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미( 米, 찰기장쌀)

조회 수 2271 추천 수 1 2005.09.27 15:07:16
제목 : 출미( 米, 찰기장쌀)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 (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대장을 순조롭게 하고 옻이 올라 헌 것[漆瘡]을 치료하며 옴독과 열을 없앤다. 그러나 5장의 기운을 막히게 하고 풍(風)을 동(動)하게 하기 때문에 늘 먹어서는 안 된다[본초].

○ 도교를 믿는 사람들은 이것을 귀하게 여기면서 술을 만드는 데는 다른 쌀보다 좋다고 한다[본초].

○ 사람들은 이것으로 술과 엿을 만든다[본초].

○ 기장(黍米)과 비슷하나 알이 잘다. 북쪽 지방 사람들은 이것을 보고 황미(黃米)라고도 하고 황나(黃 )라고도 하는데 술을 만드는 데는 제일 좋은 것이다[본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가입인사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06-11-07 11177
45 괴실(槐實, 홰나무열매) 2005-08-29 2142
44 갱미(粳米, 멥쌀) 2005-09-27 2136
43 백호(白蒿, 다북떡쑥) 2005-09-27 2129
42 약을 말리는 방법[乾藥法] [1] 2005-11-19 2128
41 속미분(粟米粉, 좁쌀가루) 2005-09-27 2116
40 국(麴, 누룩) 2005-09-27 2115
39 동규엽(冬葵葉, 돌아욱잎) [1] 2006-02-11 2113
38 대황(大黃) 2006-03-12 2112
37 이엽(梨葉, 배나무잎) [1] 2006-02-11 2105
36 정력자( 子, 꽃다지씨) 2005-10-31 2102
35 애실(艾實, 약쑥씨) 2005-09-27 2100
34 양척촉(羊 , 철쭉꽃) [1] 2005-10-31 2098
33 납설수(臘雪水, 섣달 납향에 온 눈 녹은 물) 2006-02-20 2092
32 호초(胡椒, 후추) 2006-03-13 2084
31 선화(旋花, 메꽃) 2005-10-31 2077
30 납설수(臘雪水, 섣달 납향에 온 눈 녹은 물) 2006-12-03 2074
29 국화수(菊花水, 국화 밑에서 나는 물) 2006-02-17 2067
28 정화수(井華水, 새벽에 처음 길은 우물물) 2006-02-17 2067
27 백출(白朮, 흰삽주) 2006-05-13 2065
26 옥유수(屋 水, 볏짚 지붕에서 흘러 내린 물) [1] 2006-02-27 205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