를 이용해 막걸리를 만들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한국식품연구원은 전략기술연구본...

  • 누룩
  • 2021-04-12
  • 조회 수 1108

당신의 가방 속이 궁금하다.

People그 사람이 가지고 다니는 물건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의 취향은 물론이고 직업이나 취미, 성격, 사고 및 생활 방식 등을 짐작할 수 있다. 그래서 물었다. 당신은 어떤 사람인가요? 아니, 당신의 가방 속에는 무엇이 들어 있나요? 전기보 열린사이버대학...

  • 누룩
  • 2014-04-30
  • 조회 수 1107

데일리안 가라앉는 막걸리, 뜨는 증류식 소주…전통주 시장 지각 변동

가라앉는 막걸리, 뜨는 증류식 소주…전통주 시장 지각 변동 탄산수와 희석해 마시는 문화 확산되며 증류식 소주 인기 높아져 법 개정으로 전통주 온라인 판매 허용…전통주 새로운 판로 개척 기회로 등록 : 2017-09-05 15:36 가 가 인쇄하기...

  • 누룩
  • 2017-09-06
  • 조회 수 1106

경향신문 [종교와 음식](3) 조선 서민 술문화에 놀란 선교사들, 음주를 금기시

[종교와 음식](3) 조선 서민 술문화에 놀란 선교사들, 음주를 금기시박경은 기자 king@kyunghyang.com ㆍ한국 개신교와 술 “교회 다니는 사람은 술 마시면 안되나요?” 개신교가 화제에 오를 때면 으레 따라붙는 질문이다. 그만큼 개신교에서 금주는 상징처럼 ...

  • 누룩
  • 2017-03-17
  • 조회 수 1104

[한겨레] [ESC] 핫 칵테일, 한국식 뱅쇼…겨울밤, 한잔 합시다 file

등록 :2022-12-09 07:00수정 :2022-12-09 18:11 체온 높이는 핫 칵테일부터 대추·꿀 넣은 한국식 뱅쇼까지 왼쪽부터 서울 논현동 칵테일바 ‘이더웨이’의 임지혜 바텐더가 만든 위스키 아인슈페너, 핫 버터드 럼, 코냑 애플 핫 토디. 윤동길 스튜디오어댑...

  • 누룩
  • 2022-12-12
  • 조회 수 1104

[서울경제] 'K 인증' 없는 막걸리, 10년새 수출 반토막 file

입력2023-03-26 17:14:48 수정 2023.03.26 17:49:52 신미진 기자 대형사 제품은 전통주 인정 안돼 해외서 홍보·영업 어려움 겪어 주류업계 "전통주 개념 넓혀야" 글로벌 시장에서 K푸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대표 우리 술인 막걸리는 힘을...

  • 누룩
  • 2023-03-28
  • 조회 수 1102

2016년에 선보인 핫이슈 '무감미료 전통주'

2016년에 선보인 핫이슈 '무감미료 전통주'디지틀조선일보 주류문화 칼럼니스트 명욱 입력 : 2016.12.01 09:00 다사다난했던 2016년도도 어느덧 12월 한 달 만을 남겨두고 있다. 올 한 해 동안 주류업계는 크래프트 맥주의 대두, 과실 막걸리, 저도수 위...

  • 누룩
  • 2016-12-15
  • 조회 수 1102

"막걸리 마시면 면역력 높일 수 있다"

"막걸리 마시면 면역력 높일 수 있다" 기사등록 일시 [2015-08-11 14:38:35] 【서울=뉴시스】김진아 기자 = 배우 송일국(오른쪽)과 한국홍보전문가 서경덕 교수가 1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예지동 광장시장 서문입구에서 열린 막걸리 토크쇼 '막...

  • 누룩
  • 2015-08-12
  • 조회 수 1099

연합뉴스 주프랑크푸르트총영사관, 독일서 한국 전통주 강연·시음 행사

독일 프랑크푸르트 한국 전통주 행사에서 조영진 수석 바텐더가 안동소주 시음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 독일 주프랑크푸르트총영사관(총영사 백범흠)은 지난달 25, 28일 프랑크푸르트 강변 박물관 축제서 농림축산식품부·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와 함께 일반...

  • 누룩
  • 2018-09-10
  • 조회 수 1096

우리 동네 전통주 핫플레이스

막걸리, 약주, 증류주 등 양조장마다 개성 강한 전통주가 핫하게 부상하고 있다. 우리 지역 가까이서 전통주를 만날 수 있는 공간을 소개한다. 이유있는 술집 잠실점 잠실새내역 부근 새마을시장 가까이에 있는 전통주 바틀샵. 생막걸리는 유통기한이 ...

  • 누룩
  • 2021-05-12
  • 조회 수 1095

소믈리에타임즈 미국 양조자 협회(BA), 공식 수제 맥주 인증 로고 운영

미국 양조자 협회(BA), 공식 수제 맥주 인증 로고 운영김동열 기자l -->승인2017.06.29 13:24:44 트위터 페이스북 --> 현재 미국에는 전 세계의 수제맥주 수도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다양...

  • 누룩
  • 2017-07-11
  • 조회 수 1095

아이뉴스 24 전통주 온라인 판매' 본격 시작…"보완 대책 필요

'전통주 온라인 판매' 본격 시작…"보완 대책 필요" 전통주 활성화 기대…일각서 "미성년자 보호 대책 미흡·일부 특혜" 주장 2017년 07월 19일 오전 11:44 [아이뉴스24 장유미기자] 지난 18일 G마켓과 ...

  • 누룩
  • 2017-07-21
  • 조회 수 1094

[통플러스] 2019년의 술 트렌드를 예상해보다

변화무쌍한 트렌드 속에 달라지는 술 문화 일본에 10년 이상 살면서 느끼는 것은 눈에 띄는 변화가 적은 나라라는 것이다. 20년 만에 방문한 곳의 집이 아직도 그대로 있고, 음식도 술도 오래된 옛 것을 참 잘 즐기는 나라다. 기린 맥주의 라벨은 100년 전 라...

  • 누룩
  • 2019-01-09
  • 조회 수 109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