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하우스막걸리 (소규모주류제조면허 입법예고)

조회 수 3020 추천 수 0 2015.12.28 14:29:51

소규모주류제조면허


아주 오래전부터 주장했던 제도가 만들어졌다. 아주 단순했지만 오랜 시간이 걸렸다. 논리는 간단했다. 하우스맥주는 되고 왜 하우스 전통주는 안되냐. 이 단순한 논리가 오늘의 결과를 만들어 냈다.


1995년 오늘과 같이 큰 사건이 있었다. 집에서 술을 빚는 것이 허용된 것이다. 그 이전까지는 면허를 받지 않고 집에서 술을 제조하는 것 조차 조세범처벌법에 의해 조세포탈범이 되었었다. 그런 것이 1995년 12월 가양주가 허가 되었고 1996년부터 시행되었다. 데자뷰인가...

그로부터 20년이 지난 2015년 12월 소규모주류제조면허가 입법예고 되었고 2016년 1월에 시행될 예정이다. 가양주가 날개를 얻은 것이다. 이제 잘 날아다닐 수 있도록 좀 더 다듬고 방향을 제시해서 올바른 길로 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할 때인 것 같다.


가양주 허용이 우리술의 다양화와 소규모 제조에 대한 소비자의 선택을 받기 시작했고 많은 교육기관이 탄생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면,

소규모주류제조허용은 가양주와 소비자 사이에 연결 고리를 끼운 것이다. 가양주와 소비자를 댐이 막고 있었는데 이 댐이 무너지게 되었으니 소비자는 좀 더 쉽게 우리술을 즐길 수 있는 시대를 맡게 되었다. 내가 바라는 정도까지는 아니겠지만 도심 어디에서나 마트에서 판매하지 않는 이 집만의 술 맛을 볼 수 있는 시대를 맞이하게 된 것이다.


소규모주류제조면허 입법예고문을 보면


1. 종합주류도매업과 특정주류도매업면허를 가진 사람이 소규모주류제조면허를 받은 사람이 만든 술을 유통 시킬 수 있게 되었다.

2. 공간의 크기 제약 없이 1000리터 이상의 발효, 담금조로 허가 가능하다.


종합주류와 특정주류에서 소규모주류를 취급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은 매우 큰 의미가 있다. 술만 잘 만들어진다면 외부 유통을 좀 더 쉽게 할 수 있기때문이다. 업체에서 만들고 업체에서만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시설과 규모 그리고 품질이 뒷받침 된다면 기존 양조장과 같이 외부 유통을 좀 더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막걸리는 유통의 문제로 일반주류에서는 취급을 꺼려했지만 소규모주류제조면허가 약주와 청주까지 포함하게 되면서 판매의 범위가 넓어지게 된 것이다. 이제는 일반 주점에서도 전국의 유명한 하우스막걸리 제조업체에서 술을 받아 판매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즉, 저 시골의 소문난 맛집의 음식을 내일 아침이면 집 근처에서 먹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런 일들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아쉬운 점도 있다.


1. 탁주, 약주, 청주로 한정된 것에 더해 증류식소주까지 허용했어야 했다.

2. 우리가 주장한 것 처럼 지역특산주에 준하게 했어야 했다.


증류식소주까지 허용됐다면 아마도 증류식소주의 새로운 세상을 맞이하게 됐을 것이다. 일반 소주에 길들여진 소비자들에게 직접 내린 소주는 또 다른 술의 미각을 깨우치게 만들었을 것이다. 혹자는 숙성이 되지 않은 질이 떨어지는 술이 나올 것이라 생각할 수 있겠지만 지금 막 내린 소주의 매력또한 매우 크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 하나는 소규모주류제조면허를 받아 생산하는 주류는 지역특산주처럼 제조하는 모든 곡물을 국산으로 해야 했다. 사실, 이것이 농림축산식품부의 또 다른 목적중에 하나였기때문이다. 즉, 하우스막걸리가 주목적이지만 거기에 국산농산물 소비까지 덤으로 얻을 수 있었던 것이다.


이렇게 제도가 만들어진다 하더라도 방향을 제시하고 뒤에서 밀어주는 일을 할 수 있는 무엇인가가 필요하다. 하고 싶어도 하기 쉽지 않은 일이 될 수 있기때문이다. 그래서 그 방향을 하나씩 제시하기 위해 소규모주류제조에 대한 자문위원회를 구성하고 본 정보에 대해 좀 더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정보 지원에 최대한의 노력을 할 예정이다.


시작했으니 끝까지 책임을 진다.


2012년 3월 - 아마도 이 기사가 소규모전통주제조면허에 대해 나온 첫 기사일 것이다.(찾아본바에 의하면) 이 논리로 여기까지 왔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3&aid=0004368795


2014년 6월 28일 라디어 방송 : 이 방송 이후 2개월 후에 농림축산식품부와 기획재정부에서 하우스막걸리 도입 보도자료가 배포됐다.


2014년 10월 : 이동필 장관님께 하우스막걸리가 꼭 통과 될 수 있도록 부탁드렸다. 그리고 얼마후 장관님께서 하우스막걸리 도입한다고 보도자료가 배포됐다. 만약, 이동필 장관님께서 장관이 되지 않았다면 이 제도는 마련되지 않았을 것이다.

2015년 2월 : 1월에 이동필장관께서 하우스막걸리 도입한다라고 기사가 나오고 그 후속으로 우리술교육훈련기관에서 토론회를 마련했다.

그리고 2015년 12월 24일 크리스마스 이브에 "소규모주류제조면허"가 입법예고


2016년 1월 시행될 예정이다.


가양주제조 허가 후 20년 만의 낭보이다.



첨부파일 : 소규모주류제조면허+입법예고.pdf



 
출처 : 술독닷컴  글작성 가양주연구소 류인수
전통주배우기,전통주연구소,가양주연구소,가양주만들기,전통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알쏭달쏭 건강상식 : 식초음료 마시면 뼈가 정말 유연해질까? [5]

식초는 희석된 아세트산, 몸이 날마다 만들어요 식초는 몇 가지 물질의 혼합물인데, 이 중 식초의 독특한 성질을 결정하는 것은 보통 아세트산이라고 부르는 물질입니다. 식초는 희석된 아세트산이라고 할 수 있고, 수분이 거의 섞이지 않은 순수 아세트산...

  • 누룩
  • 2013-05-07
  • 조회 수 2812

[SPECIAL REPORT] ‘맛·향·스토리’ 多 있다…르네상스 꿈꾸는 전통주들

‘이건희 만찬주’ 계기로 시장 들썩…현대화·산업화 통해 재탄생 음주 문화는 트렌드의 영향을 받는다. 그래서 사람들이 즐기는 주종도 유행에 따라 열풍처럼 급속도로 변화하곤 한다. 과거 몇 년 동안의 트렌드를 살펴보면 와인 붐이 불더니 일본 사케를 즐...

  • 누룩
  • 2014-01-24
  • 조회 수 2820

'하우스 막걸리'의 부활 file

'하우스 막걸리'의 부활 주막이 부활하고 있다. 지난 2월 주세법이 개정되면서 대형 양조장이 아닌 음식점에서도 직접 담근 막걸리·청주·약주를 팔 수 있게 됐다.옛 주막과 지금 주막은 어떻게 같고 다를까. 조선 시대 마지막 주막으로 알려진 경북 예천 ‘삼강...

  • 누룩
  • 2016-10-13
  • 조회 수 2835

전통주와 창조경제란? 전통주 시장의 최신 트랜드

최근 창조경제와 관련되어 전통주 산업 부분에 대한 정부부처의 견해가 기사화되고 있다. 주 내용은 규제 완화. 현행 주세법상으로는 무형문화재 및 전통식품 명인이 빚은 술 그리고 영농법인 등이 지역에 인접한 시/군/구에서 생산한 농산물로 생산되는 지역 ...

  • 누룩
  • 2014-04-24
  • 조회 수 2860

술에도 성별이? 한일 대표 술, 막걸리와 사케의 역사 [5]

최근 수년간 막걸리는 수출량의 급진적인 증가로 세계화에 성공했다는 사케(일본식 청주)와 자주 비교를 해 왔다. 2011년도에는 한국의 사케 수입량보다 수출량이 많았다는 이유로 ‘막걸리 사케에 압승’이란 표현도 했으며, 2012년도에는 ‘사케 웃고, 막걸리 ...

  • 누룩
  • 2013-01-25
  • 조회 수 2875

[전주 막걸리 여행, 맛과 정으로 차린 한 상]

전주 삼천동 막걸리 골목(서울=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전주 막걸리 골목은 한옥마을, 비빔밥, 콩나물국밥과 함께 전주를 대표한다. kjhpress@yna.co.kr (전주=연합뉴스) 임동근 기자 = “아줌마, 여기 주전자 하나 추가요!” 한쪽이 찌그러진 주전자에 막걸리...

  • 누룩
  • 2014-03-21
  • 조회 수 2882

꽃 향기를 품은 ‘전통주·위스키·맥주’ 활짝 폈다.

에스테르 화합물 술 숙성 과정서 향기 내 국화·매화 등 100% 꽃잎 쓴 전통주부터 원액 숙성 시킨 위스키·맥주 등도 인기 꽃향기를 품은 술이 주목받고 있다. 술이 숙성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에스테르 화합물은 꽃향기와 유사한 향을 낸다. 또 원료가 자...

  • 누룩
  • 2014-05-14
  • 조회 수 2928

전남도, 남도 전통술 품평회 통해 11종 선발

[호남타임즈=백대홍기자]전라남도가 ‘2012년 남도 전통술 품평회’를 통해 지역을 대표하는 명품 술로 순천 팔마탁주 ‘친구사이’ 등 남도명주 11종을 최종 선발했다. 품평회는 지역을 대표하는 18개 전통술 제조업체에서 22개 제품이 출품돼 나름대로 전통비법...

  • 약손
  • 2012-09-18
  • 조회 수 2981

[즐거운 설]전통주와 주스의 환상적 만남, 힐링酒에 피로가 싹 [1]

● 명절 ‘건강 음주’ 칵테일이 뜬다 설 명절 전통주를 마실 때 과음은 금물이다. 막걸리나 전통주로 칵테일 한 잔을 마시면 건강과 웰빙의 상쾌한 맛을 느낄 수 있다. 이때 파전이나 견과류를 곁들이면 더욱 멋이 난다. 싱글몰트 위스키인 글렌피딕에 물과 ...

  • 누룩
  • 2013-02-08
  • 조회 수 2987

제조 금지부터 막걸리 팥빙수까지… 막걸리 변천사

현대사로 보는 막걸리 변천사 우리나라에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음식인 김치가 있다. 김치가 대표적인 이유는 김치가 가지고 있는 상징성, 그리고 국민 통합이라는 미학이 있다. 아무리 유명한 정치가든 기업의 총수든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김치라는 ...

  • 누룩
  • 2013-06-27
  • 조회 수 2991

“전통주 소믈리에 연구 더 힘써야죠” file

경남대 관광학부 ‘경남도 대회’서 도지사상 등 15명 수상 ▲ 경남대학교 관광학부 학생들이 ‘2014 경남도 전통주 소믈리에&칵테일 대회’에서 도지사상 등을 받은 후 상장을 들어 보이고 있다. 경남대학교 관광학부 Green & Blue 융합형 관광전문인력 ...

  • 누룩
  • 2014-11-25
  • 조회 수 3016

하우스막걸리 (소규모주류제조면허 입법예고) file

소규모주류제조면허 아주 오래전부터 주장했던 제도가 만들어졌다. 아주 단순했지만 오랜 시간이 걸렸다. 논리는 간단했다. 하우스맥주는 되고 왜 하우스 전통주는 안되냐. 이 단순한 논리가 오늘의 결과를 만들어 냈다. 1995년 오늘과 같이 큰 사건이 있었다....

  • 누룩
  • 2015-12-28
  • 조회 수 3020

막걸리, 중기적합업종 지정이 毒됐나

5년만에 출하량 첫 감소, 대기업 규제후 사업 철수.. 마케팅·프로모션 등 급감 업계 "시장 침체 가속화" 막걸리시장 보호를 위한 '중소기업 적합품목' 지정이 오히려 막걸리시장 침체를 가속화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대기업 참여 제한을...

  • 누룩
  • 2013-07-18
  • 조회 수 3021

효과 높은 식초 다이어트, 제대로 하려면

요즘 ‘식초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식초는 몸 안의 영양물질을 분해하고 합성해 에너지를 만들고, 필요하지 않은 성분은 몸 밖으로 내보내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비만을 예방하고 살을 빼는데 효과가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

  • 누룩
  • 2013-09-30
  • 조회 수 3023

<막걸리를 찾는 사람들>약으로 쓰이는 웰빙막걸리

막걸리가 발효되는 모습<사진: 주류문화칼럼니스트 명욱> 아주경제 김선국 기자=최근 막걸리가 항암, 소염, 비만억제 등에 효과가 좋은 것으로 밝혀졌다. 막걸리에 함유된 미생물에 의한 생리활성물질(항균물질)의 기능과 효능이 과학적으로 증명되고...

  • 누룩
  • 2013-07-30
  • 조회 수 312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