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미( 米, 찰기장쌀)

조회 수 2291 추천 수 1 2005.09.27 15:07:16
제목 : 출미( 米, 찰기장쌀)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 (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대장을 순조롭게 하고 옻이 올라 헌 것[漆瘡]을 치료하며 옴독과 열을 없앤다. 그러나 5장의 기운을 막히게 하고 풍(風)을 동(動)하게 하기 때문에 늘 먹어서는 안 된다[본초].

○ 도교를 믿는 사람들은 이것을 귀하게 여기면서 술을 만드는 데는 다른 쌀보다 좋다고 한다[본초].

○ 사람들은 이것으로 술과 엿을 만든다[본초].

○ 기장(黍米)과 비슷하나 알이 잘다. 북쪽 지방 사람들은 이것을 보고 황미(黃米)라고도 하고 황나(黃 )라고도 하는데 술을 만드는 데는 제일 좋은 것이다[본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가입인사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06-11-07 11383
165 동행근(東行根, 동쪽으로 뻗은 능금나무뿌리) 2005-09-16 2232
164 동규근(冬葵根, 돌아욱뿌리) 2005-09-16 1992
163 호과근(胡瓜根, 오이뿌리) [1] 2005-09-16 2214
162 고거근(苦 根, 고거뿌리) 2005-09-16 2076
161 제채근(薺菜根, 냉이뿌리) 2005-09-16 2045
160 총근( 根, 파뿌리) 2005-09-16 2291
159 영실근(營實根, 찔레나무뿌리) 2005-09-16 2986
158 속미(粟米, 좁쌀) 2005-09-27 2559
157 진속미(陳粟米, 묵은 좁쌀) 2005-09-27 2010
156 속미분(粟米粉, 좁쌀가루) 2005-09-27 2133
155 속미분구(粟米粉 , 좁쌀미싯가루) 2005-09-27 2951
154 속미감즙(粟米 汁, 좁쌀 씻은 물) 2005-09-27 2041
153 갱미(粳米, 멥쌀) 2005-09-27 2148
152 진름미(陳 米, 묵은 쌀) [1] 2005-09-27 2038
151 나미( 米, 찹쌀) 2005-09-27 1977
150 청량미(靑梁米, 생동쌀) 2005-09-27 2397
149 서미(黍米, 기장쌀) 2005-09-27 2751
148 단서미(丹黍米, 붉은 기장쌀) 2005-09-27 2360
» 출미( 米, 찰기장쌀) [1] 2005-09-27 2291
146 청과맥(靑顆麥, 쌀보리) 2005-09-27 195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