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협( 莢, 주염열매)

조회 수 2847 추천 수 1 2005.08.29 11:55:57
유인수 61.248.
조협( 莢, 주염열매)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은 맵고[辛] 짜며[ ] 조금 독이 있다. 뼈마디를 잘 쓰게 하고 두풍(頭風)을 낫게 하며 9규를 잘 통하게 하고 담연을 삭게 한다. 기침을 멈추며 창만을 낫게 하며 징가를 헤치고 유산시킨다. 또 중풍으로 이를 악문 것을 낫게 하며 노채충(勞 蟲)을 죽인다.

○ 곳곳에서 난다. 나무의 키는 높고 가지 사이에서 큰 가시가 돋아 있다. 음력 9-10월에 열매를 따서 그늘에서 말린다. 장조협(長 莢), 저아조협(猪牙 莢) 등 두 가지가 있는데 지금 의사들은 풍기를 없애는 알약이나 가루약에는 장조협을 쓰고 이빨의 병과 적을 낫게 하는 약에는 저아조협을 많이 쓴다. 성질과 맛은 대체로 비슷하다.

○ 좀 안 먹고 잘 여문 것이 좋다. 주염열매 달인 물로 목욕하면 때가 아주 잘 씻어진다[본초].

○ 궐음경으로 들어가는 약이다. 껍질과 씨를 버리고 졸인 젖( )을 발라 굽거나 꿀을 발라 구워서 쓴다[입문].

○ 쇠모루에 금, 은을 두드리면 천백 년까지도 깨지지 않는데 주염열매를 놓고 두드리면 곧 부서진다. 일명 조각( 角)이라고도 한다[단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가입인사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06-11-07 11248
25 창포(菖蒲, 석창포)- 석창포주 2006-04-22 3100
24 지황술(地黃酒) 2006-03-31 3116
23 자아목정즙(慈鴉目睛汁) 2007-04-27 3581
22 서리태 2008-02-12 3862
21 대두(大豆, 콩) 2008-02-12 3891
20 백질려(白 藜, 남가새열매) 2007-03-17 3943
19 석회(石灰) [2] 2008-12-23 3956
18 인유즙(人乳汁) [1] 2007-04-27 4021
17 여두( 豆, 쥐눈이콩) 2008-02-12 4053
16 계피(桂皮) [1] 2008-12-23 4086
15 생강(生薑) [1] 2008-12-23 4100
14 총엽( 葉, 파잎) [1] 2008-12-23 4130
13 오두(烏頭) [1] 2008-12-23 4199
12 총근( 根, 파뿌리) [8] 2008-12-23 4279
11 고려수지침요법학회의 자료협조 [1] 2006-02-21 4329
10 적소두(赤小豆, 붉은팥) [2] 2008-12-23 4400
9 오미자에 대하여 file [1] 2012-09-27 4409
8 파두(巴豆) 2008-12-23 4548
7 비상(砒霜 ) [1] 2008-12-23 4800
6 당귀주 제조법 2008-09-19 506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