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전통주와 창조경제란? 전통주 시장의 최신 트랜드

조회 수 2861 추천 수 0 2014.04.24 11:46:07

최근 창조경제와 관련되어 전통주 산업 부분에 대한 정부부처의 견해가 기사화되고 있다. 주 내용은 규제 완화. 현행 주세법상으로는 무형문화재 및 전통식품 명인이 빚은 술 그리고 영농법인 등이 지역에 인접한 시/군/구에서 생산한 농산물로 생산되는 지역 특산주를 전통주로 한정 짓고 있다. 하지만 이것을 일반 양조장에도 적용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고, 전국의 600개가 넘는 양조장을 더욱 활성화해 일자리 창출 등을 일궈낼 예정이라는 내용이다.

지역 농산물 사용으로 인한 전통주 면허를 취득하게 되면 주세가 50% 감면되는데, 앞으로 이러한 전통주 대상으로 추가적인 주세 지원 부분도 검토되고 있다. 이는 지역의 소규모 양조업자에게 무척 희소식일 수 밖에 없다. 주세가 적어진 만큼 대기업 중심의 소주, 맥주보다 소비자에게 좀 더 다가가기 쉬운 가격대가 될 수 있고, 고부가가치의 제품을 만들더라도 가격에 비례 되는 세금의 특성상 부담이 적다. 그렇다면, 어떤 전통주를 만들어야 이러한 창조경제와 연동을 할 수 있을까? 최근에 움직이는 전통주 시장의 트랜디로 창조경제와 연동을 시켜보자.


문헌을 통해 복원한 전통주, 하지만 젊은 층에 다가갈 수 있는 트랜디한 모습으로 변신
최근에 화제가 되는 제품을 살펴보면, 문헌에 근거해 빚은 술이 많다. 1800년대 농림의학 등 생활백과 전반에 관해 서술한 책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에 등장하는 ‘차마 삼키기 안타깝다’란 뜻의 석탄주(惜呑酒). 이를 복원한 전남 함평의 자희향 등이 잘 알려졌으며, 최근에는 우리나라 최고의 한글 음식 조리서인 음식디미방(1670년대)에 기술된 내용으로 복원한 과하주(過夏酒)도 출시되었다.

과화주란 말 그대로 여름을 넘긴다, 극복한다는 뜻의 술인데, 온도관리가 힘든 여름철 술빚기에 알코올 도수가 높은 증류주를 넣어 술맛의 변질을 막았던 전통주이다. 단순히 변질을 막기 위한 것이라면 서양의 포트와인과도 비슷하다고 할 수 있는데, 포트와인의 경우 발효가 끝나고 증류주를 넣은 것에 반해, 우리나라의 과화주는 발효 시에 넣어주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과화주 '술아'와 미담 탁주와 약주
 
                       
(좌) 2014년 3월에 출시된 과화주 '술아' 찹쌀을 주원료로 왼쪽부터 매화꽃, 백련화, 국화 그리고 찹쌀로만 빚은 총 4종으로 계절마다 달라지는 절기주의 모습을 잘 나타내었다.(우) 미담 탁주와 약주 2종류이다

100일 이상을 숙성, 장기숙성을 통한 고급화
일반적으로 막걸리는 약 15일 정도로 발효를 마치고 출시가 된다. 원료의 신선함을 살려 FRESH하게 마시는 것이 막걸리인데, 이것과는 달리 장기숙성을 통해 출시되는 막걸리도 시장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 대표적인 술로는 홍천의 ‘만강의 달’, 양평의 ‘미담’ 등을 언급할 수 있다. 이러한 술은 모두 100일 이상을 옹기숙성을 하는데, 숙성을 통한 과실 향이 풍부하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인공 감미료 없는 '착한' 막걸리
앞에서 설명한 모든 술의 특징은 인공감미료가 없다는 것이다. 인공감미료가 인체에 유해하다 아니다를 떠나 감미료를 쓰지 않고 술을 빚는다는 것은 빚는 이의 노력이 더욱 들어가야 하는 것은 사실이다. 맛을 내기 위한 쌀의 함량도 많아지고, 또 좋은 쌀, 신선한 쌀을 써야 원료의 성질을 잘 살리는 만큼 원가에 대한 부담도 커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은 마니아들 중심으로 알았었지만, 점점 일반 소비자도 알아가고 있다. 막걸리가 한 병에 만 원을 해도 구매할 수 있는 세상이 오고 있는 것이다.


차별화된 제품으로 소비자와 직접 만나는 시장을 열어야
최근에 화제가 되는 관련 제품을 보면 모두가 햅쌀, 무첨가, 옹기숙성, 문헌에 근거하여 복원한 대표적이다. 도수 역시 일반적인 6도가 아닌 5도에서 18도까지 다양하다. 즉 일반 시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제품과는 차별화되어 있는 것이다.
소득 수준이 높아지면서 소비자는 돈을 조금 더 내고서라도 세련되고 맛 좋은 제품을 찾게 된다. 자판기 커피보다 10배나 더 비싼 커피전문점 커피가 불티나게 팔리는 것만 봐도 이러한 시장 구조를 이해할 수 있다. 막걸리나 전통주가 주세 혜택을 받는다더라도 저가 경쟁으로만 가면 안 된다. 저가 경쟁은 지금의 시장에서 탈피하는 것이 힘들어지고 이후 거품이 꺼졌다는 이야기만 나온다. 우리 술이 저렴하다는 편견을 바로잡는 것도 창조이며, 이러한 것을 위해서는 양조업자 자체도 이제까지의 대리점 중심의 유통구조에서 소비자와 소통할 수 있는 창구와 시장을 만들어야 한다. 그것이 인터넷이든 아니면 소비자가 직접 양조장을 방문하는 문화를 복원하든 말이다. 이렇게 양조업자가 차별화된 제품으로 소비자와 직접 만나는 새로운 시장을 여는 것, 이것이 전통주 산업의 가장 중요한 창조경제가 아닐까 생각해 본다.

	주류문화 칼럼니스트 명욱 
 글,사진 제공 / 주류문화 칼럼니스트 명욱 (blog.naver.com/vegan_lif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알쏭달쏭 건강상식 : 식초음료 마시면 뼈가 정말 유연해질까? [5]

식초는 희석된 아세트산, 몸이 날마다 만들어요 식초는 몇 가지 물질의 혼합물인데, 이 중 식초의 독특한 성질을 결정하는 것은 보통 아세트산이라고 부르는 물질입니다. 식초는 희석된 아세트산이라고 할 수 있고, 수분이 거의 섞이지 않은 순수 아세트산...

  • 누룩
  • 2013-05-07
  • 조회 수 2812

[SPECIAL REPORT] ‘맛·향·스토리’ 多 있다…르네상스 꿈꾸는 전통주들

‘이건희 만찬주’ 계기로 시장 들썩…현대화·산업화 통해 재탄생 음주 문화는 트렌드의 영향을 받는다. 그래서 사람들이 즐기는 주종도 유행에 따라 열풍처럼 급속도로 변화하곤 한다. 과거 몇 년 동안의 트렌드를 살펴보면 와인 붐이 불더니 일본 사케를 즐...

  • 누룩
  • 2014-01-24
  • 조회 수 2820

'하우스 막걸리'의 부활 file

'하우스 막걸리'의 부활 주막이 부활하고 있다. 지난 2월 주세법이 개정되면서 대형 양조장이 아닌 음식점에서도 직접 담근 막걸리·청주·약주를 팔 수 있게 됐다.옛 주막과 지금 주막은 어떻게 같고 다를까. 조선 시대 마지막 주막으로 알려진 경북 예천 ‘삼강...

  • 누룩
  • 2016-10-13
  • 조회 수 2835

전통주와 창조경제란? 전통주 시장의 최신 트랜드

최근 창조경제와 관련되어 전통주 산업 부분에 대한 정부부처의 견해가 기사화되고 있다. 주 내용은 규제 완화. 현행 주세법상으로는 무형문화재 및 전통식품 명인이 빚은 술 그리고 영농법인 등이 지역에 인접한 시/군/구에서 생산한 농산물로 생산되는 지역 ...

  • 누룩
  • 2014-04-24
  • 조회 수 2861

술에도 성별이? 한일 대표 술, 막걸리와 사케의 역사 [5]

최근 수년간 막걸리는 수출량의 급진적인 증가로 세계화에 성공했다는 사케(일본식 청주)와 자주 비교를 해 왔다. 2011년도에는 한국의 사케 수입량보다 수출량이 많았다는 이유로 ‘막걸리 사케에 압승’이란 표현도 했으며, 2012년도에는 ‘사케 웃고, 막걸리 ...

  • 누룩
  • 2013-01-25
  • 조회 수 2876

[전주 막걸리 여행, 맛과 정으로 차린 한 상]

전주 삼천동 막걸리 골목(서울=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전주 막걸리 골목은 한옥마을, 비빔밥, 콩나물국밥과 함께 전주를 대표한다. kjhpress@yna.co.kr (전주=연합뉴스) 임동근 기자 = “아줌마, 여기 주전자 하나 추가요!” 한쪽이 찌그러진 주전자에 막걸리...

  • 누룩
  • 2014-03-21
  • 조회 수 2882

꽃 향기를 품은 ‘전통주·위스키·맥주’ 활짝 폈다.

에스테르 화합물 술 숙성 과정서 향기 내 국화·매화 등 100% 꽃잎 쓴 전통주부터 원액 숙성 시킨 위스키·맥주 등도 인기 꽃향기를 품은 술이 주목받고 있다. 술이 숙성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에스테르 화합물은 꽃향기와 유사한 향을 낸다. 또 원료가 자...

  • 누룩
  • 2014-05-14
  • 조회 수 2929

전남도, 남도 전통술 품평회 통해 11종 선발

[호남타임즈=백대홍기자]전라남도가 ‘2012년 남도 전통술 품평회’를 통해 지역을 대표하는 명품 술로 순천 팔마탁주 ‘친구사이’ 등 남도명주 11종을 최종 선발했다. 품평회는 지역을 대표하는 18개 전통술 제조업체에서 22개 제품이 출품돼 나름대로 전통비법...

  • 약손
  • 2012-09-18
  • 조회 수 2981

[즐거운 설]전통주와 주스의 환상적 만남, 힐링酒에 피로가 싹 [1]

● 명절 ‘건강 음주’ 칵테일이 뜬다 설 명절 전통주를 마실 때 과음은 금물이다. 막걸리나 전통주로 칵테일 한 잔을 마시면 건강과 웰빙의 상쾌한 맛을 느낄 수 있다. 이때 파전이나 견과류를 곁들이면 더욱 멋이 난다. 싱글몰트 위스키인 글렌피딕에 물과 ...

  • 누룩
  • 2013-02-08
  • 조회 수 2987

제조 금지부터 막걸리 팥빙수까지… 막걸리 변천사

현대사로 보는 막걸리 변천사 우리나라에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음식인 김치가 있다. 김치가 대표적인 이유는 김치가 가지고 있는 상징성, 그리고 국민 통합이라는 미학이 있다. 아무리 유명한 정치가든 기업의 총수든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김치라는 ...

  • 누룩
  • 2013-06-27
  • 조회 수 2991

“전통주 소믈리에 연구 더 힘써야죠” file

경남대 관광학부 ‘경남도 대회’서 도지사상 등 15명 수상 ▲ 경남대학교 관광학부 학생들이 ‘2014 경남도 전통주 소믈리에&칵테일 대회’에서 도지사상 등을 받은 후 상장을 들어 보이고 있다. 경남대학교 관광학부 Green & Blue 융합형 관광전문인력 ...

  • 누룩
  • 2014-11-25
  • 조회 수 3016

하우스막걸리 (소규모주류제조면허 입법예고) file

소규모주류제조면허 아주 오래전부터 주장했던 제도가 만들어졌다. 아주 단순했지만 오랜 시간이 걸렸다. 논리는 간단했다. 하우스맥주는 되고 왜 하우스 전통주는 안되냐. 이 단순한 논리가 오늘의 결과를 만들어 냈다. 1995년 오늘과 같이 큰 사건이 있었다....

  • 누룩
  • 2015-12-28
  • 조회 수 3020

막걸리, 중기적합업종 지정이 毒됐나

5년만에 출하량 첫 감소, 대기업 규제후 사업 철수.. 마케팅·프로모션 등 급감 업계 "시장 침체 가속화" 막걸리시장 보호를 위한 '중소기업 적합품목' 지정이 오히려 막걸리시장 침체를 가속화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대기업 참여 제한을...

  • 누룩
  • 2013-07-18
  • 조회 수 3021

효과 높은 식초 다이어트, 제대로 하려면

요즘 ‘식초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식초는 몸 안의 영양물질을 분해하고 합성해 에너지를 만들고, 필요하지 않은 성분은 몸 밖으로 내보내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비만을 예방하고 살을 빼는데 효과가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

  • 누룩
  • 2013-09-30
  • 조회 수 3023

<막걸리를 찾는 사람들>약으로 쓰이는 웰빙막걸리

막걸리가 발효되는 모습<사진: 주류문화칼럼니스트 명욱> 아주경제 김선국 기자=최근 막걸리가 항암, 소염, 비만억제 등에 효과가 좋은 것으로 밝혀졌다. 막걸리에 함유된 미생물에 의한 생리활성물질(항균물질)의 기능과 효능이 과학적으로 증명되고...

  • 누룩
  • 2013-07-30
  • 조회 수 312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