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이투데이 [경제학자의 우리술 이야기] 2017년은 우리술 산업도 바꿔야 할 때

조회 수 915 추천 수 0 2017.02.22 12:22:29

[경제학자의 우리술 이야기] 2017년은 우리술 산업도 바꿔야 할 때

기사입력 : 2017-02-09 11:05

20170209105951_1017478_160_200.jpg 

[정대영 송현경제연구소장]

2017년 정유년은 박근혜·최순실 사태로 인해 한국의 정치·사회·경제 모든 부문에서 큰 변혁이 예상된다. 우리 술 산업도 대대적인 변화가 있어야 한다. 싸구려 술은 우리 술, 비싼 술은 수입 술이라는 기본 구도가 바뀌고, 우리 술 산업도 쌀 소비와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농촌 경제에 기여하였으면 좋겠다. 또한 품격 있는 술 문화도 생겨났으면 한다. 이러한 바람은 오래되었지만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어떠한 방향으로 우리 술 산업정책이 마련되어야 오랜 바람이 이루어질 수 있을까?

일제가 1916년 주세령을 발령해 우리 전통 술 산업을 말살한 방식을 짧은 시간에 거꾸로 하는 것이다. 일제강점기 이전 조선은 금주령이 없는 한 술을 자유롭게 빚어 마시는 가양주 문화가 기본이었다. 술에 대한 세금과 규제가 없었다. 일제는 술에 대한 세금, 즉 주세를 토지에 대한 과세와 함께 우리 민족을 수탈하는 수단으로 활용했다. 자유로운 술 제조를 엄격히 금지하였다. 집에서 술을 빚어 마시기 위해서는 가양주 면허를 받고 면허세를 내야 했다. 면허도 1년마다 갱신토록 하고 면허세를 계속 인상했다

191637만여 명의 가양주 면허자가 1931년에는 단 1명으로 줄고, 1934년에는 가양주 면허 제도가 폐지됐다. 또한 주류 제조 허가를 받은 업체의 경우도 최저 양조 규모(제한석수)가 증가하면서 소규모 양조장들은 문을 닫았다. 탁주의 경우 제한석수를 19165석에서 191910, 1927년엔 20석으로 인상하였다. 탁주와 전통 청주 등 조선주 제조장은 191639만 개에서 1930년대에는 8000여 개로 줄었다. 지역에 뿌리를 둔 소규모 양조장이 사라진 것이다. 반면 일제는 양조업체의 대형화로 세금 걷기가 아주 편해졌다. 1930년께 조세수입의 30% 정도가 주세수입이었다. 이렇게 우리 술 산업의 뿌리가 뽑혀 나갔다.

이제는 거꾸로 우리 술 산업을 1910년 일제 침탈 이전으로 되돌려보는 것이다. 일정 규모 이하의 탁주와 전통 청주(약주) 제조는 주류 제조 면허를 없애고 자유롭게 주조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소규모 우리 술 양조장이 장사가 잘돼 규모가 커지면 정식 주류 제조 허가를 받게 하면 된다. 김치나 된장, 고추장을 만들어 파는 것과 같이 해보는 것이다. 현재 조세수입 중 주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1.5% 수준이고, 주세의 대부분이 맥주와 소주, 위스키 등에서 나온다. 탁주와 전통 청주의 주세 비중은 무시할 정도이다. 주세수입 때문에 반대할 명분은 없을 것 같다.

이와 비슷한 기존 정책이 있다. 주세를 절반으로 경감해주는 지역 특산주 제도이다. 그러나 실제 허가를 받는 데 1년씩 걸리고 면허 갱신 등이 번거롭고 비용이 든다. 소규모 우리 술 제조업체는 국민의 인식 부족과 대형업체와의 경쟁 등으로 수익을 내기 매우 어렵다. 주류 면허 등 각종 인·허가도 영세 업체에는 시간과 비용 면에서 부담이 크다. 우리 술 산업이 밑으로부터 발전하기 어려운 이유이다

우리 술 산업에 대한 접근을 근본적으로 바꿔야 할 때이다. 소규모 우리 술 양조장이 많아지면 쌀, 밀 등 우리 농산물 소비가 늘고 농촌의 일자리와 소득도 늘어난다. 조세수입은 아주 조금 줄겠지만, 전통주 지원을 위한 정책 비용과 행정 비용은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전체적인 재정 부담은 줄 수 있다. 설을 쇠며 생각해본 정책이다

정대영 송현경제연구소장 opinion@etoday.co.kr

 

원문보기: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45288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효과 높은 식초 다이어트, 제대로 하려면

요즘 ‘식초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식초는 몸 안의 영양물질을 분해하고 합성해 에너지를 만들고, 필요하지 않은 성분은 몸 밖으로 내보내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비만을 예방하고 살을 빼는데 효과가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

  • 누룩
  • 2013-09-30
  • 조회 수 3040

태초에 있었던 술… 막걸리와 탁주, 동동주 뭐가 다르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최고의 스테디셀러이자 베스트셀러인 성경에는 태초에 무엇이 가장 먼저 생겼는지 언급하는 내용이 있다. 즉 천지가 창조된 후에 바로 만들어진 것, 바로 빛이다. 이 빛은 뜬금없긴 하지만 한때 화제가 되었던 마야의 2012년 지구...

  • 누룩
  • 2013-10-21
  • 조회 수 1990

소규모 지역 막걸리 양조장이 대기업과 경쟁해 살아남는 방법은?

최근 들어 서점가에서 다시 읽기 열풍이 부는 고전 경제학 서적이 있다. 약 150년 전의 자본주의 모순을 담은 내용. 잉여가치란 재화가 소수에게 과도하게 쏠리면 빈부 격차가 일어나고, 빈부격차를 이겨내지 못하는 다수는 혁명을 일으킨다는 내용, 세계적인...

  • 누룩
  • 2013-10-24
  • 조회 수 2203

농식품부, aT 일 도쿄서 막걸리의 날 행사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31일, '막걸리의 날'을 맞아 이날 저녁 일본 도쿄 아오야마 아키텍트카페에서 일본 언론사 및 현지 막걸리 유통업체 관계자들을 초청해 '한일 공동 막걸리의 날'선포식을 갖고 햅쌀막걸리 출시 홍보행사를 개최...

  • 누룩
  • 2013-10-30
  • 조회 수 1269

우리 전통주에 더 많은 관심을

제6회 한옥마을 술축제 '만추만취'…8~9일 전통술박물관 동문사거리 일대 '당신의 이야기를 술로 삽니다' 제6회 한옥마을 술축제가 8-9일 전주 전통술박물관, 전통술교육관, 한옥마을 양조장, 동문거리 일대에서 '만추만취'- '당신의 이야기를 술로 삽니다...

  • 누룩
  • 2013-11-05
  • 조회 수 1563

살아나는 지방 소주…생산설비 늘리고 수도권 공략 시동

각종 지방 소주가 진열된 모습. 한때 ‘고사’ 위기에 빠졌던 지방 소주 업체들이 반격에 나섰다. 지금까지 지방 소주 업체들은 서울, 경기 등 수도권에서 하이트진로, 롯데칠성 등 대기업 물량 공세에 밀려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했다. 충북, 전북, ...

  • 누룩
  • 2013-11-06
  • 조회 수 5642

영동군에 국내최초 와인터널 들어선다

충북 영동군이 국내최초로 조성하기로 한 와인터널 조감도.(사진제공=영동군청) 국내 유일의 포도·와인 산업특구인 충북 영동군에 국내 최초의 와인터널이 본격 조성된다. 영동군은 오는 2016년까지 총사업비 116억원을 들여 영동읍 매천리 용두공원 ...

  • 누룩
  • 2013-11-13
  • 조회 수 2490

부산에 셀프형 전통주점 등장!

전통주 전문기업인 국순당이 새로운 형태인 '셀프형 전통주 전문주점'를 부산에 처음으로 선보여 주목을 끌고 있다. 국순당은 최근 대규모 '백세주마을 남포점'을 셀프형 전문주점 형태로 개설, 운영에 들어갔다고 7일 밝혔다. 부산 남포동과 자갈치시장 입구 ...

  • 누룩
  • 2013-11-18
  • 조회 수 2442

< 막걸리 만들기 >

어릴 적 어머니가 술을 담그신다고 하실 때마다 늘 궁금해지는 것이 하나 있었다. 그것은 술이란 알코올이 어떻게 생길까란 것이었다. 뱀술을 만들든 인삼술을 만들든 인삼이 술을 만드는 것인지, 뱀이 술과 함께 화학작용을 일으켜 술을 만드는 것인지, 당시...

  • 누룩
  • 2013-11-20
  • 조회 수 3535

정부 전통주 시장 살리기!

찾아가는 양조장 사업 10곳 확대 2017년까지 총 30곳 육성 계획 안현덕기자 always@sed.co.kr 정부가 침체된 전통주 시장을 살리기 위해 '찾아가는 양조장 사업'을 확대한다. 전통주 체험과 관광이 융합된 찾아가는 양조장 사업을 한층 확대함으로써 막걸리...

  • 누룩
  • 2013-12-03
  • 조회 수 1237

웰빙식초 ~ 이제 내가 대세 ~!

최근 조미료 시장에서 식초가 소금을 제치고 판매량 2위(2013년 6월 롯데마트 조미료 상품군 매출 기준, 1위는 설탕)에 올랐다. 식초가 소금보다 많이 팔린 것은 이번이 처음. 소금은 다량 섭취할 경우 비만, 고혈압 등 성인병의 원인이 된다고 지목받는 데 비...

  • 누룩
  • 2013-12-11
  • 조회 수 1629

[가양주 주인 선발대회] file [2]

젊은이들이 패스트푸드를 더 좋아하긴 하지만 대표적인 슬로푸드인 떡과 전통주에 대한 인기도 만만치 않습니다. 전국 최고의 떡과 전통주 장인을 찾는 대회에도 많은 실력자가 참가해 뜨거운 열기를 보여줬습니다. 떡시루에서 나오는 하얀 김 만큼이나 열기가...

  • 누룩
  • 2013-12-16
  • 조회 수 1680

와인의 부활

<전성기 2007년 이후 인기 주춤… 올 분위기 반전 수요량 회복 FTA 영향 가격 떨어지고 마트서 저가형 판매하며 보편화 업계 "내년 시장 15% 커질 것" > - 고은경기자 scoopkoh@hk.co.kr 국내 와인시장이 화려하게 부활하고 있다. '와인 붐'이 일었던 ...

  • 누룩
  • 2013-12-18
  • 조회 수 1445

김광석·막걸리·마카롱·버스킹...빈티지 송년회 1번지 방천시장

고희림 시인의 10월항쟁 담론과 인문학 토크가 있는 카페 ‘플로체’ 등산을 인테리어 콘셉트로 정한 방천시장 백두대간 입구 전경’. 매 주말 거리 통기타 공연이 열리는 방천시장 버스킹 구역. 성교 서쪽 끝 옆에 붙은 방천시장. ‘외빈내화(外貧...

  • 누룩
  • 2013-12-20
  • 조회 수 3730

[웰빙제품] 국내산 생블루베리 100%로 만든 와인 식초

블루베리는 ‘보랏빛 기적’이라고 불린다. 세계 10대 슈퍼푸드로 선정될 만큼 건강효과가 뛰어나서다. 블루베리에 함유된 안토시아닌 성분은 대표적인 항산화·항암 물질이다. 노화를 방지하고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며, 치매·성인병 예방과 시력보호에 효...

  • 누룩
  • 2013-12-24
  • 조회 수 162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