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이코노미 조선] "젊은이들 맥주 안 먹죠" 하이볼에 잡아먹힌 일본 맥주

조회 수 1829 추천 수 0 2017.02.13 10:07:43


[이코노미 조선] "젊은이들 맥주 안 먹죠" 하이볼에 잡아먹힌 일본 맥주

  • 손덕호 기자

  •    입력 : 2017.02.08 07:00      
  • 젊은 층 외면으로 판매량 줄어드는 日 맥주
    업계, 하이볼·츄하이 등 새 주류 개발해 승부

    일본 사이타마현의 수퍼마켓에서 한 고령의 남성이 맥주를 집어 들고 있다.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일본에선 청년들이 맥주를 기피하는 현상까지 겹쳐 맥주 출하량이 12년 연속 역대 최저치를 갱신했다./블룸버그
    일본 사이타마현의 수퍼마켓에서 한 고령의 남성이 맥주를 집어 들고 있다.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일본에선 청년들이 맥주를 기피하는 현상까지 겹쳐 맥주 출하량이 12년 연속 역대 최저치를 갱신했다./블룸버그
    “먼저 맥주부터 주세요(토리아에즈 비루).”
    일본인들이 술을 마시러 갔을 때 자리에 앉자마자 외치는 말이다. 이렇게 말하고 어떤 메뉴를 주문할지 그때부터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토리아에즈 비루’라는 말이 식당에서 사용하는 관용구가 됐다.

    이런 일본인의 맥주 사랑은 옛말이 돼 가고 있다. 맥주 출하량이 해를 거듭해 줄고 있다. 술을 많이 마시는 청년층이 기존 맥주보다 다른 술로 눈을 돌리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 맥주 회사는 새로운 술을 개발해 맥주 판매 감소에 대응하고 있다.

    [이코노미 조선] "젊은이들 맥주 안 먹죠" 하이볼에 잡아먹힌 일본 맥주
    ◆ 12년 연속 맥주 출하량 최저치 경신

    지난달 일본 대형 맥주 업체 5개사(기린맥주·아사히맥주·삿포로맥주·산토리·오리온맥주)는 맥주, 발포주, 제3맥주 등을 합친 ‘맥주류’의 2016년 국내 출하량이 전년보다 2.4% 감소한 4억1476만케이스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5개사의 맥주 출하량은 12년 연속으로 역대 최저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지난해 맥주 출하량은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뒤 처음으로 ‘맥주류’ 3종류 모두 전년 대비 마이너스 성장했다. 맥주는 2.0%, 발포주는 6.8%, 제3맥주는 1.2% 줄었다.

    일본에서 맥주 소비가 감소하는 한 원인은 인구 감소다. 일본은 2005년부터 인구가 감소했고, 주류를 많이 소비하는 청년층 인구는 더 빠르게 줄고 있다. 일본에서 맥주 출하량은 2000년대 들어 감소하기 시작했다. 맥주류 출하량이 가장 많았던 1994년엔 총 5억7300만케이스를 기록했지만, 지난해에는 1994년의 4분의 3 수준으로 위축됐다.

    더 결정적인 요인은 소비자 취향 변화다. 한 맥주 업체 관계자는 “하이볼이나 츄하이 등의 인기가 높아졌고, 젊은 층을 중심으로 맥주 기피 현상이 가속화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마이니치신문이 전했다.

    [이코노미 조선] "젊은이들 맥주 안 먹죠" 하이볼에 잡아먹힌 일본 맥주

    이 때문에 해마다 줄어드는 맥주 판매량과 달리 하이볼과 츄하이 등을 캔 용기에 포장한 ‘RTD(레디 투 드링크·Ready To Drink)’ 주류 판매량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산토리가 조사한 RTD 출하량은 2008년부터 매년 성장을 이어오고 있다. 2007년 출하량은 1억케이스(250㎖ 캔 24개를 1케이스로 환산)를 밑돌았지만, 2015년엔 약 1억4960만케이스를 기록했다. 전년보다 9% 늘어난 수치다. 산토리 관계자는 RTD가 인기를 끄는 것에 대해 “단맛이 적당한 식사에 어울리는 알코올 음료로 소비자에게 인식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 하이볼·츄하이 강화해 맥주 시장 위축 돌파


    거대 맥주 기업은 맥주 출하량이 구조적으로 감소하자 하이볼·츄하이라는 새로운 주류 판매를 강화하고 있다. 기린맥주는 2001년부터 츄하이 제품 ‘효케쓰(氷結)’를 발매했다. 젊은 층과 여성을 중심으로 오랫동안 츄하이 시장 성장을 이끌었다. 최근에는 알코올 도수가 8% 이상인 ‘스트롱계’ 츄하이가 판매 증가를 주도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인기가 많은 ‘호로요이’는 산토리 제품이고, 아사히맥주는 ‘가라구치소주하이볼’ 등을 판매 중이다.

    ‘크래프트 맥주’라는 분야로 진출하기도 한다. 일본 젊은 층 사이에선 대형 맥주 회사 제품이 아닌 소규모 양조장에서 빚은 크래프트 맥주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아직 전체 맥주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 미만이지만, 전국 200여곳의 양조장에서 다양한 맥주를 생산 중이다. 기린맥주는 2014년 일본 최대 크래프트 맥주 회사인 요호브루잉 지분을 30% 이상 인수하고 제휴를 맺었고, 또 같은 해 크래프트 맥주 회사 ‘스프링밸리브루어리’를 설립했다. 스프링밸리브루어리는 도쿄와 요코하마, 교토에 전문점을 열었다.

     일본 최대 크래프트 맥주 회사 요호브루잉이 생산하는 맥주들(사진 위). 기린맥주는 2014년 요호브루잉의 지분을 30% 이상 인수하고 제휴 관계를 맺었다. 또 기린맥주는 소비자의 맥주 취향 변화에 맞춰 2014년 크래프트 맥주 회사 스프링밸리브루어리를 설립했다. 스프링밸리브루어리의 맥주가 종류별로 잔에 담겨 있다.(사진 아래)/블룸버그 제공
    일본 최대 크래프트 맥주 회사 요호브루잉이 생산하는 맥주들(사진 위). 기린맥주는 2014년 요호브루잉의 지분을 30% 이상 인수하고 제휴 관계를 맺었다. 또 기린맥주는 소비자의 맥주 취향 변화에 맞춰 2014년 크래프트 맥주 회사 스프링밸리브루어리를 설립했다. 스프링밸리브루어리의 맥주가 종류별로 잔에 담겨 있다.(사진 아래)/블룸버그 제공
    제3맥주 판매를 강화하는 것도 판매 부진 속에서 이익을 내는 방법이다. 제3맥주는 쓴맛이 덜해 소비자 선호도가 높으면서도 세율이 낮아 이익을 내기 쉽다. 아사히맥주의 지난해 맥주 시장점유율은 39.0%로 전년보다 0.8%포인트 상승했다. 제3맥주 ‘클리어아사히’ 판매가 호조를 보인 덕분이다.

    다만 최근 일본에서 주세법이 개정돼 상황이 바뀌고 있다. 서로 다른 맥주와 발포주·제3맥주의 세율이 2020년부터 2026년에 걸쳐 단일화된다. 이에 따라 맥아 함량이 높은 ‘맥주’는 가격이 내려 소비가 늘고, 발포주·제3맥주는 가격이 올라 판매가 부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래서 올해 대형 맥주 업체는 정통 맥주 판매에 주력하고 있다. 아사히맥주는 ‘슈퍼드라이’ 발매 30주년에 맞춰 한정판을 만들었고, 기린맥주는 지역별로 맛이 다른 ‘이치방시보리’를 핵심 상품으로 판매한다. 산토리는 ‘더 프리미엄 몰츠’를 개선하고 판매를 강화했다.

    ◆키워드
    맥주·발포주·제3맥주
    한국에서 ‘맥주’라고 부르는 술은 일본에선 주세법상 맥주·발포주·제3맥주로 나뉘고, 이것을 합쳐 ‘맥주류’라고 한다. 세 가지를 나누는 기준은 맥아(겉보리의 싹을 틔운 것) 사용률, 사용 원료다. ‘맥주’는 맥아를 원료 중 3분의 2 이상 사용하고, 부원료는 보리·홉·쌀 등 법령에 정해진 것만 쓴 술이다. 발포주는 맥아 사용률이 3분의 2 미만이고, 제3맥주는 맥아·보리가 아닌 다른 재료를 주원료로 해 빚은 술이다.

    주세는 350㎖ 캔맥주 기준으로 ‘맥주’는 77엔, 발포주는 47엔, 제3맥주는 28엔이다. 2026년 10월부터는 전부 54.25엔으로 통일된다.

    하이볼·츄하이
    하이볼은 위스키에 소다수를 탄 칵테일의 일종이다. 위스키의 향과 맛을 살리면서 알코올 도수를 낮췄고 소다수의 풍미를 더했다. 산토리는 2008년부터 위스키 판매량을 늘리기 위해 프로모션을 시작했고, 일반 식당에서도 하이볼을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마케팅을 펼쳤다.

    한국에서는 이자카야(일본식 선술집)에서 판매하는 주류이지만, 일본에서는 집에서도 캔 형태로 쉽게 마실 수 있다. 츄하이는 ‘소주’와 ‘하이볼’을 합친 단어로, 소주를 베이스로 탄산과 과즙을 섞은 술을 말한다. 10여년 전부터 호로요이 등이 인기를 끌며 츄하이 열풍을 일으켰다. 이슬톡톡, 부라더소다 등 국내 과일주의 원조라고 할 수 있다.



    원문보기: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2/06/2017020602669.html#csidx23b208d098970fab8067bd1246b0f5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서울경제 막걸리·소주·와인 선호도 ‘미각 유전자’ 따라 큰 편차

    막걸리·소주·와인 선호도 ‘미각 유전자’ 따라 큰 편차김정선 교수팀, 1,829명 분석 술꾼 될 위험도 1.5배까지 차이 임웅재 기자 2017-03-14 14:52:33 김정선 국제암대학원대학교 암의생명과학과 교수 맛을 느끼는 수용체 유전자의 염기배열 순서 변화가 술꾼이...

    • 누룩
    • 2017-03-27
    • 조회 수 817

    소믈리에타임즈 2017 서울국제와인&주류박람회(Seoul International Wines & Spirits Expo 2017) 개최

    2017 서울국제와인&주류박람회(Seoul International Wines & Spirits Expo 2017) 개최김하늘 기자l -->승인2017.02.14 13:08:57 트위터 페이스북 --> ▲ 2017 서울 국제 와인&주류 박...

    • 누룩
    • 2017-03-23
    • 조회 수 856

    경향신문 [종교와 음식](3) 조선 서민 술문화에 놀란 선교사들, 음주를 금기시

    [종교와 음식](3) 조선 서민 술문화에 놀란 선교사들, 음주를 금기시박경은 기자 king@kyunghyang.com ㆍ한국 개신교와 술 “교회 다니는 사람은 술 마시면 안되나요?” 개신교가 화제에 오를 때면 으레 따라붙는 질문이다. 그만큼 개신교에서 금주는 상징처럼 ...

    • 누룩
    • 2017-03-17
    • 조회 수 1066

    대전일보 [대덕포럼] 물은 100도에서 끓지 않는다

    증류주 수업 내용 중에서, 높은 도수의 알코올을 얻기위해 연속식 증류기를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95% 이상의 증류주를 뽑아내는 것은 힘들다는 것을 알게됩니다. 99% 이상의 순수한 에탄올을 얻으려면 별도의 탈수공정이 필요합니다. 그 원인은 바로 공비현상...

    • 누룩
    • 2017-03-10
    • 조회 수 1138

    연합뉴스 레고 조립하듯 염색체 제작…2년 내에 '100% 인공효모' 나온다

    레고 조립하듯 염색체 제작…2년 내에 '100% 인공효모' 나온다 송고시간 | 2017/03/10 04:00 미국·영국·중국 등 국제연구진 '사이언스'에 발표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생명과학 기술의 발달로 생물의 전체 유전정보를 담은 유전체(게...

    • 누룩
    • 2017-03-10
    • 조회 수 713

    머니투데이 정부, 막걸리 등 전통주 온라인 판매 허용추진

    정부, 막걸리 등 전통주 온라인 판매 허용추진정부, 규제개혁 국민토론회 개최… 중소상공인 100여명 참석해 규제 어려움 호소머니투데이 권혜민 기자 |입력 : 2017.02.22 19:46 닫기 ...

    • 누룩
    • 2017-03-03
    • 조회 수 962

    MK News [글로벌 트렌드] 최고의 한잔을 위해…술의 천국 日서 뜨는 `술 앱`

    [글로벌 트렌드] 최고의 한잔을 위해…술의 천국 日서 뜨는 `술 앱`사케·와인·위스키…술병 상표 찍으면 취향 저격 술 찾아줘 술·안주 칼로리 계산 `건강 음주` 앱도 인기 --> 박대의 기자 입력 : 2017.02.16 04:16:04 일본은 '술의 천국'이다. 술 종류가 다양해...

    • 누룩
    • 2017-03-03
    • 조회 수 1381

    이투데이 [경제학자의 우리술 이야기] 2017년은 우리술 산업도 바꿔야 할 때 file

    [경제학자의 우리술 이야기] 2017년은 우리술 산업도 바꿔야 할 때 기사입력 : 2017-02-09 11:05 [정대영 송현경제연구소장] 2017년 정유년은 박근혜·최순실 사태로 인해 한국의 정치·사회·경제 모든 부문에서 큰 변혁이 예상된다. 우리 술 산업도 대대적인 변...

    • 누룩
    • 2017-02-22
    • 조회 수 893

    2017 서울국제와인&주류박람회(Seoul International Wines & Spirits Expo 2017) 개최

    2017 서울국제와인&주류박람회(Seoul International Wines & Spirits Expo 2017) 개최김하늘 기자l -->승인2017.02.14 13:08:57 트위터 페이스북 --> ▲ 2017 서울 국제 와인&주류 박...

    • 누룩
    • 2017-02-15
    • 조회 수 1071

    [이코노미 조선] "젊은이들 맥주 안 먹죠" 하이볼에 잡아먹힌 일본 맥주

    [이코노미 조선] "젊은이들 맥주 안 먹죠" 하이볼에 잡아먹힌 일본 맥주 손덕호 기자 입력 : 2017.02.08 07:00 젊은 층 외면으로 판매량 줄어드는 日 맥주 업계, 하이볼·츄하이 등 새 주류 개발해 승부 ▲ 일본 사이타...

    • 누룩
    • 2017-02-13
    • 조회 수 1829

    동아일보 [박경모 전문기자의 젊은 장인]혼(魂) 술

    [박경모 전문기자의 젊은 장인]혼(魂) 술박경모전문기자 입력 2017-02-01 03:00:00 수정 2017-02-01 03:38:39  강진희 씨(44·전통주 양조장 술아원 대표)가 서울 강남구 역삼동 전통주갤러리에서 막걸리 만드는 과정을 시연하고 있다. 강 씨는 한국가양주연...

    • 누룩
    • 2017-02-01
    • 조회 수 1635

    식약일보 [전통누룩유래 토종 전통주 효모 4종 유전체지도 완성]

    전통누룩유래 토종 전통주 효모 4종 유전체지도 완성전통누룩 유래효모의 표준 유전체 해독으로 전통주 및 종균산업 견인식약일보 입력 : 2017/01/24 [17:40] 농림축산식품부가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사업의 일환으로 지원하고 있는 농림축산식품 미생물유...

    • 누룩
    • 2017-01-25
    • 조회 수 879

    한국일보 [따뜻한 차처럼… 향긋하게 감미롭게 ‘뜨거운 술’] file

    따뜻한 차처럼… 향긋하게 감미롭게 ‘뜨거운 술’뱅쇼부터 아이리시 커피까지 '온주의 모든 것' 알코올은 기름인 동시에 물이며, 그 자체로는 별 맛이 없지만 강력하게 다른 재료의 향을 쥐고 있다. 음식에 들어간 술은 자체로 풍부한 향을 내는 향신료가 되며...

    • 누룩
    • 2017-01-18
    • 조회 수 1054

    2016년도 전통주 문화산업을 둘러싼 변화의 바람

    2016년도 전통주 문화산업을 둘러싼 변화의 바람디지틀조선일보 주류문화 칼럼니스트 명욱 입력 : 2016.12.29 09:00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2016년도도 불과 며칠 남지 않았다. 주류시장 역시 연말연시라는 뜨거운 시기를 맞이하며 막바지 판매에 주력...

    • 누룩
    • 2017-01-13
    • 조회 수 1004

    biz.chosun [2017 주류 트렌드] 혼술, 홈술 시장 확대에 주류업계는 주름살 커져

    [2017 주류 트렌드] 혼술, 홈술 시장 확대에 주류업계는 주름살 커져 박순욱 기자 이메일 swpark@chosunbiz.com 입력 : 2017.01.06 07:00 | 수정 : 2017.01.06 09:20 하이트진로는 지난 연말에 저알콜(3도) 탄산주 신제품...

    • 누룩
    • 2017-01-09
    • 조회 수 136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