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수첩

법주(法酒)2

조회 수 1514 추천 수 0 2011.02.19 17:55:05
酒人 *.167.34.247
 
밑술 빚기
미리 누룩을 깨뜨려서 햇빛에 쪼여서 바짝 말려 두라 하였다.

1. 3월 3일에 누룩 3근 3냥을 저울에 달아서 길어 온 물 3말 3되에 7일간 담근다.
2. 기장쌀 3말 3되를 깨끗이 씻어 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밥을 만들어 차게 식힌다.
3. 쌀이 삭아 없어지는 것을 보아서 덧술을 한다.
덧술 빚기
1. 기장쌀 4말 반을 깨끗이 씻어 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밥을 만들어 차게 식힌다.
2. 밑술과 섞어 술독에 담는다.

매번 덧빚을 때마다 손으로 비벼서 쌀알을 흐트러뜨린다.고 기록되어 있다
2차 덧술 빚기
1. 기장쌀 6말을 깨끗이 씻어 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밥을 만들어 차게 식힌다.
2. 앞에 빚어 놓은 술과 잘 섞어 술독에 담는데 독의 대소에 불구하고 독에 찰 때 그친다. 하였다.

이 술은 맛이 순하고 막걸리로 마셔도 좋다. 술을 반쯤 떠마시다가 다시 메기장쌀로 밥을 지어서
덧빚는데, 이것은 처음 빚을 때와 같은 방법으로 하지만 물에 담근 누룩 물을 넣지 않고, 다만 덧빚을
쌀만 늘려 가면서 먼저처럼 독을 가득 채우는 것이다. 하였다.

아마도 이 방문으로 보아 술이 계속해서 필요했던 곳이었을 것이다. 처음부터 술을 다시 만들어야 하는 것은
많은 시간과 재료를 들여야 하지만 이런 식으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가입인사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19] 酒人 2011-07-10 9261
93 계명주방(鷄鳴酒)2 [2] 酒人 2011-02-19 4488
92 옥수수술 酒人 2011-02-19 3960
91 소곡주(小麯酒)1 酒人 2011-02-19 3388
90 삼해주(三亥酒)1 酒人 2011-02-19 3242
89 청서주(淸暑酒) [1] 酒人 2011-02-19 3049
88 삼해주(三亥酒)3 酒人 2011-02-19 2717
87 삼해주(三亥酒)2 酒人 2011-02-19 2634
86 부의주(浮蟻酒)1 酒人 2011-02-19 2560
85 삼해주(三亥酒)4 酒人 2011-02-19 2513
84 소곡주(小麯酒)2 酒人 2011-02-19 2512
83 소곡주(小麯酒)5 酒人 2011-02-19 2473
82 백수환동주(白首還童酒) 酒人 2011-02-19 2438
81 부의주(浮蟻酒)2 酒人 2011-02-19 2399
80 동정춘(洞庭春) 酒人 2011-02-19 2383
79 소곡주(小麯酒)3 酒人 2011-02-19 2358
78 백탄향(白灘香) 酒人 2011-02-19 2357
77 벽향주(碧香酒)1 酒人 2011-02-19 2258
76 내국향온법 酒人 2011-02-19 2209
75 신박주(辛薄酒) 酒人 2011-02-19 2162
74 방문주(方文酒)2 酒人 2011-02-19 215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