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천물[溫泉]

조회 수 1899 추천 수 0 2007.02.11 02:31:47
온천물[溫泉]  



여러 가지 풍증으로 힘줄과 뼈마디가 가드라드는 것[筋骨攣縮]과 피부의 감각이 벗어지고[皮膚頑痺] 손발을 잘 쓰지 못하는 증, 문둥병, 옴, 버짐이 있을 때 이 물에 목욕한다. 목욕하고 나면 허해지고 피곤하므로 약이나 음식으로 보해야 한다[본초].

○ 온천물은 성질이 열(熱)하고 독이 있기 때문에 마시지 말아야 한다. 옴이나 문둥병이나 양매창(陽梅瘡) 때에는 음식을 배불리 먹은 다음 들어가서 오랫동안 목욕해야 하는데 땀이 푹 나면 그만두어야 한다. 이렇게 10일 정도 하면 모든 창병이 다 치료된다[식물].

○ 온천 밑에는 유황(硫黃)이 있기 때문에 물이 덥다. 유황으로는 여러 가지 헌데를 치료할 수 있으므로 유황이 들어 있는 온천물도 마찬가지이다. 온천물에서 유황냄새가 나기 때문에 풍증이나 냉증을 치료하는데 아주 좋다[본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가입인사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06-11-07 11166
165 대두(大豆, 콩) 2008-02-12 3883
164 서리태 2008-02-12 3855
163 자아목정즙(慈鴉目睛汁) 2007-04-27 3570
162 지황술(地黃酒) 2006-03-31 3108
161 창포(菖蒲, 석창포)- 석창포주 2006-04-22 3084
160 백세주에 들어가는 약재들 2006-04-12 3053
159 약누룩을 만드는 방법[造神麴法] 2005-09-27 2959
158 영실근(營實根, 찔레나무뿌리) 2005-09-16 2955
157 속미분구(粟米粉 , 좁쌀미싯가루) 2005-09-27 2916
156 오배자(五倍子, 붉나무열매집) 2005-08-29 2916
155 도화(桃花, 복숭아꽃) 2005-10-31 2898
154 신국(神麴, 약누룩) 2005-09-27 2872
153 조엽(棗葉, 대추나무잎) 2006-01-25 2858
152 조협( 莢, 주염열매) 2005-08-29 2840
151 인진호(茵陳蒿, 생당쑥) [1] 2005-09-27 2834
150 천남성(天南星) [2] 2006-02-27 2789
149 백두옹(白頭翁, 할미꽃뿌리) 2005-10-31 2772
148 낭아(狼牙, 집신나물) 2006-07-19 2758
147 서미(黍米, 기장쌀) 2005-09-27 2721
146 풍으로 머리가 흔들리는 것[風頭旋] 2006-11-14 270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