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국(神麴, 약누룩)

조회 수 2951 추천 수 0 2005.09.27 15:16:27
제목 : 신국(神麴, 약누룩)  



성질은 덥고[煖] (따뜻하다[溫]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입맛이 나게 하고 비(脾)를 든든하게 하며 음식이 소화되게 하고 곽란, 설사, 적백이질을 멎게 한다. 징결( 結, 뱃속에 덩어리가 생긴 것)을 헤치고[破] 담이 치밀어 올라 가슴이 그득한 것[痰逆胸滿]을 내리며 장위 속에 음식이 막혀서 내리지 않는 것[腸胃中塞]을 내리게 하고 유산되게 하며 귀태(鬼胎)를 나오게 한다[본초].

○ 약에 넣을 때에는 고소한 냄새가 나게 닦아서[炒] 넣는다. 불에 닦은 것은 자연계의 5기를 돕고 양명경으로 들어간다[탕액].

○ 홍국(紅麴)은 피를 잘 돌게 하고 음식이 소화되게 하며 이질을 멎게 한다. 홍국이라는 것도 신국인 것 같다.

○ 신국을 만드는 방법은 잡방(雜方)에 자세하게 씌어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가입인사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06-11-07 11517
165 동행근(東行根, 동쪽으로 뻗은 능금나무뿌리) 2005-09-16 2243
164 동규근(冬葵根, 돌아욱뿌리) 2005-09-16 2028
163 호과근(胡瓜根, 오이뿌리) [1] 2005-09-16 2226
162 고거근(苦 根, 고거뿌리) 2005-09-16 2094
161 제채근(薺菜根, 냉이뿌리) 2005-09-16 2060
160 총근( 根, 파뿌리) 2005-09-16 2308
159 영실근(營實根, 찔레나무뿌리) 2005-09-16 3006
158 속미(粟米, 좁쌀) 2005-09-27 2569
157 진속미(陳粟米, 묵은 좁쌀) 2005-09-27 2047
156 속미분(粟米粉, 좁쌀가루) 2005-09-27 2137
155 속미분구(粟米粉 , 좁쌀미싯가루) 2005-09-27 2960
154 속미감즙(粟米 汁, 좁쌀 씻은 물) 2005-09-27 2054
153 갱미(粳米, 멥쌀) 2005-09-27 2156
152 진름미(陳 米, 묵은 쌀) [1] 2005-09-27 2054
151 나미( 米, 찹쌀) 2005-09-27 1993
150 청량미(靑梁米, 생동쌀) 2005-09-27 2419
149 서미(黍米, 기장쌀) 2005-09-27 2768
148 단서미(丹黍米, 붉은 기장쌀) 2005-09-27 2363
147 출미( 米, 찰기장쌀) [1] 2005-09-27 2298
146 청과맥(靑顆麥, 쌀보리) 2005-09-27 196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