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배자(五倍子, 붉나무열매집)

조회 수 2920 추천 수 1 2005.08.29 11:55:13
유인수 61.248.
오배자(五倍子, 붉나무열매집)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쓰고[苦] 시며[酸] 독이 없다. 치선(齒宣)과 감닉, 폐에 풍독이 있어서 피부가 헐거나 버짐이 생겨 가렵고 고름 또는 진물이 흐르는 것을 낫게 하며 5가지 치질로 하혈이 멎지 않는 것, 어린이의 얼굴과 코에 생긴 감창(疳瘡), 어른의 입 안이 헌 것 등을 낫게 한다.

○ 곳곳에 있는데 붉나무의 잎에서 생긴다. 음력 7월에 열리는데 꽃은 없다. 생것은 푸르고 익으면 누렇다. 큰 것은 주먹만 하며 속에 벌레가 많다. 음력 9월에 따서 햇볕에 말린다. 일명 백충창(百蟲倉) 또는 문합(蚊蛤)이라고도 한다[본초].

○ 속에 벌레를 긁어 버리고 끓는 물에 씻어서 날것대로 쓴다. 알약으로는 약간 닦아서 넣는다[입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가입인사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06-11-07 11169
25 모화(茅花, 띠꽃) 2005-10-31 2050
24 고거근(苦 根, 고거뿌리) 2005-09-16 2047
23 노화(蘆花, 갈대꽃) 2005-10-31 2030
22 사상자(蛇床子, 뱀도랏열매) 2005-08-29 2017
21 속미감즙(粟米 汁, 좁쌀 씻은 물) 2005-09-27 2014
20 진름미(陳 米, 묵은 쌀) [1] 2005-09-27 2013
19 제채근(薺菜根, 냉이뿌리) 2005-09-16 2013
18 백단향(白檀香) 2006-03-13 2006
17 상실(橡實, 도토리) 2006-10-24 2003
16 나미( 米, 찹쌀) 2006-03-08 2003
15 금설(金屑, 금가루) 2006-11-22 1999
14 학슬(鶴蝨, 담배풀열매) 2005-08-29 1992
13 마근(麻根, 삼뿌리) 2005-09-16 1967
12 진속미(陳粟米, 묵은 좁쌀) 2005-09-27 1962
11 계피(桂皮) 2005-12-31 1956
10 갱미(粳米, 멥쌀) 2006-03-08 1945
9 나미( 米, 찹쌀) 2005-09-27 1941
8 홍촉규엽(葉, 홍촉규잎) 2006-02-11 1938
7 청과맥(靑顆麥, 쌀보리) 2005-09-27 1932
6 동규근(冬葵根, 돌아욱뿌리) 2005-09-16 193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