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뉴스

[비즈한국] [인터뷰] 류인수 한국술산업연구소장 "사케? 청주? 문제는 주세법"

조회 수 1984 추천 수 0 2019.08.14 15:42:19

일본식 누룩 사용한 사케는 '청주'로 분류, 

전통 누룩으로 빚은 청주는 '약주' "홍길동 같은 처지"


[비즈한국] ‘사케냐 청주냐.’​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일본의 한국 화이트리스트(백색국가) 배제 결정 당일인 2일 서울 여의도 한 일식당에서 오찬 중 마신 술을 두고 여야공방이 이어졌다. 이해식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같은 날 논평에서 “우리나라 사람이 우리나라 식재료로 운영하는 일식당이었고, 이해찬 대표가 반주로 마신 것은 일본 술 ‘사케’가 아니라 국산 청주 ‘백화수복’이었다”고 해명했다.

 

전통주 업계는 이번 사태와 일본 주류 불매운동을 어떻게 바라볼까. 

‘비즈한국’은 지난 10일 한국가양주연구소와 한국술산업연구소를 운영하는 류인수 소장을 만났다.

한국가양주연구소는 집에서 빚는 술(가양주) 문화를 복원하기 위해 2009년 만들어진 농림수산식품부 지정 전통주교육훈련기관이다. 

지금까지 1만여 명이 이곳에서 전통주 만드는 법을 익혔다. 

한국술산업연구소는 한국 술산업 자체를 연구해 정부에 정책을 제안하는 농림부 산하 사단법인이다. 인터뷰는 류 소장이 전통주 제조법을 가르치는 서울시 서초구 방배동 연구소에서 2시간 동안 진행했다.

다음은 류인수 소장과의 일문일답.

 

한국가양주연구소와 한국술산업연구소를 운영하는 류인수 소장. 사진=류인수 제공

한국가양주연구소와 한국술산업연구소를 운영하는 류인수 소장. 사진=류인수 제공

 

Q. 전통적인 관점에서 막걸리, 청주, 소주의 차이는 무엇인가.

A. 곡물(주로 쌀)에 물과 누룩을 넣어 발효시키면 막걸리, 이를 여과해서 맑게 만들면 청주, 이 둘 중 하나를 증류해 모은 것을 소주라고 한다.

 

Q.​ 이해찬 대표가 마신 술은 청주인가, 사케인가.

A.​ 사실 우리나라에서 청주와 사케는 같은 뜻으로 쓰인다. (이해찬 대표가 마신 술이) ‘사케였나, 청주였나’를 두고 싸우는 게 처음엔 웃겼다. 일본의 사케는 우리나라에서 주세법상 ‘청주’에 속하기 때문이다. 롯데주류의 ‘청하’, ‘백화수복’, 금복주의 ‘경주법주’ 등은 전통적인 관점에서 사케의 제조법으로 만들어졌지만 법적으로 ‘청주’에 속한다. 다만 우리 조상이 전통적으로 만들어온 청주는 지금 주세법상 ‘약주’로 분류돼 청주라는 이름을 쓸 수 없다. 우리 전통 방식으로 청주를 만드는 우리 술 업계는 ‘청주’라는 단어 대신 ‘맑은술’ 등을 상표나 홍보에 사용하고 있다. 사케는 청주라고 부를 수 있지만, 우리 전통주 청주는 청주라고 부를 수 없는 ‘홍길동’ 같은 처지다.

 

류 소장은 ‘사케 논란’의 원인을 주세법에서 찾았다. 주세법상 주류는 알코올 함량 1도 이상의 음료나 주정을 말한다. 크게 주정, 발효주류, 증류주류, 기타주류로 나뉘는데, 이 중 청주는 약주, 탁주, 맥주, 과실주와 함께 발효주에 속한다. 주세법은 전체 쌀 중량 대비 누룩 사용량에 따라 1% 미만은 ‘청주’로, 1% 이상은 ‘약주’로 분류한다. 전통적인 청주를 만들 때 쌀 중량 대비 누룩 사용량은 최소 3%이상이어야 한다는 게 류 소장 견해다.

 

Q.​ 일본의 사케와 우리나라 청주는 제조법이 비슷한 것으로 알고 있다. 일본 사케는 이 기준에 부합한가.

A.​ 사케에 사용되는 코지(koji·입국)는 누룩이지만 우리나라 주세법상 누룩은 한국의 전통누룩을 의미한다. 누룩 1% 이상, 미만의 기준은 입국이 아닌 전통누룩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현실상 입국으로 술을 빚어야 ‘청주’ 명칭을 붙일 수 있다. 입국을 누룩으로 본다면 일본의 사케도 우리나라에서는 주세법상 ‘약주’가 된다. 전통누룩의 당화력(쌀을 당화시키는 힘, sp)은 300sp로 입국 60sp보다 강해 입국으로 사케를 만들면 전통누룩보다 더 많은 입국이 사용된다.

 

해양 국가인 일본은 습한 탓에 썩을 수 있는 떡누룩(병곡)보다 흩임누룩(산곡, 입국)에 특정균(황국균 등)을 주입하는 형태로 누룩을 발전시켰다. 반면 우리나라는 밀이나 쌀 위주의 병곡을 발효시켜 다양한 야생 효모를 배양했다. 우리 술이 일본에 비해 다양한 풍미가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국내 한 주류업체가 전통 제조법으로 만든 청주. 식품유형은 ‘약주’로 분류됐다.  사진=차형조 기자

국내 한 주류업체가 전통 제조법으로 만든 청주. 식품유형은 ‘약주’로 분류됐다. 사진=차형조 기자

 

Q.​ 주세법에 우리 술의 정체성을 해치는 용어가 또 있나.

A.​ 소주다. 2013년 정부는 규제완화라는 명목으로 희석식 소주와 증류식 소주로 분류됐던 기존 표기방식을 모두 소주로 통일했다. 전통소주는 곡물을 발효한 원액을 증류해 만드는데, 이를 주정에 물을 탄 소주와 동일시한 것은 우리 증류주의 정체성을 낮춘 사례다.

 

Q.​ 일본과 비교했을 때 우리 술산업 발전에 필요한 것은 무엇이 있을까.

A.​ 우리 술의 종류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규정한 뒤, 어떤 술이 좋은 술인지 규정해야 한다. 일본은 쌀의 도정 정도, 알콜 첨가 여부에 따라 술의 등급을 정하는 ‘특정명칭제도’를 운용한다. 일본 주류 시장의 30%가 이를 따른다. 내국인은 물론 일본을 여행하는 외국인들은 ‘쥰마이 다이긴죠’와 같은 특정 명칭만을 보고도 좋은 술을 구분할 수 있다. 우리 술도 ‘지역 원료를 사용했는지’, ‘감미료를 첨가했는지’ 등에 따라 등급을 매기면 고급화가 가능해 질 것이다. 우리 술 제조를 물적·제도적으로 뒷받침할 기관도 필요하다. 일본은 자국 술 산업만을 연구하는 국가기관(주류총합연구소)이 있다. 이곳에서는 양조 전용 쌀과 효모 등을 연구·개량해 보급한다. 우리나라에서도 한국식품연구원이나 경기도 농업기술원 등에서 양조 전용 효모를 보급하고 있지만 일본과 비교해 부족한 실정이다. 이렇게 쌀과 전통누룩, 장비 등을 분석하는 국책 술 연구기관이 필요하다.

 

Q.​ 아직 등급 체계가 마련되지 않았다. 소비자가 품질이 좋은 우리 술을 찾는 방법이 있다면.

A.​ 라벨을 보면 술의 가치를 알 수 있다. 가장 중요한 원료가 국내산인지 수입산인지, 국내산 중에서 특히 특정 지역(예컨대 경기미, 가평 잣 등)을 표기했는지 살펴야 한다. 이후 감미료가 들어갔는지를 살피면 일차적으로 걸러진다. 만약 막걸리 등 탁주나 전통 청주를 포함한 약주(주세법상)를 구매할 때에는 살균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유산균 등 유익균이 살아있는 ‘생 막걸리’, ‘생약주’라고 하는 것은 살균하지 않은 비살균 제품이다. 비살균 약주는 신선한 맛을 내는 대신 유통기한이 짧고, 살균 약주는 익은 맛을 내는 대신 유통기한이 길다.

 

Q.​ 일본산 제품 불매운동이 주류시장에도 번지고 있다. 어떻게 보는가.

A. 아직 통계에 잡힌 바는 없다. 최근 전통주 생산 업체들이 일본식 선술집에서 전통 청주에 대한 문의를 많이 받는다고 한다. 업계에서는 반길 만하다. 불매운동을 계기로 우리술 산업이 가진 문제점을 대중들이 알고 개선돼 갔으면 좋겠다.​

차형조 기자 cha6919@bizhankook.com 


출처 : http://www.bizhankook.com/bk/article/18315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일주일에 한 번, 와인 마시면 노안 늦출 수 있어

가끔 와인을 마시는 것이 노안이 오는 것을 늦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위스콘신 대학 연구팀은 43~84세 성인 5,000명을 대상으로 26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흡연, 음주, 운동 등 시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를 고려해...

  • 누룩
  • 2014-06-23
  • 조회 수 1071

[이로운넷] 맛만 보다 취한다...수원 주류박람회

나윤흠 기자 입력 2023.05.09 18:02100여개 업체 참가, 개인 잔 챙겨와야 시음 가능 매일 선착순 입장객 100명 1만원 상당 안주 무료 2023 수원 주류박람회 포스터=글로벌비즈마켓 제공 전시전문기업 글로벌비즈마켓은 5월 12~14일 수...

  • 누룩
  • 2023-05-10
  • 조회 수 1071

먹거나 바르면 신통한 효과... ‘자연의 약’ 9

소금, 꿀, 레몬 등 치료 효과 병원에 빨리 가야 할 정도로 심각한 질병이 아니라면 대개 집에서 적당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우선 상비약을 떠올리지만 일상에서 쓰는 식품 중에서도 찾을 수 있다. 미국의 건강정보 잡지 프리벤션이 ‘자연의 약’으로 불리는 ...

  • 누룩
  • 2015-03-16
  • 조회 수 1072

[오마이뉴스] 구한말 15만 개의 양조장은 어디로 사라졌나

1914년 인구 2.3% 참여, 주세법 이후 변화 겪어... 전통주 시장에 더 많은 관심 필요23.01.04 11:08l최종 업데이트 23.01.04 11:08l 이대형(koreasool) 몇 년 전부터 전통주(민속주+지역특산주) 양조장의 창업이 많아지고 있다. 정확한 통계가 없기에 연...

  • 누룩
  • 2023-01-11
  • 조회 수 1075

[대한금융신문] [응답하라,우리술 280] 안동소주, 칠백년 음식 유산 file

입력 2023.01.07 09:00 740년 안동소주 역사와 8개 안동소주 기록 안동의 미래 볼 수 있는 종택 가양주도 소개 직접 밀 농사를 지으면서 그 밀로 소주를 내리는 농부이자 양조인 박성호 씨가 자신이 뿌리를 내리고 있는 안동지역의 소주에 관한 책을 펴...

  • 누룩
  • 2023-01-09
  • 조회 수 1076

향긋한 전통주 빚으며 성숙해진 기도의 삶

장인정신 이진태 대표 수습기자 시절 한 선배가 해준 말이 기억난다. 평소 술을 잘 먹지 않았던 그 선배는 기자와 동기에게 술을 따라주면서 말했다. “술은 좋은 사람과 마시면 약이 ...

  • 누룩
  • 2021-04-23
  • 조회 수 1077

[조선일보] 맥주·막걸리 값 오른다... 세금 역대 최대폭 인상

맥주 L당 30.5원, 탁주는 1.5원 인상 정석우 기자 황지윤 기자 입력 2023.01.18 16:24 작년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직원이 주류를 진열하고 있다. /뉴시스 맥주에 붙는 주세(酒稅)가 L당 855.2원에서 올해 4월부터 L당 885.7원으로 30...

  • 누룩
  • 2023-01-20
  • 조회 수 1077

경상북도, 전통주 특별 홍보관운영

경상북도, 전통주 특별 홍보관운영 우리술 45개업체, 70여점 한 자리에 (경북=국제뉴스) 김용구 기자 = 경상북도는 11일부터 14일까지 4일간 대구 EXCO에서 열리는 ‘2015 DAFOOD’ 행사에 '경북 전통주 특별 홍보관'을 운영한다. 이번 홍보관은 신라 천년왕국의...

  • 누룩
  • 2015-06-12
  • 조회 수 1079

[세계일보] 새 문화로 탄생한 막걸리 양조장 추억[명욱의 술 인문학] file

입력 : 2023-02-25 19:00:00 수정 2023-02-24 18:44:13 30대 이상의 대한민국 성인이라면 아마 막걸리에 대한 기억을 하나씩 가지고 있을 것이다. 기름에 바짝 구운 해물 파전과 즐기는 것부터 시작으로 더운 여름날에 시원하게 즐기는 막걸리에 대한 추...

  • 누룩
  • 2023-03-08
  • 조회 수 1079

[세법 2017]안동소주 등 증류주만 쏙 빠진 전통주 세제혜택

[세법 2017]안동소주 등 증류주만 쏙 빠진 전통주 세제혜택 입력시간 | 2017.08.02 15:37 | 김태현 기자 thkim124@edaily.co.kr 정부, 소규모 전통주 제조자 위한 세제 경감 확대 그러나 증류식 소주 등을 만드는 증류주 업체 제외 --> ...

  • 누룩
  • 2017-08-03
  • 조회 수 1080

[조선비즈] “많이 팔면 손해” … 전통주 ‘피터팬 증후군’ 유도하는 酒稅 file

전통주 세제 혜택, 기업 규모 커지면 사라져 “소규모 맥주제조사와 세제 형평성 어긋나” 기재부 “세법개정안에 전통주 세금 감면 확대 포함 않을 것” “전통주에 온라인 판매 허용...통상 마찰 문제 발생 가능성도” 강원 평창에서 증류주를 제조해 판매...

  • 누룩
  • 2023-07-26
  • 조회 수 1080

[‘한숨 커지는’ 전통주업계] 설자리 좁아지고 일률적 규제 강화…위기감 고조

[‘한숨 커지는’ 전통주업계] 설자리 좁아지고 일률적 규제 강화…위기감 고조 당장 7월부터 전통주업체에 대한 시설기준이 강화될 방침이다. 시설 투자 여력이 없어 아직 대비를 하지 못한 영세 업체들이 많은 것으로 전해져 존폐 여부에 따른 우려도 나오고 있...

  • 누룩
  • 2015-06-18
  • 조회 수 1081

'하우스 막걸리' 시대 열린다

'하우스 막걸리' 시대 열린다입력 2016-02-10 18:14:30 | 수정 2016-02-11 02:48:27 | 지면정보 2016-02-11 A9면 돋움 굴림 바탕 한경고딕 나눔고딕 맑은고딕 11일 국무회의서 의결 소규모 주류 제조면허 전통주에도 허용키로 소규모 일반 음식점에서도 막...

  • 누룩
  • 2016-02-11
  • 조회 수 1082

경남신문 무학, 하이트맥주 마산공장 인수 나섰다

무학, 하이트맥주 마산공장 인수 나섰다최재호 회장 ‘고객과 대화’서 밝혀 “하이트측에 세 차례 인수의사 전해… 노하우 접목해 새로운 맥주맛 구현” 기사입력 : 2017-11-07 22:00:00 무학그룹이 소주에 이어 맥주 생산에 뛰어들 의사를 적극적으로 밝혔다. 최...

  • 누룩
  • 2017-11-13
  • 조회 수 1083

2017 서울국제와인&주류박람회(Seoul International Wines & Spirits Expo 2017) 개최

2017 서울국제와인&주류박람회(Seoul International Wines & Spirits Expo 2017) 개최김하늘 기자l -->승인2017.02.14 13:08:57 트위터 페이스북 --> ▲ 2017 서울 국제 와인&주류 박...

  • 누룩
  • 2017-02-15
  • 조회 수 1083
XE Login