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내 몸의 해독제 전통식초

조회 수 1959 추천 수 0 2015.01.05 15:42:20

과일·곡물 원재료 100% 발효시켜 만들어
유기산·비타민 풍부 체내 독소 제거
다이어트·피부미용에도 좋아


식초가 건강식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홍초, 흑초, 발사믹 식초를 물에 타 마시거나 샐러드 드레싱으로 활용하는 모습은 흔한 풍경이 됐다. 식초를 상용해 다이어트에 성공했다거나 피부가 좋아졌다는 경험담도 종종 눈에 띈다. 그러나 식초가 재조명받고 있음에도 ‘신맛 나는 조미료’라는 인식은 크게 달라지지 않고 있다. 식초는 신맛을 낼 때 쓰거나 과일·채소를 씻거나 설거지할 때 활용하는 생필품 정도로 여겨진다. 특히 외국산 식초가 각광받는 데 비해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맥이 끊긴 전통 식초에 대한 관심은 제자리다. 책 ‘식초독립’을 쓴 한상준 명인에게 식초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전통 식초의 세계, 현 식초 시장의 문제점에 대해 들어봤다.





◆술에서 나온 발효음식… 합성식초 위험성 알아야

식초는 술에서 나온다. 술을 빚고, 이 술을 초산균으로 발효시켜 식초를 얻는다. 옛날 먹다 남은 막걸리를 따뜻한 아랫목이나 부뚜막에 두면 초산균의 발효 작용으로 식초로 변한 것과 같은 원리다. 식초는 약 1만년 전부터 인류와 함께해왔다. 각 문화권과 자연환경에 따라 세계적으로 수천 가지로 다양하게 발전했다. 포도 당도가 24브릭스(단맛을 나타내는 단위) 가까이 나오는 서유럽 지역에서는 좋은 와인이 나오다보니 포도 식초도 덩달아 발전했다. 식초는 오래전부터 조미용과 약용으로 쓰였다. 허준은 ‘동의보감’에서 “식초는 풍을 다스린다. 고기와 생선, 채소 등의 독을 제거한다”고 설명해 놓았다.

식초에는 전통·주정·합성식초 세 종류가 있다. 전통 식초는 원재료 100%를 자연적으로 발효·숙성시켜 만든다. 원재료가 가진 영양 성분이 풍부하고 발효 과정에서 각종 유기산이 만들어진다. 안타깝게도 우리 전통 식초는 1907년 조선총독부의 주세령과 쌀 부족 등으로 한때 전통주의 맥이 끊기면서 함께 단절됐다. 좋은 재료를 써서 제대로 발효한 전통 식초는 훌륭한 발효식품이 된다. 전통 식초에는 아미노산·구연산·호박산·주석산 등 각종 유기산, 비타민이 풍부하다. 전통 식초는 크게 곡물을 발효한 곡물식초와 과일을 발효한 과일식초로 나뉜다. 곡물식초에는 아미노산, 과실식초에는 주석산이 많다.

주정식초는 95% 이상의 에틸알코올을 물로 엷게 희석하고 공기를 주입한 뒤 식품첨가물들을 넣어 발효시킨다. 시중 현미식초, 사과식초 등 매장에서 접하는 대부분 식초가 여기에 해당된다.

합성식초는 석유에서 추출한 빙초산을 물로 엷게 희석한 것이다. 한 대표는 “빙초산은 석유에서 공업용 빙초산을 추출하고 여기에서 중금속만 제거해 아세트산이 99% 이상인 식품 첨가물”이라며 “빙초산은 인체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았지만 조금만 넣어도 쉽게 신맛이 나고 가격이 저렴해 단무지, 치킨 무, 피클, 소스류, 케첩 등에 쓰이는 경우가 많다”고 경고했다. 


전통 식초는 술을 초산균으로 발효한 뒤 평균 15도 저온에서 공기와 접촉하지 않게 하면서 100일 이상 숙성 과정을 거친다. 한상준 전통 식초 명인이 숙성과정이 진행 중인 식초를 맛보고 있다.
초산정 제공

◆하루 소주잔 2잔 이상 피하라



하루 식초 섭취량은 사람에 따라 다르다. 한 대표는 소주잔으로 2잔 60mL 이상은 피하라고 권한다. 생활의 일부처럼 반찬에 활용하고 생수나 보리차에 20배 이상 엷게 희석해 차처럼 수시로 마시는 것이 좋다. 물에 탄 식초 맛이 싫을 때는 꿀물이나 요거트, 매실청 등에 희석해 먹으면 된다. 식후에 마시면 식초가 음식물의 소화와 흡수를 돕고 속쓰림을 방지한다. 칼슘 흡수율도 높아진다. 우유를 잘 소화시키지 못할 경우 식초를 한 숟가락 넣어 마시면 좋다. 초산 성분이므로 공복일 때는 가급적 마시지 않는 것이 좋다.

한 대표는 “우리의 좋은 전통 식초는 뒤로한 채 고가에 수입한 발사믹식초나 흑초를 아끼는 모습을 보면 마음이 무겁다”며 “자연 그대로의 원료로 만들면 좋은 식초가 된다”고 밝혔다.

송은아 기자 sea@segye.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맥주와 사케 수요 증가 인기 이자카야 브랜드 함박웃음

창업은 아이템 자체 경쟁력도 중요하지만 시기도 잘 맞춰야 한다. 일례로 아이스크림전문점을 겨울에 창업하거나, 뜨거운 국물요리를 내세운 음식점을 여름에 창업하면 좋지 못한 결과를 얻게 된다. 요즘과 같은 여름철에는 시원한 주류를 판매하고, 어울리는...

  • 누룩
  • 2014-06-04
  • 조회 수 1237

막걸리 2ℓ대용량도 판다.

주류수출면허 등 규제완화 국세청이 불합리한 규제 철폐로 주류 수출 지원에 나섰다. 또 그동안 2ℓ 미만으로 제한된 막걸리 용량 규제도 주세 관리를 철저하게 할 수 있는 납세증지 사용을 조건으로 해제하기로 했다. 9일 국세청과 주류업계에 따르면 국세...

  • 누룩
  • 2014-06-10
  • 조회 수 1023

[무더위를 날려酒오] 맥주·양주·소주·와인…당신의 酒종목은?

대목 맞은 주류업계 월드컵·나들이객 증가로 '여름철 장사' 자신감 후끈 소비자 '행복한 고민' 거품 살아있는 맥주, 목넘김 강렬한 양주 독한 술서 '순둥이' 된 소주, 중저가 승부수 띄운 와인 여름철은 주류업계의 최대 대목이다. 여름철 나들이객이 늘...

  • 누룩
  • 2014-06-12
  • 조회 수 2035

이화선 대표 "34만종 전통주 복원, 농촌경제 살릴것"

홍보전문가서 전통주 연구가 변신 이화선 대표 "한국의 전통 가양주(집에서 빚는 술)가 모두 34만 종이 넘는다는 걸 아세요? 변화무쌍한 맛과 숙취 없는 깔끔함이 전통주의 경쟁력이죠." 술과는 어울리지 않는 단아한 분위기의 전통주 연구가 ...

  • 누룩
  • 2014-06-16
  • 조회 수 2289

딸꾹질 때도 한 스푼... 식초 활용법 7가지

옷, 과일 씻을 때도 좋아 식초는 효능이 다양한 식품이다. 또한 값이 싸고 널리 사용된다. 독소가 없으며 오래 보관해도 효능을 그대로 유지한다. 많은 나라에서 사과 식초는 민간 치료요법에 사용되어 오고 있다. 건강 생활 정보 사이트 ‘굿하우스키핑닷컴(g...

  • 누룩
  • 2014-06-18
  • 조회 수 1089

김장훈 서경덕, 막걸리 유랑단 결성…전통주 살리기 나서

▲ 김장훈과 서경덕 교수가 의기투합해 막걸리 홍보에 나섰다. 가수 김장훈과 성신여대 서경덕 교수가 막걸리 홍보에 나섰다. 지난 4월 배우 송일국과 함께 시작한 '막걸리 유랑단' 행사는 유명 전통시장을 방문해 막걸리와 전통안주를 시장 방문객들과 함께 나...

  • 누룩
  • 2014-06-20
  • 조회 수 1126

일주일에 한 번, 와인 마시면 노안 늦출 수 있어

가끔 와인을 마시는 것이 노안이 오는 것을 늦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위스콘신 대학 연구팀은 43~84세 성인 5,000명을 대상으로 26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흡연, 음주, 운동 등 시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를 고려해...

  • 누룩
  • 2014-06-23
  • 조회 수 1045

'우리 술 막걸리'

강양수 (경남도농업기술원 기술지원국장) 우리 술 막걸리는 사전적 의미로는 곡류(찹쌀, 멥쌀, 보리, 밀)를 쪄서 누룩과 물을 섞어 발효시킨 한국 고유의 술이라고 표시하고 있지만 역사와 애환이 담긴 문화 상품적 가치가 큰 우리 민족의 자산이다. ‘막’은 ...

  • 누룩
  • 2014-06-25
  • 조회 수 1016

막걸리에 소믈리에가 왜 필요할까?

명욱의 막걸리 칼럼지난 2일 일본 마이니치 신문에 한국인의 입장에서 조금 독특한 기사가 하나 나왔다. 일본의 유명 온천 300곳을 소개하면서, 소개한 사람을 단순히 온천 전문가가 아닌 ‘온천 소믈리에’란 표현을 사용한 것이다. 해당 온천 소믈리에는 대학...

  • 누룩
  • 2014-06-27
  • 조회 수 1876

어머니 밥상과 식초 이야기

2014년 06월 10일 (화) 정효 7618700@kndaily.com ▲ 정효 셀프힐링센터 부산범천 관음사 주지 자연이 인간에게 선물한 숱한 먹거리 중에서도 장수와 건강을 동시에 지킬 수 있는 식품을 말하라고 하면 나는 주저없이 `식초`의 효능을 말하고 싶다.  식초는 ...

  • 누룩
  • 2014-06-30
  • 조회 수 1824

[경제학자의 우리 술 이야기]어떤 술이 우리 술일까?

--> 한국에서 ‘우리 술’이란 말은 조금 모호하다. 우리 농산물로 국내에서 만들어졌으면 우리 술일까? 국내산 포도로 만든 포도주를 우리 술이라고 부르기는 좀 뭐하다. 수입 농산물로 만든 국내산 맥주나 위스키는 더더욱 우리 술이라 부르기...

  • 누룩
  • 2014-07-02
  • 조회 수 1114

피아노와 막걸리가 만났을 때

▲ 윤중호(56.섹소폰)씨와 박애란(52.피아노)내외가 운영하는 막걸리집 안에서 손님들에게 추억의 멜로디를 선사하고 있다. 김얼기자장맛비가 주춤했던 3일 초저녁. 전주시 인후동 한 막걸리집에서 들려오는 아름다운 하모니가 동네를 울리고 있었다. 보슬비 ...

  • 누룩
  • 2014-07-04
  • 조회 수 1361

drink beauty - 술이 피부에 좋은 이유들

피부와 상극이라 여겨지는 술. 그러나 막걸리, 와인, 사케 등의 발효주에는 피부를 윤택하게 하는 비밀들이 숨겨져 있다. 애주가들의 귀를 솔깃하게 만드는, 술이 피부에 좋은 이유들. 연말연시에 구정까지 가족과 친지, 친구들이 모이는 자리에 빠지지 않는 ...

  • 누룩
  • 2014-07-07
  • 조회 수 1358

충남에 가면 사과와인도 있고 막걸리도 있고~

명욱의 막걸리 칼럼 대한민국 팔도 중에서 지형이 가장 낮은 곳이 있다. 해발 고도 1,000m 이상을 넘는 곳이 없으며 도 전체의 평균 고도 역시 100m를 넘지 않는다. 역사적으로는 고대의 마한, 백제의 수도가 있었고 고려 시대에는 경기도, 충북지역과 같이 묶...

  • 누룩
  • 2014-07-10
  • 조회 수 1827

"막걸리에서 맥주 맛을?"

(아시아뉴스통신=김아라 기자) 맥주맛 막걸리.(사진제공=경기도청) 경기도농업기술원(원장 임재욱)이 개발한 ‘맥주맛 막걸리’ 시제품이 나왔다. 맥주맛 막걸리는 농기원에서 건강과 기능면에서 우수성이 입증된 막걸리를 더욱 대중화하고 해외시...

  • 누룩
  • 2014-07-14
  • 조회 수 104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