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한국경제]'한라봉 전통주' 왜 서울에선 못 만드나 봤더니…황당 이유

조회 수 1038 추천 수 0 2023.07.12 21:49:36
입력

수정2023.07.12. 오전 1:02

최형창 기자산으로 가는 규제개혁
(3) 신제품 개발 막는 원료 규제


한라봉·귤피 전통주, 제주산만 인정
쓴맛 삼키는 타지역 양조장

전통주, 인근 농산물로만 빚으라니…

0004866854_001_20230712011001058.jpg

전통주산업법 등에 전통주 인정 기준이 지나치게 까다로워 다양한 주류 제품 개발의 발목을 잡는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11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소비자가 전통주 판매대에 진열된 제품을 둘러보고 있다. /최혁 기자

수도권에서 양조장을 운영하는 A대표는 평소 탁주와 증류주를 빚을 때 쌀과 감자, 고구마 등을 ‘주원료’로 사용한다. 독창적인 맛을 내고 싶었던 그는 유자, 한라봉을 활용한 전통주를 빚고자 규정을 살펴보다 좌절했다. 전통주로 인정받으려면 제조장 소재지나 인근 지역 농산물을 주원료로 써야만 했기 때문이다.

1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행 전통주산업법과 주세법 등이 신제품 개발을 가로막는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전통주 적용 범위를 지나치게 좁게 설정했을 뿐 아니라 제조시설까지 원료 산지와 인접한 곳에 둬야 한다고 못 박았기 때문이다.

현행 법규에 따르면 유자는 전남 고흥 주변과 경남 거제 인근 양조장에서만 전통주에 활용할 수 있다. 한라봉을 넣은 전통주는 제주 기반 양조장에서만 생산이 가능하다. A대표는 “지역 특산물을 활성화한다는 취지는 이해하지만, 되레 지역 특산물이 전국으로 뻗어나가는 것을 막는다”고 아쉬워했다.

전통주는 법률상 민속주와 지역특산주로 나뉜다. 민속주는 무형문화재 또는 식품명인이 면허를 받아 제조한 술이다. 지역특산주는 농어업 경영체 및 생산자단체가 직접 생산하거나 제조장 소재지 등에서 생산한 농산물을 주원료로 만든 술이다.

전통주로 인정받으면 주세를 50% 감면받고, 온라인 판매도 가능하다. 청소년 음주 등 오남용 우려 때문에 전통주 인정 기준을 까다롭게 했다지만 유럽과 일본처럼 다양한 주류를 개발하는 데는 걸림돌이 되고 있다.
양조장과 다른 지역서 난 농산물, 원료의 5%까지 쓰게끔 풀었지만
현장선 여전히 "비율 너무 낮아"
충남 천안에서 양조장을 운영하는 권혁준 두레양조 대표는 지역 특산품인 샤인머스캣을 원료로 개발한 새로운 술의 판로 개척으로 고심이 깊다. 선보인 술이 프랑스 코냑이나 알마냑과 같은 브랜디여서다. 권 대표는 “천안에서 나는 샤인머스캣으로 와인과 증류주를 만드는데 1년을 나무통에 숙성해 고가의 ‘브랜디’를 제조하더라도 지역특산주로 인정받을 길이 없다”며 “전통주가 아니어서 가격경쟁력도 약하고 판로도 제한된다”고 말했다.

지역에서 나오는 원료를 사용했음에도 전통주산업법이 지정한 전통주에 포함될 수 없기 때문이다. 전통주산업법상 지역특산주는 탁주, 약주, 청주, 일반증류주, 증류식 소주, 과실주, 리큐어, 기타 주류 등만 허용된다. 희석식 소주와 맥주, 위스키, 브랜디는 예로부터 전승된 술이 아니라는 이유로 지역특산주로 인정받지 못한다. 권 대표는 “외국에서 들어온 브랜디 주종을 전통주로 인정하기는 어렵더라도 지역특산물을 토대로 만들면 기준을 분리해 적용할 수 있지 않겠냐”며 “과실주를 숙성시켰다는 이유만으로 전통주로 인정하지 않는 건 납득하기 쉽지 않다”고 하소연했다.

지나치게 협소하고 까다로운 지역특산주 인정 기준 때문에 다양한 고급 주류를 만들려는 양조업자의 도전이 진전되지 못하고 있다. 지역에서 난 재료를 사용하고, 주종을 맞춰도 모두 지역특산주로 인정받는 것은 아니다. 지역 단체가 직접 생산하거나 지역 농산물을 썼더라도 해당 광역단체장의 추천을 받아야 한다. 높은 문턱을 넘지 못한 수도권의 한 양조장은 제주산 귤피를 넣은 막걸리를 생산하려고 시도했다가 포기했다.

이처럼 전통주 인정 기준이 깐깐해진 것은 청소년 음주 등 오남용 가능성이 작지 않기 때문이다. 전통주로 인정받으면 세제 혜택이 많고 무엇보다 맥주 소주 같은 일반 주류는 할 수 없는 온라인 배송 길도 트인다.

하지만 규제 취지를 감안하더라도 주류산업 발전을 가로막을 정도로 지나치게 폐쇄적이라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 이에 따라 2021년 9월 국무조정실에서는 인접지 외 지역 농산물을 원료로 5%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했다. 주원료로 인정하기 힘들지만 ‘부원료’로 조금이나마 쓸 수 있게 문호를 열어준 것이다. 그런데도 현장에선 이 비율이 너무 낮아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아우성친다. 수도권에서 양조장을 운영하는 A대표는 “인접지 외 농산물 부원료 사용률을 10%까지 올리되 국산 여부를 공급계약서와 거래명세서로 철저히 검증하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역특산주 인정 범위를 확대해달라는 의견도 나온다. 지역 농가 활성화를 위해서라도 지역특산주 인정 범위를 넓힐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대형 경기농업기술원 연구사는 “지역특산주를 전통주 범주에서 분리하되 기존 주세 감면과 온라인 판매 혜택을 유지하고, 지역특산주 생산 시 다른 지역 부원료를 사용할 수 있게 풀면 된다”며 “이렇게 하면 지역 농산물을 활용한 맥주를 만들거나 수도권에서도 유자 막걸리를 생산할 수 있게 돼 지역 농가에 도움이 된다”고 제언했다.

정부가 관련 산업 발전에 힘을 쏟는 만큼 일부 규제만 개혁해도 전통주 시장 성장에 큰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2021년 기준 전통주 시장은 941억원 규모로 주류 전체 출하액(8조8000억원)의 1.1%에 불과하지만 전년 대비 50.2%(626억원) 증가했다. 전통주 제조면허 수는 1401개로 지역특산주 1349개, 민속주 52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조선닷컴 [술 연구자 이박사의 술 이야기] 한국와인의 발전, 전통주에서 분리하는 것부터 시작하자

과거 복분자 술이 유행했을 때를 제외하고는 한국와인을 마셔본 소비자 들은 많지 않을 것이다. 외국 와인은 대형 할인점과 편의점에서 다양한 종류와 가격대를 쉽게 구입할 수 있으나 한국와인은 그렇지 못하다. 한국와인을 판매하는 식당도 흔치 않다. 그동...

  • 누룩
  • 2018-05-24
  • 조회 수 982

매일경제 전통주·전통음식의 만남…18일 남산 한옥마을 축제

전통주·전통음식의 만남…18일 남산 한옥마을 축제 서울 남산의 봄날이 고소한 진달래전과 달큼한 전통주에 익어간다. 한국전통음식연구소가 주최하는 제10회 '전통주와 전통음식의 만남' 축제가 18~19일 서울 남산골 한옥마을에서 열린다. 이번 행사 주제는 '...

  • 누룩
  • 2017-05-18
  • 조회 수 982

한식재단, 민간단체와 한식협의회 구성한다.

민간단체 한식협의회 MOU 체결식 19일 오전 서울 서초구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민간단체 한식협의회 구성 업무협약식'에서 한식 관련 민간단체 대표들이 협약서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민간단체 한식협의회는 한식 진흥 사업을 통합하고 그...

  • 누룩
  • 2015-01-19
  • 조회 수 984

춘천 술 페스타 앞두고 '붐업'…10월까지 전통주 알리기

10월 개최 전 사전 체험·시음·판매 '풍성' (춘천=연합뉴스) 이상학 기자 = 강원 춘천시가 전통주를 주제로 한 축제 '술 페스타'를 앞두고 사전 행사를 다채롭게 펼친다. 전통주[연합뉴스TV 제공] 술 페스타는 제조, 시음, 전시, 판매 등의 프로...

  • 누룩
  • 2021-06-17
  • 조회 수 984

재외동포신문 세계한식총연합회, 한국전통주수출협의회와 업무협약 체결

한식 문화 발전과 전통주 수출 장려 위해 함께 힘쓰기로 ▲ 세계한식총연합회는 1월 3일 한국전통주수출협의회와 ‘한식 및 전통주 진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서에 서명한 뒤 협약서를 펴 보이는 김영길 세계한식총연합회 총회장(왼쪽)과 한임섭 한...

  • 누룩
  • 2018-01-04
  • 조회 수 991

‘전통주 산업’ 활성화 추진

농식품부 “주세 50% 감면 물량 확대” 탁주·약주 용기 제한 2→10ℓ로 완화 전통주 산업 활성화를 위해 주세 감면, 유통제도 개선 등이 추진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소비 확대 등 전통주 산업 활성화를 위해 주세 경감 물량 확대, 통신 판매처 및 용기 제한 등...

  • 누룩
  • 2014-05-19
  • 조회 수 992

news1 우리 전통주도 홈술·혼술족 추세 맞춰 슬림해진다

우리 전통주도 홈술·혼술족 추세 맞춰 슬림해진다 (서울=뉴스1) 김지석 기자 | 2017-11-20 10:51 송고 © News1우리 전통주도 최근 늘어나는 집에서 가볍게 술을 즐기는 ‘홈술족’과 혼자 술을 마시는 ‘혼술족’의 니즈에 맞춰 몸집 ...

  • 누룩
  • 2017-11-20
  • 조회 수 993

서울파이낸스 G마켓·11번가·티몬·위메프, 추석 대목 '전통주' 판촉전

생활경제 G마켓·11번가·티몬·위메프, 추석 대목 '전통주' 판촉전 데스크승인 2017.09.14 16:23:41 김태희 기자 | alttab@seoulfn.com ▲ G마켓에서 이번 추석을 겨냥해 준비한 '명가원 솔송주' 선물세트. (사진=G마켓)7월부터 판매 허용돼 앞 다퉈 선물세트 준...

  • 누룩
  • 2017-09-20
  • 조회 수 999

한국일보 나무망치로 수도꼭지 쾅쾅 “맥주통이 열렸다” file

 나무망치로 수도꼭지 쾅쾅 “맥주통이 열렸다”  독일 옥토버페스트 열기 16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에서 열린 184주년 옥토버페스트 맥주 축제 개막식에 한 여성이 맥주잔을 받고 있다. AP 연합뉴스 “오차프트이스(O’zapft is)” 디터 라이더 뮌헨 시장이 ...

  • 누룩
  • 2017-09-26
  • 조회 수 1000

[기호일보] 여주시, 2022 우리술 주안상 페스티벌 발효주·증류수 부문 14명 수상 file

기자명 안기주 기자 입력 2022.11.22 여주시는 지난 20일 농업회사법인 ㈜술아원에서 이충우 시장, 정병관 시의회 의장, 박시선 의원 등 7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2 우리술 주안상 대회’를 개최했다. 우리술 주안상 대회는 우리술을 기반으로 어울리는 요...

  • 누룩
  • 2022-12-01
  • 조회 수 1000

“전통주 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체계 마련 절실”

한국가양주연구소 류인수 소장 “막걸리를 비롯한 전통주도 전 세계 사람들에게 충분히 매력적입니다. 다만 전통주를 제대로 알릴 수 있는 체계가 아직 안 잡혀 있다는 점이 아쉽죠.” 전통주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한국가양주연구소 류인수(사진) 소장...

  • 누룩
  • 2021-05-24
  • 조회 수 1002

전통주 시장, 막걸리 필두로 전성기 되찾을까?

[뉴스토마토 정해훈기자] 막걸리 산업의 발전을 위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협력하기로 하면서 침체에 빠진 전통주 시장이 활기를 얻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12일 업계와 동반성장위원회에 따르면 대한탁약주제조중앙회, 한국막걸리협회와 국순당(043650), 롯...

  • 누룩
  • 2015-01-13
  • 조회 수 1004

[충청투데이] 태안군, 제1회 태안명주 경연대회 개최 file

▲ 태안군이 지역 농산물을 활용한 전통주를 발굴 계승하고 이를 지역 특화상품으로 개발하기 위해 태안명주 경연대회를 개최한다. 태안군 제공[충청투데이 박기명 기자] 태안군이 지역 농산물을 활용한 전통주를 발굴 계승하고 이를 지역 특화상품으로 개발...

  • 누룩
  • 2020-03-06
  • 조회 수 1005

뉴스메이커 순창군 분말형태 블루베리막걸리 개발 성공

향토건강식품명품화사업 통해 개발, 서울국제식품산업대전에서 호평 ▲ 향토건강식품명품화사업 통해 개발, 서울국제식품산업대전에서 호평/최창윤 기자(사진=순창군) (뉴스메이커=최창윤 기자) 순창군이 분말형태의 새로운 블루베리 막걸리를 개발해 상품화에 ...

  • 누룩
  • 2018-05-21
  • 조회 수 1006

국제뉴스 합천군, '대한민국 우리술 품평회·대축제' 참가 '호평'

합천生막걸리, 경옥약주, 힐링밤술(밤와인) 등 합천군(군수 하창환)에서는 지난 24일부터 26일까지 3일간 서울특별시 양재동 aT센터 제2전시장에서 농림축산식품부 주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주관으로 80개사 100개 부스 규모의 '2017 대한민국 우리술 ...

  • 누룩
  • 2017-11-28
  • 조회 수 100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