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수요 산책] 퇴근길 전통주 한 잔

조회 수 1178 추천 수 0 2015.04.08 14:49:08


지난해 말 혼자 사는 연예인의 생활상을 낱낱이 보여주는 한 TV 프로그램에서 프랑스 출신 방송인이 와인을 끓여 먹는 모습이 방송된 적이 있었다. 이 프로그램을 즐겨 보는 미혼남녀 등 많은 사람의 관심이 집중된 끓인 와인의 정체는 바로 '뱅쇼(Vin Chaud)'. 와인에 몸을 따뜻하게 만들어주는 계피와 비타민 C가 풍부한 과일을 넣고 따뜻하게 데워 먹는 술이다. 

모주·도소주 등 좋은 술 많아 

뱅쇼만큼의 유명세를 타지는 못했지만 우리나라에도 뱅쇼처럼 따끈하게 데워 가볍게 마실 수 있는 술이 있다. 바로 전주의 '모주'다. 모주는 막걸리에 생강·대추·감초·인삼 등 한약재와 계피가루를 넣고 끓인 갈색빛 도는 술로 은은한 계피향과 낮은 알코올 도수가 특징이다. 듣기에 생소한 '도소주'라는 전통주도 있다. 설날 아침 어른뿐만 아니라 아이들도 함께 나눠 먹던 세시주(歲時酒)다. 백미·대황·천초·거목 등 한약재를 주머니에 넣어 우물에 담가놓았다가 건져 맑은 술과 함께 끓여 먹는다. 향은 물론 목 넘김까지 순해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술이다. 


이렇듯 우리나라 전통주에도 좋은 술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맥주·와인·양주 등의 인기가 월등히 높다. 한국주류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 2012년 우리나라 국민 알코올 소비량은 1인당 평균 9.16ℓ. 이 중 소주가 5.69ℓ, 맥주 2.01ℓ, 와인 등 기타 주류가 1.04ℓ인 것으로 나타났다. 몇 년 전 참살이와 한류 바람 등을 타고 인기를 끌었던 우리 술 막걸리도 수입맥주 등에 밀려 소비량이 감소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3년 막걸리 소비량은 36만6,470㎘로 2011년 40만8,248㎘에 비해 10% 이상 줄어들었다고 한다.
 
몇 년 전 흥미로운 기사를 접한 적이 있다. 교토·가고시마 등 일본 13개 시에서 지역 전통주를 건배주로 쓰거나 첫 잔으로 마실 것을 권하는 조례가 통과됐다는 보도였다. 이는 급감하는 전통주 소비량에 위기감을 느낀 일본 지자체들이 전통주 판매 장려를 위해 내놓은 고육지책이었다. 현지 반응은 매우 긍정적이었다고 한다. 

정부 차원에서 전통주 보급을 위해 나서는 것은 비단 일본뿐만이 아니다. 최근 20~30대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멕시코 대표 증류주 테킬라 또한 멕시코 정부의 철저한 관리 아래 생산되고 있다. 일찍이 테킬라의 상업적 가치를 인식한 멕시코 정부는 테킬라의 전통을 보존하기 위해 지정된 5개 주에서만 테킬라 생산을 허가하고 있으며 엄격한 법률로 '테킬라'라는 명칭을 보호하고 있다. 덕분에 테킬라는 2013년 약 1조원의 수출 실적을 올리는 멕시코의 효자상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현재 우리 정부도 전통주 활성화를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각 지역의 전통주를 국내외 정부 행사에서 건배주로 활용하는 것은 물론 '우리술 품평회'와 같은 대규모 행사를 열어 전통주를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앞으로 소규모 맥주 양조장처럼 막걸리도 소량 생산해 자체 브랜드를 붙여 판매하는 '하우스 막걸리'와 국산 곡물로 만든 고급 브랜드의 소주 등 전통주 다양화를 통해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폭도 넓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더불어 유통 관련 규제가 완화된다면 소비자가 손쉽게 전통주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일상속에서 우리 맛·향 즐겨야 

아직도 많은 사람이 전통주하면 맛보다는 약효를, 파티모임보다는 고급 선물이나 명절을 떠올릴 것이다. 우리 안에 자리 잡고 있는 전통주에 대한 선입견이 줄어들 때 전통주는 소주나 맥주처럼 우리 일상 속에 스며들 것이며 와인이나 보드카처럼 세계인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는 퇴근길 '한 잔'이나 회식 때의 '위하여'와 같은 일상 속에서 전통주를 즐겨보는 것은 어떨까. 한 잔 안에 담긴 깊은 맛과 향에 우리의 일상은 한층 더 즐거워질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대전일보 [대덕포럼] 물은 100도에서 끓지 않는다

증류주 수업 내용 중에서, 높은 도수의 알코올을 얻기위해 연속식 증류기를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95% 이상의 증류주를 뽑아내는 것은 힘들다는 것을 알게됩니다. 99% 이상의 순수한 에탄올을 얻으려면 별도의 탈수공정이 필요합니다. 그 원인은 바로 공비현상...

  • 누룩
  • 2017-03-10
  • 조회 수 1143

[경제] 집에서 가볍게 한잔… 가정용 주류가 뜬다 file

[경제] 집에서 가볍게 한잔… 가정용 주류가 뜬다 게재 일자 : 2016년 08월 04일(木) 김영란법까지… 유흥시장 위축 과일 맥주·탄산주 등 쏟아져 오는 9월 말로 예정된 ‘부정 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김영란 법) 시행으로 주류 시장이 요동칠...

  • 누룩
  • 2016-08-08
  • 조회 수 1143

전통주 막걸리, 세계 주요 주류품평회서 공식 인정받는다. file

* 벨기에의 국제식품품평회 홈페이지에 막걸리 부문이 신설됐다. (사진=국순당) 우리나라 대표적인 전통주인 막걸리가 세계 주류시장에서 와인, 위스키, 사케 등과 당당하게 어깨를 나란히 하며 국제적인 주요 주류품평회에 공식 출품부문(Category)으로 ...

  • 누룩
  • 2015-03-09
  • 조회 수 1142

무형의 가치 이어온 전통술 이야기…‘술, 이야기로 빚다’ 특별전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이 무형의 가치를 이어온 전통술 이야기를 꺼냈다. 우리나라 전통술을 주제로 한 ‘술, 이야기로 빚다’ 특별전을 통해서다. 무형유산원(전북 전주)은 오는 22일부터 8월 30일까지 원내 기획전시실에서 특별전(무료)을 통해 전통주에 담...

  • 누룩
  • 2015-05-14
  • 조회 수 1141

머니투데이 서울 팝업 '잇!서울', 후쿠오카에서 한식과 서울의 맛과 멋 알려 file

서울시, 음식을 통해 서울의 멋을 알리는 ‘잇!서울 @ 후쿠오카’ 성공적 개최머니투데이 더리더 송민수 기자입력 : 2018.10.04 11:58 페이스북 트위터 서울시는 음식을 통해 서울의 멋을 알리는 프로젝트 ‘잇!서울(Eat! Seoul)’의 후쿠오카 편 ‘잇!서울 @ 후쿠...

  • 누룩
  • 2018-10-05
  • 조회 수 1141

충청일보 '2018 대전국제와인페어', 전통주 명인(名人)과 함께!

[대전=이한영 기자] 대전마케팅공사(사장 최철규)는 '2018 대전국제와인페어'에서 (사)한국전통식품명인협회와 함께 '대한민국 식품명인(名人)관'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대한민국 식품명인관'에서는 전통주 위주의 명인 제품을 전시·홍보하고 명인의 전통주 ...

  • 누룩
  • 2018-08-27
  • 조회 수 1139

샐러드바부터 펍 프랜차이즈까지…전통주 형제 기업의 ‘외식 新실험’

샐러드바부터 펍 프랜차이즈까지…전통주 형제 기업의 ‘외식 新실험’정석만의 기사 더보기▼ | 기사승인 2016. 11. 07. 05:00 11국순당, 자회사 통해 샐러드바 매장 오픈 배상멵주가, 펍 프랜차이즈 사업 도전 올드한 전통주점 탈피해 2030 및 여성 겨냥 아시아...

  • 누룩
  • 2016-11-07
  • 조회 수 1138

[이색직업] 음식·입맛에 맞는 최고의 막걸리 찾아주는 '막걸리 소믈리에'

" src="http://www.viva100.com/mnt/images/file/2015y/02m/23d/2015022201000645600026101.jpg" border="0">지난해 서울 종로구 인사동 남인사마당에서 막걸리 날의 맞아 열린 ‘막걸리, 세계로 2014 막걸리 페스티벌’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들이 막걸리 소믈리...

  • 누룩
  • 2015-02-23
  • 조회 수 1138

[해럴드경제] “송편 칵테일, 들어는 봤나” ‘K-힙’ 만난 하이볼, 대세가 되다 [언박싱]

SSG닷컴이 술 전문 유튜버인 ‘술익는집’과 협업해 만든 전통주 하이볼 세트 [SSG닷컴 제공] 서울 종로구 서촌 지역에 위치한 한옥 칵테일 바 ‘바 참’ [인스타그램 캡처] [헤럴드경제=이정아 기자] 15일 서울 종로구 서촌 지역의 고즈넉한 골목에서 만난 한옥....

  • 누룩
  • 2023-05-18
  • 조회 수 1136

김장훈 서경덕, 막걸리 유랑단 결성…전통주 살리기 나서

▲ 김장훈과 서경덕 교수가 의기투합해 막걸리 홍보에 나섰다. 가수 김장훈과 성신여대 서경덕 교수가 막걸리 홍보에 나섰다. 지난 4월 배우 송일국과 함께 시작한 '막걸리 유랑단' 행사는 유명 전통시장을 방문해 막걸리와 전통안주를 시장 방문객들과 함께 나...

  • 누룩
  • 2014-06-20
  • 조회 수 1136

헤럴드경제 수제맥주ㆍ전통주 대형마트 판매 길 열렸다

[헤럴드경제=유재훈 기자] 수제맥주와 전통주 등 소규모 주류의 소매점 유통이 허용된다. 소규모주류제조면허의 식품접객업 영업허가ㆍ신고 요건도 사라지게 돼 관련 시장이 확대될 전망이다. 정부는 26일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

  • 누룩
  • 2018-03-27
  • 조회 수 1136

[매일경제 MBN][천수현의 술익는 여행] 90년 전통의 맛집이 탁주를 빚기 시작한 이유 file

`역전주`는 노포 `역전회관`에서 빚고 있는 수제 막걸리다. 바싹불고기로 90년이 넘도록 사랑받은 전통의 맛집이 왜 막걸리를 빚기 시작했을까. 변화는 3세들이 운영에 뛰어들면서부터 일어났다. 금속공예 디자인을 공부한 첫째, 호텔경영과 요리를 공부한 ...

  • 누룩
  • 2020-01-20
  • 조회 수 1131

[DAILY POP] 주류 열량 자율표시제, 와인까지 '저칼로리' 경쟁에 합세할까? file

이수현 승인 2023.02.10 17:49 2025년까지 주류 열량 자율표시제 단계적으로 확대 소주ㆍ맥주, 저칼로리 제품 출시 및 리뉴얼 왼쪽부터 롯데칠성음료 '처음처럼 새로.' 하이트진로 '진로이즈백' 식음료 시장에서 설탕 없는 '제로 음...

  • 누룩
  • 2023-02-10
  • 조회 수 1130

[강원일보][대청봉]전통주로 지역의 미래 찾자

양양주재 부국장 2019-8-26 (월) 18면 박영창 양양주재 부국장 올해는 주세법 시행 110년이 되는 해다. 1909년 주세법이 발효되고 1910년 완전히 주권을 잃자 1916년 일제는 주세령을 실시하게 된다. 1916년 시작된 주세령의 핵심은 자가용 술의 제...

  • 누룩
  • 2019-08-26
  • 조회 수 1129

[막걸리 산행] 발효하면 순창…술이 맛있을 수밖에요

글 손수원 기자 사진 한준호 차장 다정한 부부가 빚는 술은 향기롭다. 도시 생활을 하던 임숙주&김수산나 부부는 순창으로 내려와 좋은 술을 빚으며 ‘인생 제2막’을 살고 있다. 전북 순창은 고추장의 고장이다. 고추하면 청양도 있고 영양도 있고 괴...

  • 누룩
  • 2021-08-19
  • 조회 수 112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