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미( 米, 찹쌀)

조회 수 1953 추천 수 1 2005.09.27 15:04:29
제목 : 나미( 米, 찹쌀)  



성질이 차고[寒](약간 차다[微寒]고도 하고 서늘하다[ ]고도 한다) 맛이 달면서 쓰고[甘苦] 독이 없다. 중초를 보하고 기를 생기게 하여 곽란을 멎게 한다. 그러나 열을 많이 생기게 하여 대변을 굳어지게 한다[본초].

○ 여러 경락을 막히게 하여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하게 하며 풍(風)을 일으키고 기(氣)를 동(動)하게 하며 정신이 얼떨떨하게 하여 자게 하므로[昏昏多睡] 많이 먹어서는 안 된다. 오랫동안 먹으면 몸이 약해진다. 고양이나 개가 먹으면 다리가 굽어 들어 잘 다니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사람은 힘줄이 늘어지게 된다[본초].

○ 찹쌀이라는 글자는 연할‘연(軟)’자의 뜻을 땄는데 그것은 쌀이 차분차분하고 풀기가 있기 때문이다. 즉 찰벼쌀을 말한다. 요즘 사람들은 이것으로 술과 엿을 만든다[입문].

○ 찹쌀은 찰진 벼의 쌀이고 멥쌀은 찰지지 않은 벼의 쌀이다. 그러므로 멥쌀과 찹쌀은 거의 비슷하다. 그러나 찰지고 찰지지 않은 것이 다르다[본초].

○ 벼는 가스랭이(芒)가 있는 곡식인데 멥벼와 찰벼를 통틀어 벼라고 한다[본초].

○ 찹쌀은 성질이 차지만[寒] 술을 만들면 성질이 열(熱)해진다. 그리고 술지게미(糟)는 성질이 따뜻하고[溫] 평(平)하다. 이것은 마치 약전국과 장의 성질이 같지 않은 것과 같다[본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가입인사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06-11-07 11266
45 비파실(枇杷實, 비파나무열매) 2007-02-11 2590
44 뜸쑥을 만드는 법[製艾法] [1] 2005-09-27 2597
43 눈 앞에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眼花] 2005-10-31 2633
42 산조인(酸棗仁, 메대추씨) 2006-07-03 2637
41 자주에 들어가는 약재모음 2006-03-20 2686
40 풍으로 머리가 흔들리는 것[風頭旋] 2006-11-14 2713
39 서미(黍米, 기장쌀) 2005-09-27 2736
38 낭아(狼牙, 집신나물) 2006-07-19 2768
37 백두옹(白頭翁, 할미꽃뿌리) 2005-10-31 2794
36 천남성(天南星) [2] 2006-02-27 2806
35 인진호(茵陳蒿, 생당쑥) [1] 2005-09-27 2845
34 조협( 莢, 주염열매) 2005-08-29 2855
33 조엽(棗葉, 대추나무잎) 2006-01-25 2871
32 신국(神麴, 약누룩) 2005-09-27 2897
31 도화(桃花, 복숭아꽃) 2005-10-31 2918
30 오배자(五倍子, 붉나무열매집) 2005-08-29 2934
29 속미분구(粟米粉 , 좁쌀미싯가루) 2005-09-27 2937
28 영실근(營實根, 찔레나무뿌리) 2005-09-16 2963
27 약누룩을 만드는 방법[造神麴法] 2005-09-27 2971
26 백세주에 들어가는 약재들 2006-04-12 306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