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막걸리 "아~옛날이여", 동남아 시장 개척으로 '제2의 전성기' 노려

조회 수 1172 추천 수 0 2016.01.25 11:20:49

막걸리 "아~옛날이여", 동남아 시장 개척으로 '제2의 전성기' 노려

최종수정 2016.01.13 10:02 기사입력 2016.01.13 10:02


짧은 전성기 끝내고 판매량 급감
신수요층 만들기 위한 노력 계속


[아시아경제 이주현 기자]2000년대 중후반 국내 주류시장을 휩쓸었던 한국 고유의 술 막걸리의 인기가 사그라들며 부진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국내 소비는 물론 해외 수출까지 감소해 주류시장 내 입지가 갈수록 좁아지고 있어 화려했던 옛 영광은 지난 과거가 됐다.

13일 관세청 및 업계에 따르면 2000년대 후반부터 한류와 엔고를 타고 일본에서 막걸리가 인기를 끌면서 막걸리 일본 수출액은 2009년 540만달러, 2010년 1558만5000달러, 2011년 4841만9000달러로 가파르게 증가했다.

일본으로 막걸리를 수출한 금액은 2년새 8배 넘게 늘어나는 기염을 토하며 2011년 사상 최대를 기록했지만 전성기는 금세 막을 내렸다.

막걸리 일본 수출액은 2012년 3199만달러, 2013년 1362만5000달러, 2014년 914만8000달러, 2015년(1∼11월) 600만1000달러로 줄었다. 4년만에 수출 규모가 약 8분의1 수준(12.4%)으로 감소했다.

막걸리 최대 수출처인 일본으로의 수출이 줄면서 지난해(1∼11월) 전체 막걸리 수출액은 1168만1000달러로 2011년(5273만5000달러)보다 77% 감소했다. 전년 같은기간(1395만8000달러)와 비교해도 16.3% 줄어든 실적이다. 


 주 소비층인 20~30대 여성이 도수가 낮은 술이나 무알콜 음료를 선호하게 되면서 고객 이탈이 심화됐고 엔화 약세가 지속되며 인기가 한풀 꺾였기 때문이다.

국내 막걸리 시장 상위 업체들이 일부 고정된 수요층을 믿고 신제품 개발에 소홀히 해왔으며 과점 구조 탓에 제품 및 가격 등 치열한 경쟁이 없어 사실상 품질이 정체된 상황이었던 것도 부진의 원인으로 풀이되고 있다.

또한 애국심과 한류에만 의존하는 마케팅과 전통을 강조했지만 과거 밀어내기 의혹으로 갈등을 보인 것도 국민들이 막걸리에게 등을 돌리게 한 원인으로 풀이된다.

막걸리 업계는 수출을 다변화하고 제품 계발에 적극 나서는 등 고객과의 접점을 확대해 막걸리 소비를 촉진하고 있다. 일본의 수출이 줄어들자 다른 나라로 눈을 돌려 수출 시장을 다변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실제 홍콩(2011년 3만9000달러→2015년 45만5000달러)과 대만(1만6000달러→16만7000달러)으로의 수출이 아직 규모는 크지 않지만 각각 10배 가까이 늘어나는 등 고성장하는 추세다. 일본에 이어 막걸리 수출 2위국인 중국으로의 막걸리 수출도 127만2000달러에서 184만3000달러로 44.9% 증가했다.

제품개발과 새로운 마케팅 등으로 기존의 올드한 느낌 버리고 젊은층 겨냥해 자몽, 유자맛 등의 막걸리를 개발하며 신수요층 만들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막걸리 업계 관계자는 "한류 열풍이 높고 쌀 문화권인 동남아 지역 위주로 막걸리 시장 개척에 나서고 있다"며 "국내 시장에서도 최근 일고있는 저도주 열풍에 발 맞춰 막걸리 도수를 낮추고 다양한 맛을 개발하는 등 소비자와의 접점을 높여 '제2의 막걸리 열풍'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이주현 기자 jhjh13@asiae.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동아사이언스 전통 막걸리, ‘미생물 배합’으로 부활할까

전통 막걸리, ‘미생물 배합’으로 부활할까 2017년 04월 18일 09:00 장○막걸리, ○평막걸리 등 동네 앞 슈퍼에만 가도 맛있는 막걸리가 지천에 깔려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 모든 막걸리는 우리 전통주라고 할 수 없다. 일본식 공정으로 발효한 ...

  • 누룩
  • 2017-06-16
  • 조회 수 40656

영양 많은 고산도 과일식초 제조 기술 개발

- 산도 8% 이상 화학식초·합성식초 대체…피로회복 등 도움 기대 - 자연 발효로 몸에 좋은 고산도 과일 식초를 만드는 기술이 개발됐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식초를 만드는 우수 종균인 초산균을 이용한 종초(씨앗식초) 제조 조건을 확립해 품질이 우...

  • 누룩
  • 2014-09-17
  • 조회 수 35415

日여자 밴드, 韓전통주라고 하는 '똥술' 마시고 극찬, '맛있어' file [1]

日여자 밴드, 韓전통주라고 하는 '똥술' 마시고 극찬, '맛있어' [티브이데일리 박 영 기자] 일본 여자밴드 '도플갱어'의 멤버들이 일명 한국의 전통주인 '똥술'을 마셨다. 지난 9일, 대만의 한 언론매체는 "일본의 블...

  • 누룩
  • 2013-01-16
  • 조회 수 11196

2016 전통주 시장 현황과 전망을 보다. file

우리나라 주류시장은 매출액 기준 2010년 8조원을 넘어 2014년 9조원을 돌파했다. 2010년대비 13.7% 정도 상승했고 매년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전체 9조원의 시장에서 전통주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0.5%로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1%도 넘지 않는다. ...

  • 누룩
  • 2016-07-26
  • 조회 수 7808

[알면 더 맛있는 식품] 순수냐 주정이냐 식초의 갈림길 [1]

[쿠키 생활] 많다, 많아도 너무 많다. 옛날이야 식초 하면 그냥 하나 사서 오이무침에도 넣고, 초간장 만들어부침개도 찍어먹고 두루두루 활용함에 별 불편함이 없었다. 근데 요즘은 달라졌다. 건강을 위해 마시는 흑초 부터, 올리브오일에 찍어먹는 발...

  • 누룩
  • 2013-03-29
  • 조회 수 6415

다시마식초 효능 '지방 분해에 탁월'‥ 만드는 법 의외로 간단

▲ 사진=조선일보 DB 지난 26일 방송된 TV조선 '살림 9단의 만물상'에 다시마식초가 등장하면서 다시마식초 효능에 대한 네티즌들의 관심이 급증했다. 방송에 따르면 다시마식초 효능은 지방 분해로, 다이어트와 미용에 탁월한 음식이다. 인터넷 ...

  • 누룩
  • 2014-02-03
  • 조회 수 6189

'명품' 수제맥주 병으로 나온다.

법 바뀌며 소규모 업체도 수제맥주 유통 가능 중소업체 병·캔 제품 출시..편의점·마트서 판매 식품회사도 수제맥주 관심.."맥주시장 다양화 전망" 이태원이나 강남의 고급 펍이 아닌 집에서도 병이나 캔으로 된 고급 수제맥주를 마시는 시대가 열리고 있다. ...

  • 누룩
  • 2015-03-30
  • 조회 수 5586

살아나는 지방 소주…생산설비 늘리고 수도권 공략 시동

각종 지방 소주가 진열된 모습. 한때 ‘고사’ 위기에 빠졌던 지방 소주 업체들이 반격에 나섰다. 지금까지 지방 소주 업체들은 서울, 경기 등 수도권에서 하이트진로, 롯데칠성 등 대기업 물량 공세에 밀려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했다. 충북, 전북, ...

  • 누룩
  • 2013-11-06
  • 조회 수 5586

슬럼프에 빠진 ‘전통주’ 막걸리 “사케·와인에 밀려…규제 풀고 경쟁해야”

‘전통주’ 막걸리가 슬럼프에 빠졌다. 지난해부터 하락세로 돌아선 막걸리가 부진의 늪에서 좀처럼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다. 2011년 거세게 불었던 막걸리 열풍이 무색할 정도다. 국내 막걸리 시장은 지난해 2006년 이후 6년 만에 처음으로 연간 시장 규모가 ...

  • 누룩
  • 2013-01-28
  • 조회 수 5423

맥주·소주·위스키 알콜도수는 왜 갈수록 낮아질까? file [1]

◇소주, 위스키도 알콜도수 낮춰야 팔린다=알콜도수 낮추기 경쟁은 이미 다른 주종에서도 활발하게 벌어지고 있다. 이전까지 소주 알콜도수는 25도였지만 1998년 23도로 낮아졌고, 2001년에는 다시 21도로, 2006년에는 20.1도로 떨어졌다. 하이트진로는 2006년...

  • 누룩
  • 2013-03-05
  • 조회 수 5262

월스트리트저널 1면에 '막걸리' 광고 등장

아주경제 박현주 기자=‘MAKGEOLLI?'. 유력 경제일간지인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막걸리’ 광고가 게재됐다. 21일자 1면에 실린 이 광고는 하얀 한복을 입은 배우 송일국이 막걸리 한 사발을 따라 두 손으로 공손히 권하고 있다. '막걸리'라는 제목 밑에는 '...

  • 누룩
  • 2013-05-21
  • 조회 수 5021

전통주 주인의 필수 여행지 누룩 수을길에 초대합니다

더 이상 말이 필요없는 전통주 酒人의 필수여행코스, 누룩 수을길 이번에는 전통주를 만드는데 가장 중요한 누룩을 찾아 여러 고수분과 같이 1박 2일 동안 전국을 누비고자 합니다. <세부일정> - 출발일 : 5월 22일 ~ 23일 (1박 2일) - 여행경비 : 175,000원 -...

양주, 맥주만 섞어 마셔? 전통주도 섞어 마신다

칵테일로 시작하는 전통주와 막걸리 이야기 강남/송파의 유명 번화가인 신천역은 언제나 젊은 층과 화려한 네온사인이 거리를 밝히고 있다. 길가에는 엑세서리 및 한국형 패스트 푸드를 파는 포장마차들이 즐비하여 일하는 모습에 활기 또한 느껴진다. 15년 전...

  • 누룩
  • 2013-06-20
  • 조회 수 4793

매실주 담글때 최적의 소주 도수는?

[화성=이영규 기자]매실주를 담글 때 가장 좋은 소주 도수는 19.5도로 나타났다. 또 매실주와 매실청은 담금 후 최소 1년 정도는 발효 숙성하는 것이 독성이 모두 제거돼 건강에 좋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10일 '가정에...

  • 누룩
  • 2013-06-12
  • 조회 수 4746

[4월 14일 토요일] 매화꽃따기와 술빚기체험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술샘 전설과 향긋한 매화 향기 속으로 봄을 가장먼저 알리는 대표적인 꽃... 매화를 만나러 4월 14일 다같이 떠나요~ 이번 수을길은 제천으로 매화꽃놀이와 전통방식대로 매화주빚기도 체험합니다. 가는 길에 우리나라 대표 술 유적인 영월 주천 술샘터에서 술...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