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약(芍藥, 함박꽃뿌리)

조회 수 2421 추천 수 0 2005.10.31 16:00:51
제목 : 작약(芍藥, 함박꽃뿌리)  



성질은 평(平)하고 약간 차다[微寒]. 맛은 쓰고 시며[苦酸] 조금 독이 있다. 혈비(血痺)를 낫게 하고 혈맥을 잘 통하게 하며 속을 완화시키고 궂은 피를 헤치며[散惡血] 옹종(癰腫)을 삭게 한다. 복통(腹痛)을 멈추고 어혈을 삭게[消] 하며 고름을 없어지게 한다. 여자의 모든 병과 산전산후의 여러 가지 병에 쓰며 월경을 통하게 한다. 장풍(腸風)으로 피를 쏟는 것, 치루(痔瘻), 등창[發背], 진무른 헌데, 눈에 피가 지고 군살이 살아나는[目赤努肉] 데 쓰며 눈을 밝게 한다.

○ 산과 들에서 자라는데 음력 2월과 8월에 뿌리를 캐어 햇볕에 말린다. 산골에서 저절로 자란 것을 쓰는 것이 좋고 집 근처에서 거름을 주면서 키운 것은 쓰지 않는다. 꽃이 벌거면서 홑잎(單葉)의 것을 써야 하며 산에서 나는 것이 좋다.

○ 일명 해창(解倉)이라고도 하는데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적작약은 오줌을 잘 나가게 하고 기를 내리며 백작약은 아픈 것을 멈추고 어혈을 헤친다. 또한 백작약은 보(補)하고 적작약은 사(瀉)한다고도 한다[본초].

○ 수족태음경에 들어간다. 또한 간기(肝氣)를 사하고 비위(脾胃)를 보한다. 술에 담갔다가 쓰면 경맥으로 간다. 혹은 술에 축여 볶아서도[炒] 쓰고 잿불에 묻어 구워서도[ ] 쓴다[입문].

○ 함박꽃뿌리(작약)를 술에 담갔다가 볶아 흰삽주(백출)와 같이 쓰면 비(脾)를 보하고 궁궁이(천궁)와 같이 쓰면 간기(肝氣)를 사하고 인삼, 흰삽주와 같이 쓰면 기를 보한다. 배가 아프며 곱똥을 설사하는 것을 멎게 하는 데는 반드시 닦아서<炒> 쓰고 뒤가 묵직한 데는 닦아 쓰지 말아야 한다. 또는 내려가는 것을 수렴하기 때문에 혈해(血海)에 가서 밑에까지 들어가 족궐음경에 갈 수 있다고도 한다[단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가입인사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06-11-07 11220
85 이엽(梨葉, 배나무잎) [1] 2006-02-11 2107
84 우엽(芋葉, 토란잎) 2006-02-11 2246
83 동규엽(冬葵葉, 돌아욱잎) [1] 2006-02-11 2121
82 홍촉규엽(葉, 홍촉규잎) 2006-02-11 1942
81 현경엽( 莖葉, 비름의 줄기와 잎) [1] 2006-02-11 2168
80 물의 품질에 대하여[論水品] 2006-02-17 1829
79 한천수(寒泉水, 찬샘물) 2006-02-17 2241
78 정화수(井華水, 새벽에 처음 길은 우물물) 2006-02-17 2073
77 국화수(菊花水, 국화 밑에서 나는 물) 2006-02-17 2074
76 납설수(臘雪水, 섣달 납향에 온 눈 녹은 물) 2006-02-20 2095
75 고려수지침요법학회의 자료협조 [1] 2006-02-21 4324
74 춘우수(春雨水, 정월에 처음으로 내린 빗물) 2006-02-21 2344
73 방제수(方諸水, 조개껍질을 밝은 달빛에 비추어 가지고 그것으로 받은 물) 2006-02-27 2231
72 매우수(梅雨水, 매화열매가 누렇게 된 때에 내린 빗물) 2006-02-27 2398
71 옥유수(屋 水, 볏짚 지붕에서 흘러 내린 물) [1] 2006-02-27 2058
70 천남성(天南星) [2] 2006-02-27 2796
69 나미( 米, 찹쌀) 2006-03-08 2008
68 갱미(粳米, 멥쌀) 2006-03-08 1950
67 대황(大黃) 2006-03-12 2114
66 사삼(沙參, 더덕) 2006-03-12 220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